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자동화 전문 기업 오토닉스가 자동차 생산 및 금속 가공 산업에 최적화된 풀 메탈 장거리 근접센서 ‘PRFD-K 시리즈’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에 추가된 PRFD-K 시리즈는 원주형 유도 근접센서로, 철(Fe)과 알루미늄(Al) 소재에 대해 동일한 검출 거리를 제공하는 Factor 1 on Fe/Al 모델이다. PRFD-K 시리즈의 핵심 강점은 이질 금속 소재에도 동일한 성능을 발휘한다는 점이다. 특히 철과 알루미늄이 혼합된 구조물이나 다양한 금속이 혼용되는 생산 라인에서도 검출 거리의 차이가 없어, 센서 교체 없이 안정적인 감지가 가능하다. M18과 M30 모델은 여기에 더해 황동 재질에 대해서도 동일한 검출 거리를 제공해 활용 범위를 더욱 넓혔다. 센서의 내구성 또한 돋보인다. 기존 제품이 플라스틱 검출면을 채택한 것과 달리, PRFD-K 시리즈는 검출면과 바디 모두 SUS303 풀 스테인리스로 구성돼 뛰어난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자랑한다. 실제 금속 브러시와의 마모 테스트에서도 3시간 이상 정상 작동하는 성능을 입증했으며, 알루미늄 절삭 분진 환경에서도 오작동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또한 절삭유 및 유압유 환경에 적합한 내유 강화 PVC 케이블이
산업 자동화 전문기업 오토닉스가 새로운 유도식 리니어 포지셔닝 센서 ‘LPD 시리즈’를 출시하며 센서 제품군을 확장했다. 이번 신제품 출시로 오토닉스는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리니어 포지셔닝 센서는 금속 물체의 선형 이동 및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이번에 출시한 LPD 시리즈는 감지 범위 내에서 금속 물체의 움직임과 위치를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다수의 근접센서를 사용하는 기존 방식에 비해 공간 및 작업 효율을 크게 개선하며 검출의 정밀도 또한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뛰어난 검출 성능과 내구성도 갖췄다. 센서 내 코일 및 코어가 유도형 패턴 형태로 각인된 Coreless 방식으로 제작되어, 감지 범위 내에서 균일한 검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검출면 충격에 의한 파손 위험이 적어 진동과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 공작기계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LPD 시리즈는 감지 범위 14mm와 103mm의 모델을 제공하며, 배선인출형, 배선인출 커넥터형, 커넥터형 등의 다양한 접속 방식을 통해 사용자 환경에 맞춰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IO-Link 통신 기능을 탑
한영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온도/습도 컨트롤러, 전력조정기, 무접점 릴레이 등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1972년에 설립된 한영넉스는 자동차, 반도체, 플라스틱, 고무, 포장, 공작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약 2만 4000여 종의 산업 자동화 관련 기기들을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주요 생산 품목으로는 온도/습도컨트롤러, 기록계, 카운터타이머, 패널미터, 근접센서, 포토센서, 광화이버센서, 에어리어센서, 센서컨트롤러, 로타리엔코더, 전력조정기, 무접점릴레이, 파워서플라이, 제어용스위치, 호이스트스위치, 리미트스위치, 사인타워, 경광등, 경고표시등, 단자대 등이 있다. 한편, AW 2023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
한영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각종 포토센서, 근접센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영넉스는 표준형 포토센서 PB series를 전시했다. PB series는 25.4mm 표준 취부홀 채용하고 자사 신규 ASIC 칩을 사용해 동작 안정화, 장거리 검출을 실현했다. VR에 의한 편리한 동작모드 선택이 가능하고 감도조절 VR이 내장돼 있다. 출력 단락 알림 기능으로 과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우수한 내노이즈 특성 및 외란광 영향 최소화를 실현했다. 한영넉스는 UP 고주파발진형 원주형·각주형 근접센서를 전시했다. 