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머프라멧(Dormer Pramet)은 아시아 시장에서 사업 확장을 위해 생산성을 높이고 가격 경쟁력까지 갖춘 제품군을 선보인다고 7일 밝혔다. 도머프라멧 전문가들은 휴대용 기계 설비 분야에서 여러 다양한 작업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효율적인 공구를 꾸준히 개발해 오고 있다. 도머프라멧의 '도머 제품군'은 1000개 이상의 HSS(High Speed Steel) 라운드 툴을 선정해 구성한 전문가용 제품 라인이다. 도머프라멧은 올해 초 프라멧 브랜드로 인덱서블 터닝 및 밀링 공구를 출시한 직후 도머 제품군도 잇따라 내놓았다. 새롭게 구성된 경제적인 절삭 공구 제품군에는 HSS 드릴과 엔드밀, 탭이 있으며, 특히 유지 보수 및 수리 작업, 일반 엔지니어링과 자동차 정비 등의 작업에 적합하다. 도머프라멧은 이번에 출시한 제품군을 한국을 비롯해 중국,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일본 및 기타 동남아시아 등에서 운영 중인 도머프라멧 대리점에 공급한다. 도머프라멧의 새로운 최신 툴링 시스템 제품군은 최첨단 밀링, 터닝, 드릴링 및 태핑 클램프 공구부터 다양한 콜렛 및 액세서리까지 갖추고 있다. 이 제품들은 기존 셋업부터 최첨단 CNC 센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헬로티] 34회째를 맞이한 ‘형기술자회의 2020’는 일본의 금형 기술 개발에 관한 최신 정보를 발신하는 장으로, 이번 회의에서는 ‘금형 기술 5개의 힘, 사람(인재)·기계(공작기계, 공구)·재료·지식(센싱, 노하우, 컴퓨터 원용 기술)·연결(loT, 네트워크)’를 주제로 프로그램이 구성됐다. 금형기술 2월호에서는 동 회의의 일반 강연 논문 중 일부를 발췌해 게재했다. 금형 설계와 해석, 금형가공, 사출성형, 프레스, 다이캐스트 등에 관한 새로운 금형 기술의 방향성을 소개했다. <주요 목차> 1. 일품 생산에 특화된 CAM 소프트웨어의 개발 2. 계측 폴리곤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수정·정형하는 기능 3. cBN 래디우스 엔드밀 'CBN-RSF'에 의한 고경도재의 다듬질가공 4. 날끝 교환식 볼 엔드밀 'BR2P형'의 개발 및 가공 사례의 소개 5. cBN 소경 4날 래디우스 엔드밀에 의한 고정도·고능률 가공 6. 가공 사례·연료전지 세퍼레이터 금형의 소개 7. 오벌 배럴 엔드밀 'COVB'에 의한 고능률의 평활한 다듬질
[헬로티] 오카다 마사토 (岡田 將人), 미나미다니 하야토 (南谷 駿斗) 福井대학 신야 마사요시 (新谷 正義) 金澤대학 와타나베 히데히토 (渡邊 英人) 유니온툴(주) 1. 서론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이용되는 금형은 높은 내마모성(경도)와 양호한 다듬질면 품질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방전가공에 의한 황삭 후, 절삭가공이나 손연마 다듬질 등에 의해 원하는 다듬질면 품질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방전가공은 전용기가 필요한 동시에, 그 창성면에는 인장 잔류응력을 포함하는 가공 변질층이 생성되기 쉽다. 대부분의 금형은 곡면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가공 변질층의 간략화, 연마 공정의 부담 경감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엔드밀 바닥부에 날끝과는 별도로 핀 모양 공구를 설정, 절삭과 버니싱 가공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공구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구에 의해 양호한 다듬질면 품질은 얻을 수 있지만, 공구가 복잡화되기 쉽기 때문에 금형 형상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동 연구에서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철강 재료와의 친화성이 낮은 cBN으로 이루어진 볼 엔드밀에서 릴리프각을 의도적으로 없애고, 절삭날의 절삭과 함께 릴리프면의 버니싱 작용을 기대한 공구(버니시
