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 외국 기업 유치 정책 등의 요인으로 인도에 생산기지 투자 이어져 최근 중국을 대신해 인도가 새로운 생산기지로 주목받는 가운데, 대만 폭스콘이 인도에 5억 달러를 투자해 부품공장 2곳을 지을 예정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1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폭스콘이 남부 카르나타카주에 공장을 지을 예정이며, 이 가운데 최소한 한 곳에서 애플 아이폰 휴대전화 부품을 생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직 구체적인 공장 위치는 미정이지만, 이르면 이번 주 공식 발표가 있을 수 있다는 게 블룸버그 설명이다. 다만 애플과 폭스콘은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답변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블룸버그는 이와 별도로 인도 타밀나두주 당국을 인용해 폭스콘이 이 지역에 1억9500만 달러를 투자해 부품 공장을 짓기로 가합의했다고 밝혔는데, 로이터통신은 중국매체 증권시보를 인용해 폭스콘 측이 이를 부인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그럼에도 미중 갈등과 공급망 다변화에 따른 인도의 반사이익,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외국 기업 유치 정책 등에 힘입어 최근 몇 년 사이 폭스콘을 비롯한 애플 협력업체들이 인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반도체 기업의 인도
[헬로티] 코트라(KOTRA)가 3일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추진전략’ 웹세미나를 개최한다. 코트라는 이번 세미나에서 스마트공장 기술을 활용해 현지 제조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과 실제 도입사례 등을 소개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메이킹 인도네시아 4.0(Making Indonesia 4.0)’ 정책을 추진 중이다. 2030년까지 세계 10대 산업국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트라는 한국의 스마트공장 관련 기술과 솔루션 등의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생산기지로서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진출수요가 높은 국가다. 2018년부터 최근 3년간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은 237개사(신규법인 수 기준)로 그중 40%가 제조업이다. 이번 세미나 연사로 나선 한석희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부회장은 “제조업에서 초격차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낮은 인건비에만 의존하면 안 된다”며 “한국 생산 현장에서 도입되어 검증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