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도시 내 부족한 생활 물류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전담 조직(TF)을 구성하고, 3월 7일 오후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TF는 급증하는 도시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 생활 물류 시설이 입지 부족 등으로, 외곽으로 밀려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택배 운행 거리 증가, 교통 체증 및 대기 오염 등의 사회적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 1인당 택배 이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연평균 100.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TF는 지자체, 공공기관(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등), 물류 업계 등이 참여하여 주차장, 구름다리 하부, 철도 용지 등 도시 내 유휴부지를 생활 물류 용도로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TF는 3월 7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도시 생활 물류 인프라 확충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주차장 유휴 공간에서의 택배 환적 작업 허용을 통해 도시 주차장을 생활 물류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주차장 입지와 시간대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여 구체적인 실증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근오 물류 정책관은 “급증하는
부산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부산지역 제조업 물류비 실태 및 의견조사’에 따르면, 부산지역 제조업체들의 물류비 부담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해상운임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압박이 주요 문제로 지목되었다. 이번 조사는 부산 지역 제조기업 275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기업의 물류비 실태와 개선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사에 따르면 부산 지역 제조기업의 매출 대비 물류비 비중은 평균 6.9%로 전국 평균과 동일했지만, 매출의 10% 이상을 물류비로 지출하는 기업이 32.4%에 달해 물류비 부담이 높은 기업 비율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상운임 관련 비용은 수출 기업을 중심으로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고운임이 지속될 경우 일부 기업은 수출 포기나 축소를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부산 제조업의 물류 형태를 살펴보면, 71.6%의 기업이 아웃소싱 형태로 물류를 운영하고 있으며, 육상운송 비중이 63.5%로 가장 높았다. 해상운송은 29.3%, 항공운송은 7.1%로 나타나 해상운송이 중요한 수출 경로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해상운송 비용 증가로 인해 수출 경쟁력이 저하되는 사례가 보고되면서, 물류비 절감 방안을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