[헬로티] 마츠무라 타카시(松村 隆) 도쿄전기대학 1. 서론 최근 금형 재료의 고강도화에 따라 초경합금과 그 외의 경질 금속 재료의 이용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공작기계의 다축화와 함께, 공구 간섭을 고려해 공구 자세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공구 자세는 CAM을 통해 기하학적으로 주어지고 있는데, 공구 마모의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지 않다. 이 글에서는 금형가공의 엔드밀 절삭을 대상으로, 공구 자세가 절삭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공구 자세를 고려한 절삭 모델에 대해서는 볼 엔드밀의 절삭력을 해석한 연구와 Z-map을 이용한 연구가 있다. 여기서는 공구 경사를 가진 절삭 모델을 나타내고, 공구 마모에 대한 공구 경사의 효과를 나타냈다. 2. 공구 경사가 공구 마모에 미치는 영향 그림 1에 나타냈듯이 볼 엔드밀을 이송 방향으로 경사시킨 자세에서의 절삭 과정에 대해 그림 2의 좌표계에서 절삭 두께를 해석한다. 그림 2 (a)와 같이 전체 좌표계 X-Y-Z에 대해 X-Z 평면에서 각도 ø로 기울어진 좌표계 X*-Y*-Z*를 정의, 절삭날 상의 점 P의 좌표를 식 (1)로 변환한다. 단, p, f. t는 볼 엔드밀의 노즈
[첨단 헬로티] 초경합금절삭공구제조·판매 전문 업체인 코오로이가 스테인레스강(STS) 가공을 위한 'S Plus Endmill'을 새롭게 출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시작했다. ▲스테인리스 가공 전용 엔드밀 'S Puls Endmill'(사진 : 코오로이) 스테인레스강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표면이 매끄러워 일상생활뿐 아니라 여러 산업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소재다. 스테인레스강은 가공경화성이 매우 크며, 칩이 공구면에 용착되기 쉽고 전단저항이 커서, 공구인선의 결손 및 용착을 유발해 공구 수명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효율적인 가공을 위해서는 스테인레스 가공 전용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S Plus Endmill은 스테인레스 가공에 최적화된 인선설계로 가공부하 및 떨림을 최소화해 돌발 치핑으로 인한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새로운 모재와 코팅 박막을 적용해 기존 제품보다 내마모성 및 내용착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한편, 코오로이는 스테인레스 가공에서 모재, 박막, 형상을 최적화해 내용착성 및 내마모성을 대폭 향상시킨 S Plus Endmill로 최적의 스테인레스 가공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첨단 헬로티] 니시다 이사무 (西田 勇), 시라세 케이이치 (白瀨 敬一) 神戶대학 1. 서론 엔드밀 가공을 대상으로 형상해석 및 절삭량의 예측이 가능한 절삭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CAM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공구경로의 생성과 동시에 절삭 시뮬레이션을 실현하기 때문에 저 메모리, 그리고 고속으로 처리가 가능한 시뮬레이션 기술을 새롭게 제안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가공 결과를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세팅 작업(시절삭)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절삭량에 대응해 공구 이송 속도를 수정함으로써 가공 효율의 향상과 가공 트러블 방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도 있다. 2. 절삭 시뮬레이터를 통합한 CAM 시스템 (1) 저 메모리, 그리고 고속 처리를 실현하는 외형선 모델에 의한 3차원 형상 처리 절삭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처리는 피삭재와 공구의 간섭량을 계산해 피삭재의 형상 변화를 해석하는 것 및 공구 1날당 이송량마다 제거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전부터 피삭재 형상을 복셀 모델로 표현함으로써 피삭재와 공구의 간섭량을 산출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복셀 모델에서는 3차원 형상 전체를 이산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복잡 형상의 가공에서도 공구와 피삭재
