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25일 ‘경남 첫 기계산업박람회’ 제15회 한국국제기계박람회(KIMEX 2024) 개막 ‘17개국 350부스 규모’ 160개사 참가해 금속 절삭·절단, 자동화, 스마트 팩토리, 소재·부품, 에너지 등 기술 총망라 커넥티드 머신 컨퍼런스, 기계기술 세미나, 수출상담회 등 부대행사도 구성 기계 영역은 우리나라 산업 생태계를 잇는 거점 중 하나로, 거시적 관점에서 산업 내 각종 기술의 운용 및 고도화를 위해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이렇게 국내 뿌리 및 제반 산업인 기계 분야는 크게 ‘일반 기계’, ‘전기기계’, ‘정밀기계’, ‘수송기계’, ‘금속 제품’ 등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여기에 각 항목은 또 수많은 구분으로 세분화돼 각 산업 안에서 활약하고 있다. 기계산업은 4차 산업혁명에 이은 인공지능(AI)·로봇·빅데이터·디지털 트윈·확장현실(XR) 등 차세대 기술 시대가 개막함에 따라 변혁기에 직면했다. 전 세계적인 디지털 전환(DX) 트렌드가 기계 산업에도 다각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는 뜻이다. 한편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생산 약 114조 원, 수출 약 85조 원 등 지난해 기계산업이 달성한 성과를 발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0.6·1.6% 증
국내 기계 분야는 그동안 자동차·철강·장비·조선·반도체 등 우리나라 뿌리산업에서 다양한 역사를 남겼다. 여러 차례의 산업 체제를 거치는 과정에서도 우리 산업 성장에 기여했다. 그간 축적한 기계산업의 활약상은 4차 산업혁명·디지털 전환·탈탄소·지속가능성 경향 등 새롭게 직면한 산업 국면에서도 기계산업에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각 산업을 세부적으로 분류한 지표인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기계산업은 크게 ‘일반 기계’, ‘전기기계’, ‘정밀기계’, ‘수송기계’, ‘금속 제품’ 등으로 분류된다. 각 항목은 또 수많은 영역으로 기계를 정의한다. 그만큼 기계는 우리나라 산업에 다각적으로 녹아있다는 뜻이 된다. 기계산업은 현재 지정학적 지정학적·정치적 리스크, 전방 산업 침체, 글로벌 경기 둔화, 고금리 등으로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 반면 IT 수요 회복과 글로벌 투자 확대를 기반으로 분위기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 기계산업은 긍정적인 신호와 부정적인 요인이 공존하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로봇·빅데이터·디지털 트윈·확장현실(XR) 등 차세대 기술이 홍수처럼 등장하는
국내 기계 분야는 그동안 자동차·철강·장비·조선·반도체 등 우리나라 뿌리산업에서 다양한 역사를 남겼다. 여러 차례의 산업 체제를 거치는 과정에서도 우리 산업 성장에 기여했다. 그간 축적한 기계산업의 활약상은 4차 산업혁명·디지털 전환·탈탄소·지속가능성 경향 등 새롭게 직면한 산업 국면에서도 기계산업에 주목해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각 산업을 세부적으로 분류한 지표인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기계산업은 크게 ‘일반 기계’, ‘전기기계’, ‘정밀기계’, ‘수송기계’, ‘금속 제품’ 등으로 분류된다. 각 항목은 또 수많은 영역으로 기계를 정의한다. 그만큼 기계는 우리나라 산업에 다각적으로 녹아있다는 뜻이 된다. 기계산업은 현재 지정학적 지정학적·정치적 리스크, 전방 산업 침체, 글로벌 경기 둔화, 고금리 등으로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 반면 IT 수요 회복과 글로벌 투자 확대를 기반으로 분위기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 기계산업은 긍정적인 신호와 부정적인 요인이 공존하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로봇·빅데이터·디지털 트윈·확장현실(XR) 등 차세대 기술이 홍수처럼 등장하는
[첨단 헬로티] 지난해 12월 기계산업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15.7% 감소했다. 정밀기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감소했다. 출하 또한 정밀기계만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감소세는 전년동월 대비 16.7%다. 재고는 금속제품, 정밀기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10.8% 증가했다. 기계산업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7.3% 감소한 173.2억 달러를,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1.9% 증가한 107.1억 달러를 기록해 66.1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본재공제조합의 ‘2017년 12월 기계산업 통계월보’를 바탕으로 기계산업 생산, 출하, 재고 동향 등을 정리했다. 기계산업 생산, 전년동월비 15.7% ↓ 지난해 12월 기계산업 생산은 비상업용 특수선박, 산업용보일러, 발전기, 머시닝센터 중심으로 감소했다. 반면 정밀기계에 속하는 환경분석기기는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업종별로 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년동월비 5.2% 감소했다. 부진한 품목은 머시닝센터,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선박용 내연기관 등이며, 호조세를 보인 품목은 수치제어선반, 패키지형 에어컨, 로더, 굴
[첨단 헬로티] 지난해 11월 기계산업 생산은 전년동월 대비 5.6% 감소했다. 거의 모든 업종에서 감소한 가운데 정밀기계, 일반기계 업종만 증가했다. 출하 또한 정밀기계, 일반기계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부진하여 전년동월 대비 6.2% 감소했다. 재고는 금속제품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9.6% 증가했다. 기계산업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9.2% 감소한 172.4억 달러를,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4.2% 증가한 100.6억 달러를 기록해 71.9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본재공제조합의 ‘2017년 11월 기계산업 통계월보’를 바탕으로 기계산업 생산, 출하, 재고 동향 등을 정리했다. 기계산업 생산, 전년동월비 5.6% ↓ 지난해 11월 기계산업 생산은 해상금속구조물, 소형승용차, 커넥터 중심으로 감소했다. 다만, 일반기계와 정밀기계 업종은 증가세를 보였다. 일반기계업종은 전년동월비 6.6% 증가했다. 호소세를 보인 품목은 반도체 공정장비, 반도체조립장비, 굴삭기 등이며, 부진한 품목은 전용 공작기계, 선박용 내연기관,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금형 등이다.
