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지노드(aginode)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2025 Data Center Summit Korea)’에 참가해 지속 가능한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현을 위한 차세대 케이블링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 데이터센터 서밋 코리아는 국내 대표 데이터센터 산업 행사로, 매년 업계 주요 기업과 전문가가 모여 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다. 올해는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산업 A to Z’를 주제로, AI 인프라 확산에 따른 냉각 기술, 에너지 효율, 인프라 전략, 보안 등 다양한 이슈를 논의한다. 애지노드는 2023년 말 넥상스(Nexans)의 텔레콤 앤 데이터 부문이 분사하면서 리브랜딩한 이후, 국내 주요 업계 행사에 처음으로 공식 참가했다. 애지노드는 ‘데이터센터 장비’ 세션 발표와 전시 부스를 통해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춘 고밀도 케이블링 솔루션의 중요성을 선보인다. 특히 AI 및 고성능 컴퓨팅 환경의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안에서의 서버 간(East-West) 트래픽이 폭증함에 따라 내부 트래픽 흐름에 최적화된 인프라 설계가 데이터센터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발표를 맡은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산업지식인]에서는 실무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자세하게 답변해주는 코너입니다. 산업지식인에는 MTV 웨비나에서 주고받았던 질의응답을 한 데 모아봤습니다. 이번에는 세 차례에 걸쳐 산업용 이더넷 케이블을 다뤄보려 하는데요. 두 번째로 다룰 내용은 ‘처음 만나는 산업용 이더넷 케이블 테스트 - 광 케이블 편’입니다. 플루크네트웍스는 웨비나를 통해 산업용 이더넷 케이블의 두번째 주제인 광 케이블의 정의와 산업 자동화 시장 동향에 따른 산업용 이더넷의 필요성, 광 케이블을 올바르게 테스트하는 방법 등의 내용을 다뤘습니다. Q&A Q : 체크하는 시점이 아닌 간헐적으로 접불이나 신호가 약해지는 것은 어떻게 검출하는가? A : 케이블 포설 후 올바른 테스트를 했을 경우 간헐적인 접불은 광 케이블에서 나오지 않는다. 장비 장애로 판단하고 조치해야 한다. 케이블 포설 후 올바른 테스트를 했음에도 장애가 발생하는 부분은 수신측 장비에서 광 파워를 체크해볼 수 있다. Q : 광 접속 후 선번 맞출 때 선에서 빛이 나오는지 쳐다보는 일이 매우 위험한 것 같다. A : 매우 위험하며, 눈으로 볼 수 없다. 보안경을 쓰더라도
[헬로티] 플루크네트웍스가 매뉴팩처링티비(이하 MTV)와 오는 3월 30일(화) 오전 10시부터 ‘광 케이블의 지식과 올바른 테스트 방법’이라는 주제로 온라인 웨비나를 개최한다.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자동화 기술은 비용을 절감하고 상호 연결을 단순화 할 수 있는 이더넷의 Layer 1(물리 계층)을 기반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산업용 이더넷은 열악한 환경과 일반 IT환경과 다른 성격을 가진다. 올바른 케이블 지식과 게측기를 사용해야만 이더넷 기술을 올바르게 구축할 수 있다. 이에 플루크는 ‘이더넷 케이블 테스트’로 이용자들에게 올바른 케이블의 지식과 사용 방법을 전달하는 웨비나를 진행한다. 플루크는 작년 11월에 첫 번째로 진행했던 ‘산업용 이더넷 케이블 이론과 설치 환경, 테스트 방법’에 이어 오는 30일에는 광 케이블의 지식과 올바른 테스트 방법을 전달한다. 이번 온라인 웨비나에서는 ▲광 케이블의 이론 ▲산업 자동화 시장의 동향·산업용 이더넷의 필요성 ▲올바른 광 케이블 테스트 방법 ▲광 케이블 장애 해결 데모 시연의 세션으로 구성됐으며, 문건호 플루크네트웍스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