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소통에 기여하겠다” KT가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 간 소통 플랫폼인 ‘랑톡’에 학부모 민원 통합 관리 항목을 추가해 소통 기능을 강화한다. 랑톡은 KT 유선전화를 설치한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구독형으로 이용 가능한 소통 플랫폼이다. 이번에 랑톡에 추가된 학부모 민원 통합 관리는 학부모가 랑톡에 남긴 민원 내용을 일괄 처리·관리하는 기능이다. 랑톡 애플리케이션 마이페이지에서 별도 저장이 필요한 민원에 대해 PDF 파일 형태로 제공한다. 여기에 기존 랑톡 통화 녹음 기능을 통해 저장된 녹음 파일을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도 추가됐다. 민혜병 KT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DX 본부장은 “KT는 랑톡이 공교육 현장의 소통 도구로 널리 활용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공교육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오는 17일까지 ‘학교 랑톡’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규 소통 기능 설문 및 사용자 의견을 취합한다. KT는 이를 통해 랑톡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헬로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24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에서 열리는 ‘AI 엑스포 코리아 2021’에 참가, 최신 인공지능(AI) 관련 연구성과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지능형 범죄위험 예측기술 동작 예시 설명 그림(출처 : ETRI) ETRI는 제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 AI 관련 기술을 전시, 기술이전 및 사업화에 적극적으로 나선다고 전했다. 연구원이 일반에 공개하는 주요 기술은 ▲인공지능 얼굴정보 인식 기술 ▲지능형 범죄 위험도 예측기술 ▲치안 민원응대 폴봇 기술 등이다. 이외에도 ETRI는 인공지능 유망기술 소개와 함께 기술이전·사업화를 위한 설명회도 가질 에정이다. 먼저 인공지능 기반 얼굴정보 인식 기술은 사람의 얼굴정보를 카메라로 자연스럽게 인식하는 AI 기술이다. 사용자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로 패션 조언이나 출입관제 보안, 범죄인 검색, 감염병 접촉자 판별도 가능해 코로나19 등 팬데믹 관련 분야에도 효과적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지능형 범죄위험도 예측 기술은 범죄위험상황을 초기에 인지해 실시간 범죄위험을 판단하고 대응하기 위한 기술이다. 특히 112 신고데이터를 심층 분석한 기술로 향후 경찰이 신고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