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앞으로는 교통사고를 고의적으로 유발해 보험금·합의금을 편취하는 범죄가 어려워지게 된다.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보험사기를 유발하는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대한 연구개발 등을 통해 피의자의 ‘고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특히 국과수는 지난 3년간 연구를 통해 운전자 사고 유발 고의성 입증 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라 현재 다수의 보험사기 적발에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고의 교통사고’는 점차 그 수법이 조직화·지능화 되어 피해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지난해에만 기준 적발액이 8986억에 달했다. 때문에 정부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2016년부터 보험사기방지특별법을 시행해 보험사기행위에 대한 처벌 및 수사를 강화했으나, ‘사람의 심리’에 해당되는 고의성에 대한 입증이 어려워 보험사기 적발 및 처벌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국과수는 전담팀을 구성해 3년 전부터 연구개발에 착수한 결과, 올해 관련 연구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해 운전자의 고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게 됐다. 특히 지원자 105명을 모집해 위험 상황에서 운전자의 시선과 조향 및 제동 반응 등의 행동 특성을 연구했고, 이
(출처: 연합뉴스) [헬로티] KB손보·신한생명, 소셜미디어 보험사기 탐지시스템 가동 날로 다양해지고 고도화하는 보험사기 추세에 보험업계가 소셜미디어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대응에 나섰다. KB손해보험은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보험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소셜미디어에서 보험사기 징후를 포착하는 'SMA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보험사기 모의·진행이 이뤄지는 최근 추세를 고려해 개발됐다. 과거에는 연고가 있는 사람들의 공모로 보험사기가 진행됐지만, 최근에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모인 생면부지의 사람들이 조직적으로 저지른 보험사기 사건이 속출하고 있다. KB손보가 개발한 시스템은 포털, 블로그, 뉴스, 인스타그램, 트위터 등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와 병원, 질병명, 치료법 등 외부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에 보험사기 의심 문서 탐지 프로세스를 적용, 사기 위험도를 평가해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보험사기 흐름과 행태를 예측하고 이상 징후를 탐지해 결과를 제시한다. 신한생명도 최근 소셜미디어에서 보험사기 징후를 감시하는 분석 시스템을 개발해 가동에 들어갔다. 신한생명의 소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