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술 고도화에 발맞춰 다양한 제품군에서 사이버보안 역량을 입증했다. 30일 LG전자에 따르면 LG전자의 냉장고, 사이니지, 스마트 모니터, 사운드 바 등 제품은 지난해 글로벌 시험·인증 전문기관 TUV 라인란드로부터 사이버보안 표준(ETSI EN 303 645) 인증을 받았다. 이 인증은 유럽통신표준협회(ESTI)가 사물인터넷(IoT) 기기 개발·제조업체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정한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이다. 사운드바와 스마트 모니터 제품의 인증 획득은 전 세계에서 처음이며, 냉장고와 사이니지 또한 국내 최초 사례다. AI 기술 발전과 IoT 기기 보편화로 제품 보안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세계적 수준의 사이버보안 기술과 제품 적용을 인정받았기에 의미가 있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LG전자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 연결성을 기반으로 출시되는 전 제품의 개발 단계부터 자체 보안 개발 프로세스 ‘LG-SDL’을 적용한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보안 취약점을 사전 탐지 및 대응하기 위한 보안 활동으로, 전 제품에서 필수로 수행해야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정책이다. AI를 비롯해 더 고도화한 사이버보안이 요구되는 제품군에
webOS의 확대 전략, 고객 만족도 제고 위한 기술혁신 방안 등 발표 LG전자가 19일 서울 마곡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에서 세계 30개국 콘텐츠 사업자∙개발자∙업계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webOS 파트너 서밋 2023’을 개최했다.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TV 사업 리더십을 기반으로 webOS 플랫폼의 생태계 확대 및 가치를 공유하는 행사는 처음이다. LG전자 박형세 HE사업본부장은 “올레드 TV 10년의 리더십과 스마트 TV 플랫폼 webOS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나은 삶을 위한 차별화된 콘텐츠·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엔터테인먼트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을 제시했다. 이어 그는 “LG전자는 더 이상 단순한 하드웨어 제조업체가 아니다. 다양한 세대에 차별화된 경험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방적인 소프트웨어를 갖춘 플랫폼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LG전자는 이러한 플랫폼·서비스 분야의 과감한 변화와 혁신으로 조주완 사장이 지난 7월 미래비전을 통해 밝힌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의 전환에 앞장설 방침이다. 이날 박 본부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webOS의 확대 전략, 고객 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술혁신 방안, 새로운 플랫폼
136형 올인원 타입 마이크로 LED…컨트롤러, 스피커 첫 내장 LG전자가 올인원 타입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 올인원(모델명: LAAA)’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했다. LG 매그니트 올인원은 136형 초대형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스피커를 ‘올인원’ 형태로 내장한 첫 마이크로 LED 제품이다. 제품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엔데믹 이후 증가하는 비즈니스 미팅 수요에 최적화됐다. 자발광(自發光) 디스플레이만의 압도적 화질을 갖췄고, 회의실 등 업무 공간에 최적화된 디자인과 편의 기능을 강화했다. 특히 컨트롤러와 스피커가 내장돼 설치와 사용이 편하다. 전원, HDMI 포트 등 입력 단자가 화면부 아래에 배치돼 외부 기기 연결이 수월하다. 프레젠테이션 타이머 기능과 사이니지의 화면 보호 모드에서 회의 주제 등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도 유용하다. 함께 제공되는 매직리모컨에도 회의 특화 기능이 탑재됐다.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 것처럼 사이니지를 간편하게 조작하거나 회의 중 레이저 포인터로 활용할 수 있다. 