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장서 인정받은 태양광 모듈 외에도 전기차 충전 솔루션 등 포트폴리오 강조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이하 한화큐셀)이 ‘2022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에 참가해 태양광 모듈 관련 제품들과 다양한 전력 솔루션 포트폴리오들을 선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하는 에너지대전은 국내 최대 규모 에너지 전시회다. 올해 41주년을 맞아 11월 2일부터 4일까지 총 사흘 동안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부스는 총 6개 존으로 구성됐다. 한화큐셀의 태양광 모듈을 통해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고, 그 전력을 가정용 에너지 시스템, 전기차 충전 인프라 등을 통해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모든 과정을 순서대로 볼 수 있도록 구성됐다. 우선 상용 모듈 존에는 ‘큐피크 듀오 G11(Q.PEAK DUO G11)’ 모듈이 전시됐다. ‘큐피크 듀오 시리즈’는 한화큐셀의 핵심 제품군으로 미국, 독일, 영국, 한국 등 주요 에너지 시장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다. 최신 모델인 G11은 한화큐셀의 고유 셀 제조 기술인 ‘퀀텀 듀오 Z 기술’을 적용해 발전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차세대 모듈 존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셀(이하 탠덤 셀) 기반 모듈 시제품이 전시됐다
[헬로티] 농사도 짓고 전기도 생산할 수 있는 영농형태양광 기술이 국내에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글로벌 IT 기업 파루는 토지 이용을 극대화해 농촌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는 ‘AI 태양광 트래커’를 국내에 접목시켰다. ▲ 파루 AI 태양광 트래커는 콤바인 등 대형 농기계가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파루 제공) 최근 전남 해남군 간척지 태양광발전소 설치 문제로 농지 임대계약 해지를 통보하거나 임대계약 갱신이 되지 않아 토지 소유주와 농사를 짓는 농민과의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농지에 태양광발전소가 설치되면 농지를 임차하여 농사를 짓는 농민들의 생계가 위협받게 되며 식량안보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사를 지으며 태양광발전을 할 수 있는 영농형태양광 발전소가 각광받고 있다. 파루의 AI태양광 트래커가 설치된 100kW급 영농형태양광 발전소에서 지난 14일 해당 논에 모내기를 마쳤다. 파루의 AI 태양광 트래커는 중앙지지대 1개로 구성이 되어 있어 콤바인이나 트랙터, 이앙기 등 대형 농기계도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하다. 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통해 농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일거양
[첨단 헬로티]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소장 이상훈)는 지난 3월 5일, 충북테크노파크에서 일본솔라쉐어링추진연맹(대표 마가미 타케시),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회장 김지식)와 ‘영농형태양광 보급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각 기관은 ▲농작물 경작이 가능한 영농형태양광 발전사업의 보급 확대 ▲한·일 영농형태양광 발전사업 기술협력 ▲영농형태양광 발전사업 정책 수립 지원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공단은 일본과의 정보교류를 통해 정책, 시공기준 등을 보완 및 개선하여 농촌지역주민의 수용성을 높이는 데 매진할 예정이다. 또,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는 일본솔라쉐어링추진연맹의 일본 활동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국내 영농형태양광 발전사업의 확산을 도모하고 홍보 방안 수립의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이상훈 소장은 “재생에너지3020 이행계획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영농형태양광의 적극적인 보급이 필요하다”며,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영농형태양광의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높이고, 농가의 소득 증대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