지난해 10월 기계산업 생산은 수송기계를 포함한 모든 업종에서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16.1% 감소했다. 출하 또한 모든 업종에서 부진하여 전년동월 대비 16.2% 감소했다. 재고는 금속제품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10.2% 증가했다. 기계산업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8% 감소한 162.1억 달러를,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3% 감소한 82.5억 달러를 기록해 79.5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본재공제조합의 ‘2017년 10월 기계산업 통계월보’를 바탕으로 기계산업 생산, 출하, 재고 동향 등을 정리했다. 기계산업 생산, 전년동월비 13.4% ↑ 지난해 10월 기계산업 생산은 컨테이너선, 해상금속구조물, 전자계측기 중심으로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년동월비 4.5% 감소했다. 호소세를 보인 품목은 반도체 공정장비, 칩마운터, 로더, 굴삭기 등이며, 부진한 품목은 열교환기, 선박용 내연기관,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장비, 금형 등이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절연코드 및 코드세트, 배전반, 커넥터, 소형전동기 등이 부진하며 전년동월 대비 15.
[첨단 헬로티] 올해 7월 기계산업 생산은 일반기계, 정밀기계업종에서 증가하여 전년동월 대비 0.7% 증가했다. 일반기계는 반도체 공정 장비, 정밀기계는 환경분석기기를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금속제품은 해상금속구조물, 전기기계는 전기청소기, 수송기계는 벌크선 중심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기계산업(조선 제외) 생산은 2.6% 증가했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자본재공제조합의 ‘기계산업 통계월보’를 바탕으로 기계산업 생산, 출하, 재고 동향 등을 정리했다. 일반기계, 정밀기계 분야 생산 호조세 기계산업 생산 현황을 업종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기계업종은 전용공작기계, 선박용 내연기관 등에서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반도체 공정 장비, 평판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굴삭기 등의 호조세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17.6% 증가했다. 전기기계업종의 경우 리튬 이차전지팩, 통신선, 수치제어장치 등은 호조세를 나타냈으나 전기청소기, 김치냉장고, 배전반, 소형 이차전지셀 등에서 부진해 전년동월 대비 4.0% 감소했다. 정밀기계업종은 환경분석기기, 전자계측기, 내비게이션, 반도체검사장비 등에 힘입어 전년동월 대비 8.1% 증가했으나, 수송기계업종
ⓒGetty imagesBank [헬로티] 2016년 3분기까지 우리 소재‧부품은 수출 1,857억 달러, 수입 1,128억 달러로, 무역흑자 729억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분기별 수출·수입 및 무역수지의 감소율이 둔화 추세를 보이며 특히, 소재 부문은 3분기 들어 증가세를 보였다. 1~9월 중 소재‧부품 수출은 1,857억 달러로 같은 기간 총 수출 3,632억 달러의 51.1%를 차지했으며, 지역별로는 중국의 수출 감소세 지속으로 대세계 소재·부품 수출 감소한 반면 아세안·일본은 증가했다. 중국은 자국산 부품 사용 장려 및 가공무역 제한정책, 우리 소재·부품기업의 중국 진출 둔화 등으로 수출이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아세안은 베트남 현지 우리 기업의 전자부품 직접투자의 지속 확대로 수출이 증가했으며, 아세안 수출액 증가를 주도했다. 일본은 구마모토 지진 등에 따른 일본 완성차 업계의 부품 공급선 다변화로 수송기계 부품이 크게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전자부품 등 대부분의 수출이 감소했으나, 컴퓨터 및 사무기기, 고무 및 플라스틱등 일부 품목은 증가세로 전환됐다. 한편 1~9월 중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