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통제, 무역투자, 공급망 등 분야별 기업 지원창구 개설 추진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지원을 준비 중이다. 산업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산업자원안보TF, 에너지·자원 수급관리 TF를 통해 실물경제 영향과 대응방안 등을 면밀히 점검해왔다. 업계·에너지공기업 등과 긴밀한 논의를 통해 현재까지는 해당 사태로 인한 수출, 현지 투자, 에너지 수급, 공급망 등 실물경제 전반에 큰 차질은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러시아 병력이 철수 중이라는 일부 언론 보도도 있었으나, 우리 정부는 상황이 급박하게 전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무력충돌 발생시에는 우리 기업이 여러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어 사전적 대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제4차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우리 기업의 피해 최소화 방안을 미리 강구”하고 “국내 실물경제·금융시장에 미치는 불확실성을 줄이는 노력도 강화”할 것을 당부했다. 이에 산업부는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사전 준비로, 기업과 비상연락망을 구축하고 전문화된 대응지원 시스템을 마련 중이다. 전략물자관리원은 미국의 수출통제 조치 강화 시 전담 수출
[첨단 헬로티] 1월 7일을 시작으로 연초 집중적인 지역 설명회 추진 일본 수출 규제 대응 및 기업 애로 해소 지원을 위해 지난해 7월부터 운영 중인 민관합동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는 소부장 특별법 개정 등 금년부터 대폭 강화되는 소재부품장비 정책의 현장이해도 제고 및 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해 찾아가는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는 소재부품장비 정책의 이해 및 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해 찾아가는 정책설명회를 개최했다. 7일 ‘정부 R&D 부처합동 설명회(수도권)’를 시작으로 1, 2월 간 총 15회에 걸쳐 지역 순회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후에도 센터는 과기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 및 지역별 산업단지,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소부장 정책의 현장홍보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민관합동 소재부품 수급대응 지원센터는 기업의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된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파악된 수급애로는 원스톱으로 신속하게 해결하고 있다. 기업의 원활한 소재부품 수급을 위해서도 특별연장근로 승인, 화학 인·허가 패스트 트랙(인허가 기간 75일→30일) 등 기업의 생산시설 확보, 국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