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고코리아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서 자동화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한자리에 내놓는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 와고코리아는 운영기술(OT)과 정보기술(IT)의 통합을 통해 효율성 극대화를 목표하는 엔지니어링·자동화 솔루션 업체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마트 산업 솔루션이 열리다(OPEN. For Smart Industry Solutions)’를 슬로건으로, 스마트 제조 구현을 위한 첨단 자동화 솔루션과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공개한다. 구체적으로, 웹 기반 설계·제어·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솔루션 ‘와고 스카다(WAGO SCADA)’, 빌딩 라이팅 매니지먼트 솔루션 ‘달리(DALI)’를 전시 하이라이트로 전시한다. 이 중 달리는
일부 성능에 제한 있으나 생성 내용에 질적인 차이 없어 오픈AI가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로그인 없이 사용하게 됐다. 오픈AI는 1일(현지시간) "사람들이 AI의 혜택을 경험할 수 있도록 챗GPT와 같은 도구를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 임무의 핵심"이라며 "오늘부터 가입 절차 없이도 챗G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AI의 역량을 궁금해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게 한다는 목표를 갖고 이 같은 조치를 점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가입이나 로그인 없이 사용하는 챗GPT는 일부 성능에 제한이 있으나 생성 내용에 질적인 차이가 없어 근본적인 서비스는 똑같다. 로그인 할 경우에는 챗GPT에 남긴 채팅 기록을 저장, 검토, 공유하고 음성 대화 기능도 사용한다. 이번 조치는 일단 챗 GPT에만 적용된다.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달리(DALL-E)' 등 오픈AI가 개발한 다른 AI 도구를 이용하려면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챗GPT는 2022년 출시돼 2개월 만에 사용자 1억 명을 돌파했고 사람이 작성한 것과 비슷한 수준의 글을 몇 초 만에 내놓는 등 획기적 성능을 선보였다. 학생들 사이에서
"사람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적인 활동 돕는 모델 개발할 것" LG AI연구원이 세계 3대 패션 스쿨 중 하나인 파슨스 디자인스쿨과의 협력 방향을 공개했다. LG AI연구원의 이화영 상무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파슨스 캠퍼스에서 특파원과 만나 두 기관의 AI 협력 방향에 대해 "AI는 영감을 주고 사람이 디자인한다는 것이 저희 생각이다. 결국은 사람이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달리'(DALL-E)나 구글의 '바드'처럼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그림을 그려주는 모델이 아니라 사람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돕는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것이 LG와 파슨스의 목표다. 지난해 9월 파슨스와 '크리에이티브 AI 리서치 파트너십'을 체결한 LG AI연구원의 권좌근 팀장은 LG의 디자인 창작 AI 플랫폼 '엑사원 아틀리에'가 "달리2와 동등한 수준"이라며 "최종 제품은 사람인 디자이너가 만들고, AI가 그들에게 어떤 감성과 영감을 주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LG AI연구원은 파슨스의 '디자인 싱킹 프로세스'를 엑사원 아틀리에에 녹여내는 방식으로 고도화한 새 플랫폼을 공동 개발 중이다. 이 플랫폼 프리뷰
"인간 가치에 부합하도록 인공지능의 사용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미라 무라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챗GPT가 악용될 수도 있다며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무라티 CTO는 5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시사주간지 타임지와 인터뷰에서 "챗GPT를 처음 내놓았을 때 이렇게까지 큰 열풍이 불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오프AI가 내놓은 그림을 그려주는 인공지능(AI) 달리(DALL-E)와 함께 대화형 AI 챗GPT 팀을 이끌고 있다. 무라티 CTO는 "우리는 챗GPT를 내놓는 것에 대해 약간의 전율을 느꼈다"며 "참신함과 순수한 호기심뿐 아니라 어떤 부문에서 사람들을 위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지 궁금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높은 인기는 일부 윤리적 문제를 불러일으켰다"며 "그런 AI 도구들은 오용되거나 나쁜 행위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무라티 CTO는 "챗GPT가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AI에 의해 구동되는 다른 도구와 마찬가지로 사실을 지어낼 수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는 전 세계적으로 챗GPT와 같은 AI를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불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