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그리드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체결된 사업의 누적 계약 금액이 2년 만에 75억 원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란 계약 절차를 간소화해 공공 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 2020년부터 시행됐다. 클라우드 관련 제품과 서비스는 조달청의 IT 상품 및 서비스 전용 공공조달 플랫폼 '디지털서비스몰'을 통해 제공되며 수요기관들은 수의·카탈로그 계약을 통해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해당 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따르면 현재까지 누적 계약 건수는 1130건, 계약 금액은 4446억 원을 돌파(24년 1월 31일 기준)했다. 정부가 2030년까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추진하는 만큼, 향후 이 제도를 활용해 간편하게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공공 기관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노그리드는 2021년 말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을 처음 체결한 이후 2년 만에 약 75억 원의 누적 계약 금액(23년 12월 기준)을 달성했다. 특히 계약 첫해인 2021년에는 계약 금액이 1억 원에 불과했지만, 2022년 16억 원, 2023년 58억 원을 기록하며 공
헬로티 이동재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오는 21일 디지털서비스 제공기업(이하 제공기업)과 이용을 원하는 기관(이하 이용기관)을 대상으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온라인 설명회’를 연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제공기업을 대상으로는 심사·선정 기준 및 혁신제품 신청 안내가 진행될 예정이며, 이용기관을 대상으로는 이용지원시스템 이용 및 계약절차·방법 등이 안내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그간 심사 신청 서류 준비에 오랜 시간이 소요됐던 제공기업과 디지털서비스를 검색·선정해 계약하는 방법의 상세한 안내가 필요했던 이용기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와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의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취지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0월 공공 신서비스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된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가 올해 상반기에 등록 서비스 75개, 총 계약규모 약 1100억원 달성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매월 심사위원회를 개최해 SaaS, IaaS 등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및 지원서비스와 융합서비스까지 다양한 디지털서비스를 선정하고 있다. 이용기관은 이용지원시스템에 전시된 다양한 서비스 중 기관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