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작년 7월에 출범한 수소경제위원회 하위 실무위원회를 출범하고, 28일 첫 회의를 개최한다. 정부는 이를 계기로 보다 체계적이고 내실 있는 수소경제위원회의 운영을 위해 안건의 사전 검토‧발굴 등 필요한 업무를 지원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무위원회 산하에 생산, 저장·운송, 모빌리티, 발전, 산업, 지역, 국민참여·안전 등 전문 분과위원회를 7개 설치하고 위원들이 각 분과에 참여토록 했으며 보다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개발하는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하고 지난해 세계 최초로 수소법을 제정하고 컨트롤타워인 수소경제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산업부는 그간 수소경제위는 3차례 회의를 개최해 주요 수소경제 정책을 수립하는 등 초기 단계 수소경제 모멘텀 형성에 기여했고 자평했다. 최근 2050년 탄소중립,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 등에 따라 수소 경제의 역할은 더 커지고 있고, 다양한 도전 과제들이 있는 만큼, 정부는 실무위원회 및 전문 분과 위원을 구성·운영하여 수소경제위원회의 내실 있는 운영을 도모하고 수소경제를 확실하게 뒷받침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최근 탄소중립 등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인천 연료전지 발전소 준공식이 오늘 열렸다. 발전은 지난 6월부터 시작했다. 인천 연료전지 발전소는 발전사인 한국수력원자력, 도시가스 공급사인 삼천리와 두산건설이 함께 추진해 온 사업으로, 2019년 11월부터 약 18개월에 걸쳐 건설이 완료되었다. ㆍ시설용량 : 39.6MW ㆍ연간 전력 생산 : 3억2,000만kWh(약 8.7만 가구가 사용) ㆍ연간 열 생산 : 16만4,000Gcal(약 2.6만 가구가 사용) ㆍ공급 지역 : 인천 동구 등의 주변 대규모 주거지 인천 연료전지 발전소는 어떻게 가동되나? 연료전지는 물의 전기분해를 역이용하는 원리로 전기를 발생시킨다. 물을 전기분해할 때 수소와 산소가 발생되는데, 반대로 수소와 산소를 화학반응시키면 전기, 물, 열이 발생한다. 연료전지의 전기 발생 과정은, ①LNG를 수증기와 반응하여 수소를 전환시킨다. 다음으로 ②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으로 직류 전기를 생산한다. 끝으로 ③전력변환장치를 통하여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한다. 연료전지 발전소는 기존 발전소 방식보다 효율적이다. 기존 발전소는 연료 에너지를 수증기로 바꾼 다음 터빈을 돌려 전력을 생산하는 구조인데, 연료전지 발전소
[헬로티] SK그룹, Plug Power에 15억 달러 전략적 투자 합의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Plug Power와 SK그룹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 전역에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수소 연료 충전소, 전해조 공급을 추진하게 된다. (이미지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e-모빌리티 구동 수소연료전지 및 충전 솔루션 기업인 Plug Power와 한국 대기업 SK그룹이 아시아 시장 내 대체에너지 자원으로 수소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결성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Plug Power와 SK그룹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 전역에 걸쳐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수소 연료 충전소, 전해조 공급을 추진하게 된다. 양 사는 이와 함께 SK그룹이 Plug Power에 15억 달러 규모 전략적 투자를 한다는 내용의 본계약에 합의했으며 급성장 중인 아시아 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 내 합작법인을 설립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한국 정부는 2019년 1월, 2040년을 목표 시한으로 잡은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연간 500만 톤 이상의 수소 조달, 연료전지 전기차 600만대 이상 생산, 충전소 1200개소 확충, 연료전지 발전용 15GW 보
‘수소경제 선도국가’를 향한 여정, 지금까지 결과는? [헬로티 = 김동원 기자] 2019년 1월,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204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정부는 2040년까지 수소차 누적생산량을 620만 대로 늘리고, 42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야심찬 목표도 세웠습니다. 정부의 지원 아래 지난해 한국은 글로벌 수소차 판매 1위, 연간 수소충전소 세계 최다 구축, 세계 최대 연료전지 발전시장 조성 등의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올해 5월까지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는 2,23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120% 증가했습니다. 연료전지 역시 올해 하반기까지 180MW 이상 추가 완공될 예정으로 2022년 목표 1GW는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코로나19로 주춤하기는 했지만, 수소 충전소는 올 한해 누적 100기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수소에너지는 석탄과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에너지입니다. 이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