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소속의 존 물레나르 하원의원이 AI 반도체 대표 기업 엔비디아의 H20 칩 대중국 수출 재개에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그는 자국 반도체 기술이 중국의 군사력 강화나 감시 시스템에 활용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물레나르 의원은 7월 18일(현지시간)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엔비디아의 H20 반도체 수출이 “중국 공산당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며, 수출 중단 결정을 재확인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중국은 미국의 기술을 활용해 자국민을 통제하고, 군사적 역량을 키우며, 결국 미국의 혁신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4월의 수출 중단 조치는 올바른 판단이었다”며 상무부의 기존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엔비디아는 지난 4월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 강화 기조에 따라 중국 내 H20 반도체 판매를 일시 중단한 바 있다. 하지만 미중 간 통상 관계가 부분적으로 완화되며, 약 3개월 만에 해당 제품의 수출을 재개했다. 이는 지난 5월 양국이 관세 문제를 일부 봉합하며 한발 물러선 조치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그러
올해로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라는 이미지를 벗고 글로벌 제조업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야심찬 비전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한 지 10년이 됐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의 제조업 혁신 성과는 그 저력을 가늠할 지표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와 조선 분야에서는 압도적 글로벌 선두로 자리잡았고, 인공지능(AI), 로봇, 태양광 등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어냈다. 그러나 반도체, 신소재 같은 첨단 핵심 분야에서는 여전히 선진국의 벽을 완전히 넘지 못한 채 고전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중국은 10년 전 '제조대국'에서 '제조강국'으로의 전환을 선언하며 차세대 정보기술, 고급 로봇, 항공우주, 선진궤도 교통, 신에너지 자동차, 신소재 등 10대 핵심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중국은 전기차 세계 점유율 50%, 조선 수주 70%, 배터리 시장 60% 장악이라는 괄목할 성과를 거두었다. 산업용 로봇 생산량도 10년간 15배 증가했으며, 태양광 패널 생산은 세계 수요를 훨씬 초과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올해 초 등장한 생성형 AI 모델 '딥시크'는 선진국 유학 경험이 없는 토종 인재들이 개발한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BBC는 '중국이
말레이시아 자프룰 아지즈 장관 "의혹에 대해 면밀한 조사 요청" 말레이시아 정부가 미국의 요청에 따라 엔비디아 첨단 반도체가 자국을 경유해 중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단속을 강화하고, 데이터 센터 관련 규제도 엄격히 할 방침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4일 자프룰 아지즈 말레이시아 국제통상산업부 장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자프룰 장관은 "미국 정부가 말레이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엔비디아 첨단 반도체가 유입된다는 의혹에 대해 면밀히 조사하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모든 엔비디아 반도체 수입물량에 대한 추적을 요청했다"며 "엔비디아 반도체가 장착된 서버의 최종 목적지가 말레이시아 데이터 센터가 돼야 하고, 갑자기 다른 곳으로 이동하지 않기를 미국은 원했다"고 FT에 전했다. 이에 말레이시아 정부는 데이터 센터 산업 규제를 강화하기 위한 특별 태스크포스도 구성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수년간 말레이시아는 구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기업의 데이터 센터를 적극 유치하며 관련 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 중 하나로 주목받았다. 이번 조치는 지난 1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