리모컨의 프리즈(FREEZE) 버튼을 눌러 공유 화면을 고정한 채 PC에서 추가 작업도 가능하다. LG 매그니트 올인원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LG디스플레이가 22인 오늘 친환경 터치 기술인 AIT(Advanced Incell Touch)로 국가 공인 녹색기술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AIT 기술을 혁신적이면서도, 에너지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친환경 기술로 평가한데 따른 것이다. LG디스플레이가 독자 개발한 AIT 기술은 터치 센서와 배선 등을 LCD 내부에 넣어 얇고 가벼우면서도 터치 성능을 높인 것이 특징으로, 전자칠판, 키오스크, 사이니지, 자동차 등 프리미엄 터치 LCD 제품에 폭넓게 사용된다. 특히, 기존 터치 패널을 LCD 위에 덧붙이는 공정을 없앨 수 있어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고 부품 수도 절감할 수 있다. AIT 기술을 공정에 적용한 결과, 매년 소나무 약 5만 그루를 심는 효과인 7000톤의 탄소배출량과 희소금속인 인듐 사용량을 최대 68% 줄였다. 김창곤 LG디스플레이 회로알고리즘연구담당은 “AIT 기술처럼 탄소배출량과 희소자원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친환경적인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LG디스플레이는 2014년부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지속적인 환경 투자를 통해
[헬로티] LG전자가 고화질은 물론 설치 편의성까지 대폭 강화한 ‘LG LED 사이니지’ 신제품을 22일 글로벌 시장에 출시했다. LG LED 사이니지 신제품은 가로 600mm, 세로 337.5mm, 두께 44.9mm 크기의 LED 캐비닛(LED 소자가 박힌 LED 사이니지의 기본 구성단위)을 레고 블록처럼 간편하게 이어 붙일 수 있어 대강당, 로비, 회의실 등 다양한 상업용 공간에 맞춰 설치할 수 있다. ▲ LG전자가 고화질에 설치 편의성까지 더한 차세대 LED 사이니지를 출시했다. (LG전자 제공) LG전자는 기존 LED 사이니지가 LED 캐비닛 간 신호 송·수신, 전원 공급 등을 위한 케이블들을 각각 연결해야 해 설치가 번거롭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이번에 혁신적인 LED 사이니지를 개발했다. LG LED 사이니지 신제품은 LED 캐비닛 간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도 손쉽게 이어 붙이기만 하면 원하는 크기로 설치할 수 있는 차세대 사이니지다. LED 캐비닛을 원하는 크기에 맞춰 설치한 후 맨 아래 LED 캐비닛에만 신호 송·수신 및 전원 공급 케이블을 각각 연결하면 최대 16:9 비율의 4
[첨단 헬로티] 주문부터 계산까지 AI가 하는 셀프체크아웃, 얼굴 인식 사이니지 솔루션 인기 미래형 유통 매장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CJ올리브네트웍스의 핵심 ICT기술인 스마트스토어솔루션인 원오더(One Order)가 주목을 받고 있다. CJ올리브네트웍스 IT사업부문(대표 이경배)이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첨단 스마트 기술 전시회인 스마트테크 코리아에서 체험형 ICT 첨단 기술을 선보였다. 전시회에서 특히 사물을 인식하여 상품명과 가격까지 알려주고 결제까지 자동으로 되는 셀프체크아웃(SCO) 뿐만 아니라 팔찌를 태깅하여 음료를 셀프로 마시고 결제까지 할 수 있는 탭오더(Tab Order)를 통해 스마트스토어솔루션인 원오더(One Order)를 시연했다. ▲ CJ올리브네트웍스 스마트스토어솔루션 탭오더 CJ올리브네트웍스에 따르면, 무인화 구성의 핵심 솔루션인 원오더는 태블릿과 휴대폰, 스마트워치 등 모바일기기를 활용해 ▲고객 대기부터 ▲메뉴 주문 ▲결제 ▲생산 ▲딜리버리까지 모든 과정에서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해 운영비를 평균 25% 절감해준다. 현재 계절밥상, 제일제면소, 더플레이스 등 CJ푸드빌의 외식 매장 뿐만 아니라 매드포갈릭 등 외부 브
[첨단 헬로티]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의 최신 솔루션 제공업체인 키오스크코리아㈜(대표 이명철)가 자영업자, 소상공인에 최적화된 이젤 타입 디지털 메뉴보드를 출시하였다. 키오스크코리아㈜는 카페 비지니스 사업자들을 상대로 이젤 타입 디지털 메뉴보드를 코엑스(Coex) 카페쇼에서 시험적으로 발매한 이후 32인치와 43인치 2가지 모델을 공식 출시한 것이다. 특히 32인치의 경우 어떤 공간에서도 어울리는 우드 함체 형태로 구성되며, 43인치의 경우 스틸 타입으로 제작되었다. 매장을 운영하는 시간에는 매장안이나 매장 밖에 설치하여 이동중인 고객의 유입 효과가 탁월 할 것으로 평가 받을 뿐만 아니라, 동작 방법도 USB에 표출 영상을 저장하여 디지털 메뉴보드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네트웍의 연결없이 화면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높였다. 적은 부담으로 디지털 메뉴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한 키오스크코리아는 SM3K, SM4K에 사용하는 컨텐츠를 동영상으로 제작이 가능한 솔루션도 준비하여 새로이 선보일 예정이다. 키오스크코리아㈜의 이경근 이사는 “이번 발매한 디지털 메뉴보드 SM3K, SM4K는 편의점, 카페, 부동산, 프랜
