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대답 생성하는 ‘매직챗’과 무료 이모티콘 ‘잽모지’ 등으로 차별화 꾀해 투플랫폼이 자사의 인공지능 소셜앱 ‘재피(ZAPPY)’가 정식 출시 2개월 만에 약 25만 명의 유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재피는 메시징과 SNS를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한 서비스로, AI 캐릭터와의 대화는 물론 실제 친구들과의 소통도 가능하다. 대화의 문맥을 파악해 자동으로 대답을 생성해 주는 ‘매직챗’과 15만 개가 넘는 무료 이모티콘 ‘잽모지’ 등으로 기존 커뮤니케이션 앱과 차별화를 시도했다. 재피는 ‘모먼트’ 기능을 통해 다른 유저와 AI 캐릭터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탐색하며 SNS로 이용할 수도 있다. 재피는 iOS앱에 이어 지난 1월 안드로이드 앱까지 출시하며 정식 론칭을 알렸다. 이후 채 2개월도 되지 않은 시점에 25만 가입자를 돌파하는 성과를 보여줬다. 지난 2021년 설립된 투플랫폼은 시각화 및 개인화한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기치를 내건 스타트업으로,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다. 한국과 인도에서 지사를 꾸리고 AI 메시징&소셜 애플리케이션인 재피를 국내에 먼저 선보였다. 삼성전자 최연소 임원 출신이자 AI·메타버스·머신러닝 산업에서 권위를 갖춘 ‘
[헬로티]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통해 고도화된 영업 및 서비스 역량 확보 세일즈포스는 글로벌 메시징 플랫폼 기업인 센드버드(Sendbird)가 영업 및 서비스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세일즈포스의 ‘세일즈 클라우드’와 ‘서비스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세일즈포스 솔루션을 기반으로 디지털 혁신을 강화해간다고 밝혔다. ▲출처 : 세일즈포스 센드버드는 신세계 그룹의 SSG, KB국민은행, LG유플러스, KT, 우아한형제들, 카카오 골프 예약, 스노우(SNOW) 등의 국내 고객사는 물론, 딜리버리히어로, 야후(Yahoo) 등 전 세계 약 7천만 명의 고객에게 고도화된 채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 2013년 설립된 센드버드는 모바일 및 데스크톱 환경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채팅 및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세일즈포스의 고객은 센드버드를 활용해 고객 상담용 채팅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센드버드는 고객에게 더욱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세일즈포스의 세일즈 클라우드와 서비스 클라우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세일즈 클라우드는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인 영업 활동을 지원하며, 서비스 클라우드는 고객의 서비스 문의에 대
[헬로티] GSMA(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가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미래(The Future of Mobile Communications)’라는 주제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모바일 가입자는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에게 더 풍부하고 글로벌한 오픈 IP 기반 메시징 경험을 요구하고 있다. GSMA가 의뢰하고 리서치 기업인 콘텍스트 컨설팅(Context Consulting)에서 수행한 이 연구조사는 중국과 인도, 스페인, 미국의 응답자 4,045명을 대상으로 전통적인 모바일 음성 및 SMS 서비스와 인터넷 기반 메시징 서비스 이용 현황에 대해 조사했다. 이 조사는 RCS(Rich Communications Services)와 VoLTE(Voice over LTE)에 의해 작동되며, 기본적으로 앱을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모든 디바이스와 네트워크상에서 작동하는 프리콜링(Pre-calling), 인스턴트 메시징, 라이브 비디오, 실시간 사진 및 파일 공유 같은 모바일 사업자 주도의 첨단 메시징 서비스에 특별히 주안점을 두었다. 기존의 인터넷 기반 메시징 서비스보다 선호되는 사업자 주도 서비스에 대해 응답자의 79%는 이 서비스가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