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SKC(대표이사 이완재)가 신소재 기술 공모전 ‘SKC 스타트업 플러스(Startup Plus)’ 4기 기업을 선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 올해 4회째인 SKC 스타트업 플러스는 유망기술을 가진 기업을 선정해 여러 기관이 참여한 ‘신소재 기술기반 오픈플랫폼’(이하 오픈플랫폼)’의 유무형 자원으로 사업화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SKC는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본사에서 선발기업 5곳에 사업화 지원금으로 총 1억원을 전달하고 선발기업 지원 체계인 오픈플랫폼을 소개하는 ‘SKC 스타트업 플러스 4기 킥오프’를 개최했다. SKC는 2017년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등과 ‘오픈 플랫폼’을 구성하고 2018년부터는 매년 ‘SKC 스타트업 플러스’ 공모전을 진행해 지원기업을 선발해왔다. 올해 선발기업은 총 5곳이다. 생분해성 필름 제조기술을 가진 ㈜에코매스, 바이오 화학원료 기술을 가진 ㈜케미폴리오, 스마트 윈도우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적용가능한 광학시트를 생산하는 청명첨단소재㈜, 2차전지 차세대 초박형 분리막 기술을 가진 ㈜에스그래핀, 반도체 CMP슬러리 핵심소재를 제조하는 비드오리진㈜ 등 친환경, 모빌리티, 반도체 소재 기술 기업이다. 이들
[첨단 헬로티] 4차 산업혁명이 대두되며 전기자동차나 각종 전자기기 가동을 위한 에너지저장원으로서 리튬이온전지 산업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신소재를 통한 에너지 용량 극대화로 전지의 제조가격을 낮추고 효율을 높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곽병성, 이하 ‘에너지연’) 장보윤 박사 연구진은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 음극 소재인 산화규소(SiOx) 나노분말 제조기술과 노하우를 개발하는데 성공하고 2017년 말, 국내 중소기업에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연구원에서 개발한 기술을 이용해 제조된 산화규소(SiOx) 나노분말에는 리튬과의 반응성이 높은 실리콘(Si)이 포함돼있다. 이를 리튬이온전지에 적용하면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흑연 음극재에 비해 에너지 용량을 4배가량 높일 수 있다. 규소는 상압 조건에서 산화 반응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공 상태에서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제조가격도 비싼 편이다. 이에 비해, 에너지연에서 개발한 제조 기술은 합성반응영역을 진공 상태와 흡사하게 만들어 상압 조건에서도 합성할 수 있게끔 설계됐다. 또한, 제조 시 킬로그램당 2~3달러 정도의 저가 규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