[첨단 헬로티] 스즈키 타케시 (鈴木 岳史) 日進공구(주) 1. 서론 금형가공에서 미세화, 정밀화가 진행됨에 따라 방전가공에 사용되는 전극도 고정도화가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가공 정도의 편차를 억제하고 싶다, 버를 작게 하고 싶다 등의 요망을 많이 듣게 된다. 이에 동사에서는 동전극 가공에 특화해, 장시간에 걸쳐 고정도의 가공이 가능한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을 시리즈화했다. 이 글에서는 그 공구의 특징과 공구를 사용한 절삭가공 사례를 소개한다. 2.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 시리즈의 특징 동전극 가공용 엔드밀 시리즈에는 볼 형상의 DRB230, 스퀘어 형상의 DHR237, 래디우스 형상의 DHR237R을 라인업하고 있다. 각각의 외관을 그림 1에 나타냈다. 이들 공구에 공통된 특징으로서 공구의 코팅에는 DLC 코팅을 채용하고 있다. DLC 코팅은 마찰계수가 낮기 때문에 절삭칩의 흐름이 원활하고, 박막이기 때문에 성막 후도 샤프 에지를 유지할 수 있어 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막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장시간의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하나의 공통된 특징으로서 절삭성이 높은 점을 들 수 있다. 그림 2에 스퀘어 형상의 DHR
[첨단 헬로티] 타카마츠 마나부 (高松 學) 유니온툴(주)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는 연비 향상을 위한 경량화가 계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동반해 초하이텐재와 같은 인장강도가 큰 소재의 프레스 가공을 견딜 수 있도록 금형재에는 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는 엔드밀에는 고경도재를 고능률, 장수명 그리고 고정도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60HRC를 넘는 고경도재의 절삭가공은 초경 엔드밀의 마모 진행이 빠르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안정되게 가공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cBN 공구의 다듬질가공 전공정인 거친가공, 중다듬질가공이 과제였다. 이에 지금까지 이상으로 장수명의 거친~다듬질가공을 실현하는 초경 볼 엔드밀로서 ‘HGB(전체 날길이 타입)’, ‘HGLB(유효길이 타입)’을 개발, 2018년 11월에 발매했다(그림 1). 이 글에서는 신제품 HGB/HGLB 시리즈의 특징과 가공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고경도재 가공용 볼 엔드밀 HGB/HGLB 시리즈의 특징 동사에는 고경도재 가공용 코팅 피막으로서 경도, 내열성에 중점을 둔 HM 코트가 있는데, 60HR
[첨단 헬로티] 하세가와 토모노리 (長谷川 智德) 日進공구(주) 1. 서론 금형의 미세화와 정밀화에 동반해 방전가공에 사용되는 동전극의 가공에서 버나 가공 치수의 오차는 가급적 작고, 가공면은 단차가 가급적 작은 균일한 커터마크의 가공이 장시간 계속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엔드밀에는 ‘장수명’의 성능이 요망된다. 그 중에서 동사는 동전극가공으로 특화해, 절삭성을 장시간 지속시키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코팅을 채용한 ‘DRB230’ 동전극가공용 롱넥 볼 엔드밀을 표준화했다. 이 글에서는 공구의 특징과 기존의 터프피치동에 더해, 정밀 전극용으로 사용되는 동텅스텐의 가공 사례, 또한 쿨런트 차이 등 기초 데이터도 함께 소개한다. 2. DRB230의 특징 그림 1에 DRB230의 외관을 나타냈다. 마찰계수가 낮고, 밀착성이 우수한 박막의 코팅을 채용함으로써 공구 마모를 억제해 장시간 안정된 고정도 가공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절삭칩의 배출성과 내용착성을 향상시키고 버는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공구 형상은 기존품과 비교해 날끝 형상을 예각으로 하고 강한 스파이럴을 채용함으로써 점성이 높은 동합금에 대해 버의
