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C, AI 시장에 대한 지배력 확대로 경쟁 제한될 수 있어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의 파트너십에 대해 미 연방거래위원회(FTC)가 반독점법 위반 등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FTC는 전날 내놓은 보고서에서 MS의 오픈AI에 대한 130억 달러 규모의 투자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지배력을 초기 인공지능(AI)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점유율 2위의 MS는 2019년부터 오픈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130억 달러를 투자했다. 이에 AI 시장에서도 지배력을 넓혀감으로써 경쟁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이다. FTC는 또 MS의 오픈AI 투자가 AI 개발사들이 향후 MS에 의해 "완전히 인수"될 위험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오픈AI 대항마로 평가받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에 대한 아마존과 구글의 투자 역시 이런 위험을 높인다고 덧붙였다. 아마존과 구글은 앤스로픽에 대해 각각 80억 달러와 20억 달러를 투자하며 파트너십을 높이고 있다. 챗GPT가 생성형 AI 열풍을 일으킨 이후 2년 동안 주요 AI 스타트업들은 비용이 많이 들고 컴퓨팅 집약적인 기술 개발을 지원받기 위해
헬로티 서재창 기자 |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엔비디아의 ARM 인수가 혁신과 경쟁을 저해할 수 있다며 인수 반대 소송을 제기했다고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 등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C는 이날 성명을 통해 "엔비디아가 ARM을 인수하면 스마트폰과 공장 설비, 자동차 생산업체 등 전 세계 기술 대기업이 사용하는 반도체 칩 디자인에 대한 지배권을 갖게 돼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라며 소송 방침을 밝혔다. 민주당 측과 공화당 측 위원 2명씩으로 구성된 FTC는 만장일치로 엔비디아의 ARM 인수 반대 소송 제기를 결정했다. 홀리 베도바 FTC 경쟁국장은 "차세대 기술을 위한 혁신을 한 반도체 대기업이 억제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반도체 기업 사상 최대인 이번 합병을 막는 소송을 제기한다"고 말했다. FTC는 또 엔비디아의 ARM 인수와 관련해 유럽연합(EU)과 영국, 일본, 한국의 경쟁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에 대해 자사의 ARM 인수가 산업계에 득이 되고 경쟁을 촉진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ARM은 성명에서 "ARM의 R&D에 투자하고 로드맵을 가속하며 경쟁을 촉진할 것"이라며, "ARM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