해당 센서는 ▲세계최초 C-MOS 전용 I.C 채용 ▲폭 넓은 사용전압(5- 35 V d.c : 직류 3선식) ▲내노이즈 강화회로 외 특허 4건 ▲2선식 무극성 적용 등 특징이 있다. 1972년에 설립된 한영넉스는 자동차, 반도체, 플라스틱, 고무, 포장, 공작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요한 약 2만4000여종의 산업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영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온도 컨트롤러, 센서, 통신 프로그램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영넉스는 계측기(온도 컨트롤러, 기록계, 패널미터), 센서(근접센서, 포토센서, 로타리 엔코더), 전력기기(전력조정기, 무접점 릴레이, 전원 공급장치), 조작 스위치 등을 공급하는 자동제어 계측기기 전문기업이다. 이번에 선보인 온도 컨트롤러 중 프로그래머블 온/습도 컨트롤러는 고정밀 제어와 다중 경보 탑재하고 있는 제품들이다. RS-485 통신이 가능하며 선보인 제품 모두 분리형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한영넉스의 센서는 크게 근접센서, 포토센서, 광화이버 센서, 에어리어 센서, 로터리 엔코더 등으로 구성돼 있다. 근접센서는 세계 최조 C-MOS 전용 IC를 채용했으며, 폭 넓은 사용 전압과 내노이즈 강화회로 및 2선식 무극성 적용이 주요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산업용 센서, 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대표이사 박용진)가 9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 동안,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산업 자동화 전문 전시회인 오토메이션 월드(Automation World 2021)에 참가한다. 오토닉스는 첫 회부터 31년 연속으로 오토메이션 월드에 참가하여 다양한 신제품 및 종합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역시 신제품 및 출시 예정 제품을 위주로 6개 존을 구성, 오토닉스의 기술력과 신제품에 대한 홍보를 대대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6개 존은 △세이프티 존 △변위센서 존 △머신비전 존 △IO-Link 존 △LiDAR 존 △SCADA 으로 각 존마다 제품 실물이 적용된 데모키트와 전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또한, 오토닉스는 IO-Link 적용 제품 및 LiDAR, SCADA 등의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춘 제품도 최초로 선보일 계획이다. 특히 △국제 안전 규격에 적합하게 개발된 세이프티 제품군(세이프티 라이트 커튼/컨트롤러/스위치) △IO-Link 통신을 통해 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위기기에 전달하는 중계박스형 리모트 I/O(ADIO)와 근접센서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대표이사 박용진)가 2020년 2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산업 장비 전시회인 ‘SEMICON KOREA 2020’에 참가하여 반도체 산업에 최적화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 오토닉스 SEMICON KOREA 2019 부스 전경 특히 오토닉스는 반도체 주력 제품으로 구성된 데모 라인업을 전시할 계획이다. 해당 데모 라인업은 △컨트롤러, 라이트커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세이프티 제품군 △비접촉식 레이저 변위센서 △CC링크 통신 타입의 클로즈루프 스테핑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외에도 포토센서, 근접센서, 온도조절기, 제어용 스위치 등의 신제품과 주력제품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여 관람객들에게 많은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동시에 업그레이드된 통신 렉 장비 데모키트 등을 선보임으로써 실제 반도체 산업에서 사용되는 제품의 예시 제공 및 활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첨단 헬로티] 산업용 로봇 EOAT(End of arm tooling)를 전문으로 제조하는 온로봇이 경기도 킨텍스에서 개최되고 있는 ‘2019 로보월드’에서 협업 자동화를 위한 혁신 솔루션을 선보였다. ▲ 온로봇은 2019 로보월드 전시회를 통해 최신 온로봇 EOAT 제품 실물을 공개했다. 온로봇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픽 앤 플레이스가 편리한 그리퍼(RG2, RG6), △내장된 힘/토크 센서와 근접센서를 이용해 물체감지가 가능한 그리퍼(RG2-FT), △온로봇만의 특허 접착 기술인 게코(Gecko) 그리퍼, △유연한 조정식 전기 진공 그리퍼(VG10), △툴 체인저 등을 소개했다. 또한 온로봇의 모든 제품들을 하나의 단일 시스템, 단일 플랫폼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온로봇 원-시스템 솔루션’도 선보였다. 사용자는 이 통합 솔루션으로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빠르고 쉽게 통합 운영하고 자동화를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올해로 14회째인 로보월드는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나흘간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10개국
