접근성, 기술, 혁신 부문에서 긍정적 평가...기술은 200개 기업 가운데 3위 삼성전자가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기술의 양극화 해소 노력' 평가에서 3회 연속 '톱 10'에 포함됐다. 14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연합체인 WBA가 주관한 '2023 디지털 포용성 평가(Digital Inclusion Benchmark·이하 DIB)'에서 100점 만점에 61.3점을 획득, 총 200개 조사 대상 기업 가운데 종합 7위에 올랐다. 아시아 기업으로는 2회 연속 1위다. 1위는 100점 만점에 85.2점을 받은 스페인 통신회사 텔레포니카였다. 오렌지(2위·71.3점)와 도이치텔레콤(3위·67.5점)이 뒤를 이으며 유럽 대형 통신업체들이 나란히 상위권을 차지했다. 애플(63.4점)이 4위였고, 시스코와 마이크로소프트가 62.6점을 받아 공동 5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2020년 100개사 중 10위, 2021년 150개사 중 4위에 오른 데 이어 이번 평가로 3회 연속 10위권 내에 포함됐다. 지난해에는 해당 평가 결과가 발표되지 않았다. DIB 평가는 접근성, 기술, 활용, 혁신 등 4개 분야, 총 16개 항목에 걸
[헬로티] LG유플러스 주축으로 결성한 5G 콘텐츠 연합체 'XR(확장현실) 얼라이언스'가 몸집을 늘리고 있다. ▲출처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자사가 의장사를 맡은 XR 얼라이언스에 미국 1위 이통사 버라이즌, 프랑스 1위 이통사 오렌지, 대만 1위 이통사 청화텔레콤이 합류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통해 가입 회사가 총 7개 지역 10개 사업자로 늘었다. 작년 9월 출범한 XR 얼라이언스에는 그동안 LG유플러스와 퀄컴, 이통사인 벨 캐나다, 차이나텔레콤, KDDI, 실감 콘텐츠 제작사인 펠릭스 앤 폴 스튜디오, 아틀라스 파이브 등이 참여해왔다. XR 얼라이언스는 현재 두 번째 프로젝트 기획에 착수했다. 세계 유명 공연, 동화, 애니메이션 영역에서 차기 콘텐츠를 검토하고 회원사들의 회의로 프로젝트를 실행한다. 국제 우주정거장(ISS)을 배경으로 한 첫 번째 프로젝트 역시 이르면 이달 중 에피소드 2를 전 세계 동시 공개할 계획이다. 우주정거장 밖 실제 우주 공간의 모습을 실감나게 볼 수 있는 에피소드 3·4도 촬영해 연내 서비스할 예정이다. 에린 맥퍼슨 버라이즌 최고 콘텐츠 책임자는 "XR 얼라이언스와 협력해 몰입형 XR 콘텐츠 시장의 영
[첨단 헬로티] 델 EMC(Dell EMC)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델 테크놀로지스 월드 2019(Dell Technologies World 2019)’에서 5G, AI, 클라우드, 보안 등 새로운 기술 트렌드에 발맞춘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 이 회사가 새롭게 선보인 포트폴리오에는 ▲VM웨어 기반의 ‘델 EMC SD-WAN 엣지’(Dell EMC SD-WAN Edge powered by VMware), ▲‘델 EMC 파워스위치(PowerSwitch)’ 제품군, ▲‘V엑스플렉스(VxFlex)’ 제품군, ▲‘V엑스레일 ACE(VxRail Analytical Consulting Engine)’ 소프트웨어 및 ‘V엑스레일 HCI 시스템 소프트웨어’, ▲‘DSS 8440’ 서버 등이 포함된다. 올해 7월경 출시가 예정되어 있는 VM웨어 기반의 ‘델 EMC SD-WAN 엣지(Dell EMC SD-WAN Edge powered by VMware)’는 델 EMC의 하드웨어에 VM웨어 벨로클라우드
[첨단 헬로티]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AT&T, 차이나모바일, 오렌지 등 글로벌 통신사와 함께 5G 장비간 연동을 수월케 하는 ‘5G 장비 연동 검증 규격’을 마련했다. ‘5G장비 연동 검증 규격’에는 각기 다른 장비제조사가 개발한 5G 기지국·교환기·단말기간 상호 연동성을 시험하고, 개선점을 빠르게 찾아내기 위한 분석 방법 등이 담겨 있다. 이 규격을 활용하면, 네트워크 설계 단계에서 5G장비간 연동성을 다양하게 시험하며, 최상의 연동 방식을 찾아낼 수 있다. 이를 통해 A사 기지국, B사 교환기, C사 단말기 등 복수의 장비제조사 제품으로 5G망을 구성해도 안정적이고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제조사는 통신장비 연동을 위해 시험해야 할 요소가 줄어, 5G 단말기를 빠르고 다양하게 출시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차세대 인프라 방향을 논의하는 NGMN(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의 상호연동 프로젝트 의장사로, 지난 1년간 회원사들과 함께 효과적인 검증 방안을 연구해왔다. SK텔레콤은 올해 4분기부터 이 규격을 바탕으
[첨단 헬로티] 각기 다른 제조사가 개발한 5G 장비 · 단말기의 연동을 최적화하는 규격 마련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은 AT&T, 차이나모바일, 오렌지 등 글로벌 통신사와 함께 5G 장비간 연동을 수월케 하는 '5G 장비 연동 검증 규격'을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5G장비 연동 검증 규격에는 각기 다른 장비제조사가 개발한 5G 기지국 · 교환기 · 단말기간 상호 연동성을 시험하고, 개선점을 빠르게 찾아내기 위한 분석 방법 등이 담겨 있다. 이 규격을 활용하면, 네트워크 설계 단계에서 5G장비간 연동성을 다양하게 시험하며, 최상의 연동 방식을 찾아낼 수 있다. 이를 통해 A사 기지국, B사 교환기, C사 단말기 등 복수의 장비제조사 제품으로 5G망을 구성해도 안정적이고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제조사는 통신장비 연동을 위해 시험해야 할 요소가 줄어, 5G 단말기를 빠르고 다양하게 출시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차세대 인프라 방향을 논의하는 NGMN(Next Generation Mobile Networks)의 상호연동 프로젝트 의장사로, 지난 1년간 회원사들과 함께 효과적인 검
[헬로티] 통신 장비 업체 노키아가 프랑스 통신 업체 오렌지와 5G 서비스와 관련해 동맹을 맺었다. 양사는 협력을 통해 5G 서비스가 제공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서비스들을 개발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력 아래 오렌지는 노키아가 제공하는 다양한 5G 레디(Ready) 제품을 투입할 예정이다. 에어스케일 RAN 포트폴리오, 에어프레임 데이터센터 플랫폼, 클라우드 및 사이버 보안 솔루션 등을 아우르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오렌지는 5G가 제공하는 낮은 레이턴시(지연시간)에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나서게 된다. 양사 협력은 초광대역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RAN, 대규모 MIMO,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 슬라이싱, 에너지 효율성 등과 관련한 부분을 포함한다. 오렌지는 노키아와 함께 4G에서 5G로 네트워크를 발전시키고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인프라에서 각각의 서비스 요구 사항에 맞게 제공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협력을 통해 다양한 산업 영역에 맞는 5G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할 수 있는 혁신 센터도 구축하기로 했다. 센터는 양사 파트너들에게 모두 개방된다. 오렌지 외에 스페인 통신 기업인 텔레포니카는 중국 업체 화웨이를 유럽 및 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