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및 산업기계용 정밀 부품과 시스템 공급업체인 셰플러 그룹이 2040년부터 그룹의 모든 생산 및 공급망이 기후 중립 기반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3일 발표했다. 셰플러코리아에 따르면 셰플러그룹은 최근 공개한 '2022년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2040년부터는 그룹의 모든 생산 및 공급망이 기후 중립 기반으로 운영돼 CO₂ 배출 저감을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보다 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수립한 2022년 기후대응 계획으로는 '녹색구매', '녹색생산', '녹색제품'의 3가지 핵심요소를 꼽았다. 셰플러는 녹색구매의 일환으로 2027년부터는 스웨덴 H2그린스틸(H2greensteel)사와의 협력을 통해 연간 10만 톤을 공급받으며, 이를 통해 사실상 CO₂ 배출이 없는 강철을 공급받게 된다. 또한 2030년까지 전세계 셰플러 공장의 연간 전력 수요량의 25%를 내부 생산된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충당해 녹색생산을 실천할 예정이다. 녹색 제품 분야에서는 현재 탄소발자국의 종합적인 계산을 자동화하는 통합된 청사진을 개발 중에 있다. 이외에도 공급망에서 CO₂ 배출 저감을 위해 지난해 노르웨이 기술업체 리텍(REEtec A)과 희귀 광물조달을 위한 합작 투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셰플러그룹의 올해 상반기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셰플러코리아는 셰플러그룹의 2021년 상반기 매출이 70억 1,400만 유로를 기록해 지난해 동기 대비 27.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증가세는 그룹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부문의 매출이 대폭 증가했으며, 오토모티브 애프터마켓과 산업기계 부문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셰플러그룹의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부문은 43억 6,500만 유로의 실적을 올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9% 증가한 매출을 기록했다. 또한 오토모티브 애프터마켓 부문의 매출이 9억 1,100만 유로로 24.2% 증가하고, 산업기계 부문도 13.3 % 증가한 17억 3,800만 유로를 달성하면서 실적 증가에 한몫을 했다.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부문의 판매는 2/4분기 들어 대폭 확대돼, 그룹의 모든 4대 지역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미주지역에서는 무려 90.3%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유럽지역(67.5%)과 아시아태평양지역(58.7%)의 판매도 50% 이상 크게 늘어나 하반기 전망을 밝게 했다. 오토모티브 테크놀로지 부문의 상반기 수주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