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스프린트가 미국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로는 처음으로 기가비트급 LTE를 상업용 네트워크에 투입한다. 이의 일환으로 스프린트는 최근 퀄컴 스냅드래곤 835 모바일 플랫폼과 스냅드래곤 X16 LTE 모뎀 기반 모토로라 스마트폰을 사용해 기가비트 LTE 기술을 시연했다. 기가비트 LTE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넘어 다른 하드웨어 영역에서도 LTE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 자동차,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클라우드에서 대용량 파일에 대한 안정적인 접근 등의 서비스에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보여주듯 최근 스페인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모바일월드콩그레스2017에서 퀄컴과 인텔 모두 빠른 LTE 연결과 대역폭 확대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이 자신들의 주파수 자원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게 해주는 새 기가비트 LTE 모뎀칩을 선보여 관심을 끌었다. /황치규 기자(delight@hellot.net)
[헬로티] 5G를 외치는 거물급 기업들의 함성소리가 울려퍼지고 있지만 이동통신 시장의 메인 인프라는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당분간은 LTE이다. 이를 보여주듯, 진화된 LTE 기술을 향한 관련 업계 행보도 빨라지고 있다. 최근 키워드는 기가비트 LTE. 거대 통신사와 반도체 업체들이 기가비트 LTE를 주목하는 모습이다. 반도체 업체로는 퀄컴과 인텔이 기가비트LTE를 향한 포문을 열었다.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017을 앞두고 퀄컴과 인텔 모두 빠른 LTE 연결과 대역폭 확대를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이 자신들의 주파수 자원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게 해주는 새 기가비트 LTE 모뎀칩을 들고 나왔다. 양사에 따르면 기가비트 LTE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넘어 다른 하드웨어 영역에서도 LTE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애플리케이션,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클라우드에서 대용량 파일에 대한 안정적인 접근 등과 관련한 서비스도 포함하고 있다. 퀄컴은 자동차와 산업용 IoT의 잠재력을 강조하고 나섰다. 퀄컴이 선보인 스냅드래곤 X20은 2세대 LTE 모뎀이다. 10나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