[첨단 헬로티] 독일 뮌스터랜드 Gescher-Hochmoor에 위치한 Ruthmann사는 1901년부터 운송 장비 솔루션을 제공해온 기업으로, 높은 품질과 혁신적인 기술을 기반으로 공중 작업대를 제작한다. 대표 제품은 최대 작동 높이가 100미터인 STEIGER로, 공중 작업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센서를 사용하여 작업 케이지의 회전 각도를 포함한 각 위치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에 터크의 Ri360-Q14 유도형 각도센서를 적용하였는데, 콤팩트한 디자인, 간단한 티칭 기능 및 엔드 포인트에서의 정확한 출력 등의 특징으로 만족스러운 솔루션을 구현해냈다. ▲ 작동중인 케이지 아래의 각도센서가 케이지의 회전 각도를 측정한다. 공중 작업대에는 작업자가 탑승하므로 특별한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안전 관련 센서 및 컨트롤러는 특히 이중화 설계가 필수다. STEIGER 장비에는 암과 작업케이지 사이에 지브가 있으며, 이 지브는 케이지가 장애물을 피해 유연하게 조작할 수 있게 도와준다. 작업케이지가 회전할 때는 케이지 아래에 위치한 센서로 각도를 모니터링 한다. Ruthmann사의 전기 제어 기술 책임자 Dr.-Ing.Klemens Post는 “지브
[첨단 헬로티] 산업용 센서·제어기기 전문기업 오토닉스는 최근 단순 제조를 넘어서 공장 자동화의 통합 솔루션을 개발 및 제공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오토닉스는 뛰어난 기술력과 업력, 그리고 다양한 제품들을 통하여 전선 제조공정에 효율적인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전선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성형법은 ‘압출성형(Extrusion Moulding)’이란 성형법이다. 이는, 원료를 압출성형기에 공급하고 금형에서 밀어내어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로 변환시키는 성형법이다. 다양한 고무 제조 공정 중에서도 현대의 전선 산업은 일상생활에서부터 특수 산업까지 우리 실생활에서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는 부분이 되었다. 특히, 날이 갈수록 전력망과 통신망 등의 발전에 따라 가정용 전선, 소방용 케이블, 해저케이블, 초고압케이블 등 전선의 종류와 산업에서의 요구는 더욱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신선 공정 : 로터리 엔코더 전선 제조공정에서의 첫 번째 단계는 신선공정이다. 우리가 흔히 아는 일반적인 전선은 수많은 구리선 여러 가닥을 꼬아서 하나의 선으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이 작업을 위해 구리선을 각 케이블의 사이즈에 맞게 늘려주고 배분
[첨단 헬로티] 목표물의 구성 성분 혹은 재질은 유도식 근접 센서의 실제 감지 범위에 영향을 끼친다. 여기서는 유도식 근접 센서의 작동 원리와 다양한 타깃 재료들이 어떻게 근접 센서의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겠다. 유도식 근접 센서의 기본 작동 방식 유도식 근접 센서가 금속 타깃의 존재를 어떻게 감지할 수 있을까. 우리는 유도식 근접 센서 기술 기반에 있는 전기 공학이 발전하면서 기본적인 작동 원리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유도식 근접 센서의 핵심은 전기 발진(oscillator)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수많은, 아주 가느다란 구리선으로 이루어진 유도 코일, 전류를 저장하는 콘덴서, 그리고 전기 여자(勵磁)를 제공하는 에너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도 코일과 콘덴서는 그 크기에 맞춰 자급적으로 고정된 사인파 진동을 생산해낼 수 있게 설계된다. 코일과 콘덴서는 무거운 추에 의해 늘어났다 줄어드는 두 개의 전기 스프링처럼 작동하면서 지속적으로 전자를 그 사이에서 앞뒤로 밀어낸다. 전기 에너지가 회로에 공급되어 진동이 시작되고 유지된다. 에너지를 계속 보유하지 않으면 코일 속에 있는 얇은 구리선의 전기적 저항으로 힘을 잃거나 다른 과류손
