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친환경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전기차 시장은 팽창했다. 운행 과정에서 탄소가 배출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친환경 모빌리티로 인식됐던 전기차지만, 뜻밖에 사용 후 배터리를 처리하는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제조부터 폐기까지 이어지는 전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전 과정 탄소중립’ 개념이 부각됐다. 이차전지 리사이클링(재활용) 사업은 사용 후 배터리나 제조 과정에서 나온 배터리 스크랩에서 니켈, 리튬 등 이차전지 핵심소재를 추출·재생산하는 사업이다. 리사이클링을 통해 코발트, 니켈 등을 생산할 때 배출되는 CO2의 양이 광산에서 같은 제품을 생산할 때 배출되는 CO2의 30% 수준인 것이 알려지면서, 전기차·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은 리사이클링 사업을 배터리 순환 생태계의 필수 과정으로 인식하게 됐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의 규모가 2030년에 약 2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만큼,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배터리 리사이클링을 차세대 사업로 삼고 연구·개발 및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 포스코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지 재활용 분야를 차세대 사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헬로티] 충남도·영화테크 3년간 기술 개발 성과…폐배터리 상용화 기대 충남도와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이 국내 처음으로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사용한 태양광 발전설비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 성능 검증에 나선다. 현재 국내에 관련 규정이 없어 정부는 규제 특례를 승인해 실증을 지원한다. 충남도와 영화테크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재사용해 개발한 ESS의 성능 실증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충남도·충남테크노파크가 지난 3년간 '전기차 폐배터리 재사용 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18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전기차 배터리 등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인 영화테크가 기술개발을 주관했다. 지난해까지 폐배터리 분석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재사용 배터리 ESS·배터리 상태 제어장치 등의 개발을 완료했다. 참여 기업·기관은 폐배터리로 만든 10kW 규모 ESS에서 만족할만한 성능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실증을 통해 실험실에서 확인한 데이터가 실제 환경에서도 적용되는지 검증하게 된다. 충남도는 전기차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폐배터리 재사용 ESS를 상용화하면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새로운 시장을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