[첨단 헬로티] (주)부영정밀은 고경도용 엔드밀을 비롯해 비철가공용 엔드밀, SUS 가공용 엔드밀, 다이아몬드코팅 엔드밀 등과 함께 드릴, 스페셜 공구를 생산 및 공급하는 엔드밀 전문기업이다. 부영정밀은 정밀공구의 품질이 명품 반열에 이르기까지 기술력 확보와 품질 관리에 힘을 쏟고 있다. ▲고속 고경도 가공의 SK-007 시리즈와 범용 고속 가공의 BY-007 시리즈 품질 관리를 최우선으로 삼다 지난 1996년 설립된 부영정밀은 우수한 원자재 사용과 철저한 품질관리 등 꾸준한 품질 혁신으로 고품질의 엔드밀을 제작해왔다. 부영정밀의 엔드밀은 국내외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기존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수출시장을 확대함으로써 자사가 선도 기업으로 도약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부영정밀은 지난 2007년 중국 천진지사 설립을 시작으로, 2009년 인도네시아, 중국 천진 대리점 계약 체결 등을 진행했다. 2015년에는 베트남 현지법인을 설립하면서 세계 시장진출 계획을 구체화했다. 부영정밀이 주력하는 분야는 핸드폰, 금형, 자동차 등이다. 2015년까지 핸드폰 분야에 자사 제품을 대량 공급했던 부영정밀은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 다양한 산업 분야로 공급처를 넓혔다.
[첨단 헬로티] 마츠무라 타카시 (松村 隆) 東京전기대학 1. 서론 표면에 접촉하는 물질의 물리적 및 화학적인 성질을 제어하는 기능 표면은 최근 많은 산업 분야에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 가공의 진척과 함께 표면의 미세한 요철에 의해 습윤성과 마찰 등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미세 구조에 의한 표면 기능은 안정성과 기능의 제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그 배열이나 형상을 고능률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엔드밀 절삭의 형상 창성기구를 이용한 마이크로 딤플의 고능률 가공 기술을 대상으로 하고, 딤플 형상의 제어를 시도했다. 마이크로 딤플의 가공에서는 평판에 대해 엔드밀에 의한 가공법이 제안되고, 또한 필자 등은 기계 요소에 많은 축 부품에 대해 고속 딤플 가공을 시도했다. 이 글에서는 딤플 가공의 절삭 모델을 나타내고, 공구 자세와 공구 이송 방향이 딤플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했다. 2. 마이크로 딤플 가공의 절삭 모델 그림 1에 나타냈듯이 2날의 볼 엔드밀을 기울려 깊이 방향의 절입을 공구 반경 이하로 하면, 2날 절삭날이 재료에 접촉하지 않는 시간이 존재한다. 이 공축 시에 각 절삭날의 제거 영역
[첨단 헬로티] 세코툴스(Seco Tools)가 80개 이상의 미세 엔드밀 제품으로 구성된 ‘Seco Jabro-Mini JM500’ 제품군을 선보였다. 이 제품군을 통해 그동안 너무 작아서 가공 작업 중 잘 보이지 않았던 소형 및 초소형 부품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세코툴스의 미세 엔드밀 ‘JM500’ 제품군 이번 제품군의 최적화된 재종, 형상, 코팅은 강, 스테인리스강, 내열 초합금 및 티타늄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부품들로부터 우수한 표면조도를 이끌어낸다. 형상은 2, 3, 4 플루트 버전을 통해 토리컬 형상과 볼노즈 스타일이 전부 가능한 30도 나선과 3도 경사를 포함한다. 폴리싱된 SIRA 코팅을 적용한 전면 초경합금 재종을 통해 가장 낮은 인선당 비용으로 고인성 소재의 가공을 실현한다. Jabro-Mini JM500 엔드밀은 DMM 4㎜ 및 DMM 6㎜ 샹크 직경, 2~20×DC의 7가지 오버행 길이, 0.2㎜~3㎜ 직경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폭넓은 선택지 덕분에 사용자는 부품 공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가능한 한 가장 짧은 공구 오버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첨단 헬로티] 와이지원(YG-1)의 신제품 Alu-Power HPC는 Al7075 알루미늄 합금 및 비철금속 가공에 특화된 엔드밀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우주항공 산업을 겨냥하여 특별히 디자인 되었다. Alu-Power HPC는 알루미늄 합금 가공에 가장 적합한 형상을 적용하여, 일반 알루미늄 가공 제품보다 약 3배 이상 빠른 절삭이 가능하다. 