[첨단 헬로티] 반도체 및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ST)의 VL53L1X ToF 거리 측정 근접 센서를 공급한다. ST의 플라이트센스(FlightSense) 제품군에 속하는 VL53L1X는 시중에서 속도가 가장 빠른 소형 ToF 센서로, 최대 4m까지 정확하게 거리를 측정하며, 최대 50Hz의 빠른 주파수를 자랑한다. 마우저가 공급하는 ST의 VL53L1X ToF 근접 센서는 일체형의 소형 모듈로, 940nm 레이저 드라이버와 이미터를 포함한다. SPAD (단광자 애벌랜치 다이오드) 광검출기 어레이도 갖춰 거리 측정 속도와 신뢰도가 뛰어나다. VL53L1X는 표준 27도의 시야(FoV)와 함께 SPAD 어레이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ROI(관심 영역) 크기를 제공하므로 호스트에서 FoV 감소 및 다중 지역에서 작동을 제어한다. VL53L1X 근접 센서는 단일 전원 장치와 I2C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ST의 이전 세대 VL53L0X 센서와 핀과 핀이 호환되므로 기존 제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자동 초점 및 영상 초점 기능을 지원하므로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자 감지, IoT(사물인터넷) 장치,
지난 호에 ‘매입형과 돌출형, 겉모습만으로 판단하지 마세요’에서 근접센서의 두 가지 대표적인 하우징 디자인인 매입형과 돌출형을 소개했다. 그렇다면 근접 센서나 정전 용량 센서를 사용할 때 이는 어떤 의미가 될까? 매입형 센서에는 자기장의 작용을 제한하는 보호막이 있기 때문에, 센서의 표면으로 자기력을 뿜어낸다. 매입형 센서 혹은 차폐형 센서는 금속 브래킷이나 심지어는 센서 오작동을 야기할 수도 있는 금속 기계에 장착할 수 있다. ▲ 매입형 센서 두 개의 차폐형 근접센서를 옆에 위치하여 고정시킬 때, 보통 인접한 센서 간에 센서의 지름 하나를 유지해야 한다. 차폐형 센서는 일반적으로 비차폐형 버전 감지 거리의 절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mm 차폐 근접 센서는 2mm의 감지 거리를 가지는 반면, 비차폐형 센서는 4mm의 감지 거리를 갖는다. 차폐형 센서는 비록 짧은 감지 범위를 가졌지만, 장비나 브래킷 안에 매입되기 때문에 손상이 방지된다. ▲ 돌출형 센서 돌출형 혹은 비차폐형 센서는 보호막이 없어 자기장이 센서의 표면으로부터 큰 패턴으로 자기력을 내뿜을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센서는 금속이 센서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첨단 헬로티] 대부분 유도형 근접센서 애플리케이션에서 하우징 디자인과 센서의 고정 방법은 고려할 사항이다. 센서 하우징 디자인은 이제껏 차폐형(매입형) 또는 비차폐형(돌출형)으로 기술되었다. 실질적으로 비차폐형 및 돌출형이라는 용어가 다른 의미가 있듯이 차폐형 및 매입형도 다른 의미가 있다. 이러한 용어를 서로 바꿔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혼란이 생겨난다. 추가로, ‘준매입형’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시장에 나왔다. 이러한 용어와 의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차폐형’ 근접센서는 하우징이 센서 몸통의 전체 길이를 센서의 전면까지 확장시키는 센서이다. 하우징은 센서의 자기장을 제한하기 위한 ‘방패’의 역할을 하기에 센서의 표면에만 자기장을 방사한다. 표준 감지 범위 모델의 경우, 이러한 센서는 일반적으로 감지 거리 영향 없이 금속에 ‘매입’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 하우징 디자인이 제공하는 장점은 물리적인 손상으로부터 센서 코일을 보호한다는 점이며, 악성 애플리케이션에서 더 긴 센서의 수명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비차폐형’ 근접센서는 하우징이 센
[첨단 헬로티] 산업 자동화 고객들의 데이터 수집을 향상시켜 줄 근접 센서 제품군이 새롭게 선보였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출시한 Allen-Bradley Bulletin 871FM 미니 유동형 근접 센서는 까다로운 산업 환경을 위해 설계된 견고한 스마트 센서이다. IO-Link 기술이 적용된 Bulletin 871FM 센서 제품들은 EtherNet/IP를 통해 IO-Link 마스터 모듈에서 컨트롤러들로 더욱 포괄적인 진단과 파라미터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역량은 다운타임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의 제품 관리자 존 호란은 “이 센서들은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에 쉽게 통합되어 운영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해준다”며, “Allen-Bradley 1732 POINT I/O나 1734 ArmorBlock I/O IO-Link 마스터에 연결되면, 센서가 제어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주기 때문에 장비 설정, 유지보수, 문제 진단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기존의 튜브형 근접 센서들과는 달리, 완전 차폐된 Bulletin 871FM 센서의 스테인리스 스틸 하우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