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층 제조(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우주항공·방산 세미나가 열린다.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사업단과 국립창원대 첨단방산소재부품연구실(센터)이 주최하고 3D프린팅연구조합이 주관하는 ‘제3회 스마트제조 적층제조기술 공유 심포지움’이 이달 24일 개최된다. 창원 그랜드 머큐어 호텔 2층에서 오전 9시부터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지역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적층제조기술을 활용한 우주·항공·방산 부품 비즈니스 모델을 발표하고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다. 행사는 박종규 국립창원대 연구산학부총장, 이조원 3D프린팅연구조합 이사장, 이재선 스마트제조엔지니어링사업단 단장, 박용갑 산업응용공유연구소 소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우주항공청 개청에 따른 비전 및 목표와 산업정책 방향(최원석 우주항공청 사무관) ▲적층제조(AM) 기반의 항공부품 제작 및 수리기법 개발 사례(이홍철 공군항공기술연구소 소장)가 발표된다. 이어 ▲우주항공용 금속 적층제조 기술의 동향과 국내외 기술개발 전망(강민철 3D프린팅연구조합 상임이사) ▲대형 항공부품 적층제조 기술 연구개발(김우종 대건테크 본부장) ▲AM 공정의 항공기 적용을 위한 시험 평가(손진일 테스코 대표) 순으로 발표가
HP 3D 프린팅 센터 오픈하우스 개최 HP 자체 3D 프린팅 기술 ‘멀티젯 퓨전’부터 3D 프린터 모델 ‘젯 퓨전 4200’까지 등판 “HP와의 협력 강화와 비즈니스 확대 위한 장” 링크솔루션이 이달 23일 HP 3D 프린터 기술을 한데 소개하는 ‘HP 3D 프린팅 센터 오픈하우스’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HP의 자체 개발 3D 프린팅 기술 ‘멀티젯 퓨전(Multi Jet Fusion 이하 MJF)’을 비롯해 HP 3D 프린터 ‘젯 퓨전(HP Jet Fusion)’ 등 각종 솔루션을 업계에 제시하는 자리다. 드론·국방·제조 등 영역에서 활약 중인 MJF의 활약상을 소개하고, 젯 퓨전 시리즈를 배치해 기술적 이해를 돕는 과정이 이어진다. 이 자리에 전시될 젯 퓨전 시리즈는 나일론 기반 폴리아미드 12(PA12) 등 신소재를 활용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유사한 강도의 부품을 균일하게 양산하는 차세대 3D 프린터다. 이날 행사에는 최근식 대표, 최재민 부장 등 링크솔루션 사단을 비롯해 김태화 HP 매니저 등 파트너가 행사를 꾸민다. 드론·국방·제조 등 영역에서의 HP 솔루션 활약 사례, HP 3D 프린터 포트폴리오 및 텍스처 디자인 등과 관련한 발표 세션이 마
국내 3D프린팅 주요 공급사들이 연사로 참여해 다양한 활용 사례 소개 3D프린팅의 활용을 돕는 웨비나가 마련됐다. 3D프린팅 기술복합지원 공간인 3D프린팅 혁신성장센터(이하 ‘3D-FAB’)가 오는 26일 산업용 3D프린팅 기술 활용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고 3D-FAB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3D-FAB에서 직접 보유하고 활용 중인 산업용 장비 6종을 기준으로 각 방식별 3D프린팅 기술이 어떠한 장점을 갖고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유익한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다. 국내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SLA방식부터 ▲멀티젯(Multi-Jet Printing)방식, ▲폴리젯(PolyJet)방식, ▲젯퓨전(Jet-Fusion)방식, ▲3D스캐너까지 다양한 활용사례와 장점에 대해서 각 연사별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실시간 채팅을 통해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해 줄 예정이다. 특히 이번 웨비나는 국내에 지사를 두고 있는 HP코리아, 한국핵사곤메트롤로지를 포함해 국내 3D프린팅 기술 보급에 앞장서는 유명 공급사(링크솔루션, 프로토텍, 케이티씨, 한국기술)의 연사로 구성돼 더욱 깊이있고
국내 3D프린팅 주요 공급사들이 연사로 참여해 다양한 활용 사례 소개 3D프린팅의 활용을 돕는 웨비나가 마련됐다. 3D프린팅 기술복합지원 공간인 3D프린팅 혁신성장센터(이하 ‘3D-FAB’)가 오는 26일 산업용 3D프린팅 기술 활용을 위한 정보를 전달하고 3D-FAB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3D-FAB에서 직접 보유하고 활용 중인 산업용 장비 6종을 기준으로 각 방식별 3D프린팅 기술이 어떠한 장점을 갖고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유익한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다. 국내에서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SLA방식부터 ▲멀티젯(Multi-Jet Printing)방식, ▲폴리젯(PolyJet)방식, ▲젯퓨전(Jet-Fusion)방식, ▲3D스캐너까지 다양한 활용사례와 장점에 대해서 각 연사별로 발표를 진행하면서, 실시간 채팅을 통해 질의응답을 진행하며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해 줄 예정이다. 특히 이번 웨비나는 국내에 지사를 두고 있는 HP코리아, 한국핵사곤메트롤로지를 포함해 국내 3D프린팅 기술 보급에 앞장서는 유명 공급사(링크솔루션, 프로토텍, 케이티씨, 한국기술)의 연사로 구성돼 더욱 깊이있고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링크솔루션이 인사이드3D프린팅 전시회에서 고객 맞춤형 제조 3D프린팅 솔루션과 대형 SLA 3D프린터를 선보였다. 링크솔루션은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맞춤형 제조 서비스를 구현해 기업 맞춤 3D프린팅 서비스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링크솔루션이 선보인 고속 대형 SLA 3D프린터(LINK-SL 1600, LINK-SL 2300)는 기존 SLA 3D프린터보다 약 3배 수준의 고속 제작과 최대 2.3m의 대형 파트 제작이 가능하다. 소재 절감 기술을 적용해 기존 대비 80% 수준의 소재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대량 파트·대형 파트 생산에 적합하다. 고온의 압출기를 지원하는 링크솔루션의 EP 시리즈는 범용 플라스틱인 ABS/PLA부터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PEEK/ULTEM까지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산업용 3D프린터다. 고온 챔버(250°C) 및 고온 노즐(510°C)의 적용으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기계적 성질을 구현해냈다. 또한 ±0.05mm의 높은 정밀도로 최적의 파트를 제공한다. 또한 진공 베드 기술을 적용해 출력 이후 파트 손상 없이 효과적인 파트 제거도 가능하다.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