[첨단 헬로티] LG전자가 17일부터 20일까지 삼성동 COEX에서 열리는 ‘KES(Korea Electronics Show) 2017’에 참가했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900m² 규모의 부스를 마련하고 차원이 다른 화질의 올레드 TV, 인공지능 스피커 스마트 싱큐 허브∙ IoT 기반의 스마트홈 가전, LG V30 등 혁신적인 제품을 대거 전시했다. LG전자는 예술작품을 연상시키는 월페이퍼 디자인의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W’를 전면에 내세웠다. 이 제품은 설치 시 마치 그림 한 장이 벽에 붙어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화면 이외의 요소를 철저히 배제해 미니멀리즘 디자인이 구현한 아름다움의 극치를 선사한다.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W’는 미래 지향적 디자인과 우수한 사용 편의성을 인정받아 한국전자전의 ‘최고 디자인’ 제품으로 선정됐다. LG전자는 월페이퍼 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해 화면을 제외한 모든 부품과 스피커를 별도의 ‘이노베이션 스테이지’로 분리했다. 이노베이션 스테이지는 4개의 일반 스피커와 2개의 우퍼 스피커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6월 14일부터 16일까지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인 ‘인포콤2017'에서 2017년형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를 공개하고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선다. 2017년형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는 향상된 그래픽 엔진과 하드웨어를 내장하고 리눅스 기반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타이젠 3.0을 탑재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 제품은 하드웨어 칩 업그레이드로 응답 속도와 화면 로딩이 빨라 화려한 영상도 끊김 없이 재생이 가능하며,웹 그래픽 성능 향상으로 화려한 광고 영상이 필요한 매장에 적합하다. HTML5와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를 지원해 보다 폭넓은 호환성과 최적화된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2017년형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는 타이젠 3.0을 탑재하며 보안 성능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됐다. 녹스 보안 솔루션을 활용해 외부 공격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 다중 계층 보안 솔루션으로 하드웨어, 타이젠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등을 보호해 준다. B2B 솔루션 파트너들에게 보안 API를 제공해 맞춤형 보안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포콤 2017에서 타이젠 3.0이 탑재된 Q
▲ 메뉴판 전용 디지털 사이니지 두 오더 [사진=시더] [헬로티]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더가 메뉴판 전용 디지털 사이니지 ‘두 오더(Do-order)’를 출시한다고 23일 밝혔다. 출시 예정인 두 오더는 외식업 종사자와 프렌차이즈를 위해 개발된 메뉴판 사이니지다. 내년부터 원산지 표시법이 바뀜에 따라 메뉴판 시장의 변화가 감지되는 가운데 두 오더는 기존의 디스플레이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웹으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두 오더는 이미지만 보여주는 사이니지가 아니라 외부 정보와 소통하는 인터렉티브 사이니지로 POS와 연동돼 실시간으로 인기 메뉴를 보여주고 그 순위를 반영할 뿐 아니라 특정 성별이나 날씨, 이벤트에 맞춰 사이니지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기업은 손님의 주문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웹을 통해 제어가 가능해 디지털 기기만 있으면 어디서나 편리하게 관리,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 비용도 저렴한 편이다. 한편, 시더는 16일부터 중국 광동성 심천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16 차이나하이테크페어’에 참가해 두 오더 1세대를 선보였다.