다양한 형상의 가공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중·황삭 가공에서도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제품이다. 또한 빠른 작업 속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표면조도 및 안정감 있는 가공이 가능하다. 이에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현재는 3날 스퀘어 및 코너 래디우스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넥 제품이 있다. 코팅 제품과 비코팅 제품 모두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Corner Radius가 구비되어 있다. Alu Power HPC는 우주항공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와이지원(YG-1)의 알루미늄 합금용 초경 엔드밀 ‘Alu-Power HPC’
[첨단 헬로티] 한국OSG는 SIMTOS 2018에 참가해 다양한 밀링가공용 공구인 엔드밀을 선보였다. 1976년에 설립된 한국OSG는 절삭공구 국산화에 힘써 왔으며, 1985년 일본OSG와의 합작을 통해 용도별 탭 생산을 시작했다. 1988년에 엔드밀을 생산해 절삭공구 종합 제조사로 발전한 후 꾸준한 연구를 통해 현재 스플라인 다이스, 풀리 다이스, 웜 다이스, 리드스크류 다이스와 초경 탭, 셸 탭, 인터 탭, 초경 엔드밀, 극소경 엔드밀, 고속가공용 엔드밀 등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다. 한국OSG의 초경엔드밀 중 WS 시리즈는 건식, 습식가공 모두 가능한 WS 코팅이 적용되어 있으며 코팅막이 나노 구조로 되어 있어 고경도, 내마모, 내산화성이 우수하다. 고속, 고능률 가공에 최적인 초경소재를 적용했으며, 나노 복합 파우더를 사용해 내치핑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폭넓은 피삭재, 가공영역, 가공조건에 대응 가능하고 초정밀 6축 가공기에서 가공해 인선부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고정도 가공을 실현한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주최로 4월 3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SIMTOS 2018에서는 절삭기계, 절단 및 성형기계 분야 기술을 비롯해 공작기
[첨단 헬로티] CBN·SUS 가공용 엔드밀 등 1만여 개의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 제이제이툴스는 SIMTOS 2018에 참가해 흑연 가공용 엔드밀, 복합소재 가공용 엔드밀, SUS 가공용 엔드밀, G-TAC 코팅 엔드밀, 초경 정삭용 인서트 등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했다. 제이제이툴스의 엔드밀 제품들 중 2날 강력 절삭용 리브 볼 엔드밀은 중저경도강(HRC52 이하), 프리하든강 계열, 탄소강, 금형강 등 다양한 피삭재 가공 엔드밀로서 고함량 실리콘계 코팅(Si) 처리되어 있어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넓은 영역의 피삭재 가공에 적합하며 항절력이 높은 미립자 초경합금을 채택, 엔드밀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초경 2날 고경도 가공용 제이제이 볼 인서트의 경우, 고경도강(HRC62∼), 프리하든강 계열의 고정밀 가공 인서트, 그라파이트로 넓은 영역의 피삭재 가공에 적합하며 볼 형상은 날부 치핑이 적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주최로 4월 3일부터 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SIMTOS 2018에서는 절삭기계, 절단 및 성형기계 분야 기술을 비롯해 공작기계, 자동화 부품, 측정 및 계측, 공구, 3D 프린팅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