▲ KES 2016에 전시된 LG시그니처 [사진=LG전자] [헬로티] 2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린 ‘KES(Korea Electronics Show) 2016’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맞붙었다. 먼저, LG전자는 올레드 TV, 세탁기 등 LG 시그니처와 얼음정수기냉장고, 전기오븐 등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부스 전면에 배치해 가전제품의 스마트 기술을 직접 체험해보며 프리미엄 가전의 진정한 가치를 체험해 볼 수 있도록 준비했다. 전시회 기간 동안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체험존에서 홈파티 쿠킹쇼도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LG전자는 오디오와 카메라 성능을 내세운 프리미엄 스마트폰 ‘LG V20’ 체험존 운영한다. 체험존 방문객은 ‘LG V20’의 뛰어난 음질과 카메라 성능을 다른 제품들과 비교해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분에서는 물결형태로 휘어진 물결형 사이니지, 제품의 앞면과 뒷면에서 동시에 화면을 볼 수 있는 양면 사이니지, 58:9 화면비의 울트라 스트레치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밖에도 LG전자는 TV, 세탁기, 냉장고, 공기청정기 등 생활가전과 노트북
▲ [사진=삼성전자] [헬로티] 삼성전자가 타이젠 OS를 탑재한 스마트 사이니지를 출시하며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포부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10일 화면밝기 700니트의 PHF 시리즈 3종과 화면밝기 500니트 PMF 시리즈 3종, 화면밝기 400니트 PMF 1종 등 총 7종의 신모델을 출시했다. 출시된 타이젠 스마트 사이니지는 29.9mm의 두께에 6.9mm의 초슬림 베젤 디자인이 적용됐다. 사용자 환경에 최적화된 UI를 적용했을 뿐만 아니라 쿼드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해 어떠한 광고 컨텐츠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사이니지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토탈 솔루션으로 모든 제품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삼성 스마트 사이니지 플랫폼’ 파트너를 위해 향상된 API를 제공하는 한편, 차세대 규격인 HTML5 표준과의 호환성도 확보해 다양한 매장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타이젠 스마트 사이니지 PHF·PMF시리즈는 IP5x 등급의 방진 기능과 리모컨 IR신호를 수신하는 센터IR기술을 앞세워 공공장소 및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김석기 전무
LG전자가 차원이 다른 올레드로 상업용 디스플레이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AV 전시회 ‘인포콤 2016(InfoComm 2016)’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전세계 108개 국가의 1,000여개 업체가 참여했다. LG전자는 300㎡ 규모의 전시부스를 마련해 △차원이 다른 올레드 사이니지, △58:9 화면비로 공간 활용도를 높인 ‘울트라 스트레치’, △쉽고 직관적인 사이니지 플랫폼 ‘웹OS’를 적용한 솔루션 등 다양한 상업용 디스플레이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LCD와는 차원이 다른 올레드의 강점을 앞세웠다. 올레드는 백라이트 없이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색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올레드는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색의 왜곡이 없어 넓은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보는 상업용 디스플레이로서 탁월하다고 덧붙였다. 올레드는 기존까지 주로 사용하던 LCD 패널에 비해 두께가 얇고, 곡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LG전자는 이 같은 올레드의 장점을 활용해 물결 형태, 아치
삼성전자가 지난해 사이니지(상업용 디스플레이)시장에서 연간 시장점유율과 분기별 시장점유율 모두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7년 연속 세계 1위를 달성했다. 시장조사전문기관 IHS에 따르면 2015년 삼성전자는 세계 사이니지 시장에서 28.1%(수량기준)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2009년부터 7년 연속 1위 자리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에는 한분기 역대 최대인 28.8%의 시장점유율로 2위와의 격차를 2배 이상 벌리며 업계 리더로서의 시장 지배력을 더욱 높였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사이니지 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는 차별화된 솔루션과 혁신적인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이와 같은 독보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아웃도어 사이니지를 활용한 교통사고 방지 ‘세이프티 트럭’과 85인치 UHD 대형 사이니지의 터치스크린을 활용해 생생한 매장 체험을 할 수 있는 ‘센터스테이지’ 등이 가장 뛰어난 마케팅 활동에게 수여되는 ‘칸 라이언즈 어워드’를 받으며 삼성전자의 사이니지 혁신을 업계로부터 인정받았다. 한편 삼성전자는 작년 3월 미국의 LED 사이니지 전문 업체인 &lsquo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회장 권오현, 이하 KEA)가 미래형 전략산업인 디지털사이니지 중소업체와 함께 해외시장 공략에 앞장섰다. KEA는 3월 16일부터 17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 LVCC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라스베가스 디지털 사이니지박람회(Digital Signage Expo, 이하DSE)'에 중소기업청 지원으로 한국관을 최초 구성, 사운드그래픽, 에프엑스기어, 페인트팜, 딜리, 알엔디플러스, 에버트리, 노크, 삼일CDS 등 8개 강소기업과 함께 참가했다. 이들 기업이 선보인 제품은 3D 가상피팅솔루션(에프엑스기어), 에어터치기술(알엔디플러스), 스크린페인트(페인트팜), 사이니지플랫폼(노크), 투명 디스플레이(삼일CDS), 메뉴보드솔루션(사운드그래픽), 비디오월솔루션(딜리), 미러디지털사이니지(에버트리) 등 다양하다. 이밖에도 Public Display 점유율 1위인 삼성과 3위인 LG는 각각 현지법인에서 비디오월솔루션 및 올인원디스플레이를공개했다. ▲ DSE 2015 전경. CPND(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기술이 융합되는 디지털사이니지 세계시장 규모는 연평균 5%이상 성장하며, 2020년 20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