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 기반 공작기계 업계 디지털 전환 도모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이하 지멘스)가 DMG MORI, 레니쇼 등 공작기계 업체와 협력한다. 지멘스는 공작기계 파트너십 강화의 일환으로 두 업체에 디지털 솔루션을 공급한다. 이번 협력은 지멘스 개방형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 ‘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을 기반으로 진행된다. 컴퓨터수치제어(CNC) 가공 시 지능·디지털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해 공정 혁신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DMG MORI는 지멘스 엑셀러레이터 마켓플레이스(Siemens Xcelerator Marketplace)를 통해 공작기계 툴 가공용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가상 공간에서 모든 가공 공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설비 운영자는 PC에서 NC(Numerical Control)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충돌 검사가 가능한 디지털 트윈 패키지를 구매할 수 있다. 컴퓨터지원제조(CAM) 엔지니어는 컴퓨터지원설계(CAD) 프로그램에서 복잡한 부품을 설계하고, 프로그램 초기 검증을 신속하게 처리한다. 한편 레니쇼는 공구 상태를 측정·모니터링하는 데 지멘스 엑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2035년 글로벌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이 6,1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가파르게 성장하는 배터리 산업에서도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있는데요. 바로 ‘수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입니다. 배터리 수율 증진을 위해서 국내 배터리 3사는 자동화 검사 장비에 약 3조 5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기간 내에 숙련된 인력을 수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공정 설비의 자동화 및 고도화를 통해 수율을 높이고 배터리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이는 전략인데요. 배터리 유형은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극공정-조립공정-화성공정-기타공정 등 다양한 제조공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의 소재가 필요합니다. 각 소재의 제조공정 역시 품질관리 솔루션은 필수불가결합니다. 본 웨비나는 '2024 배터리 품질관리 세미나' 현장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2035년 글로벌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이 6,16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가파르게 성장하는 배터리 산업에서도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있는데요. 바로 ‘수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입니다. 배터리 수율 증진을 위해서 국내 배터리 3사는 자동화 검사 장비에 약 3조 5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기간 내에 숙련된 인력을 수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공정 설비의 자동화 및 고도화를 통해 수율을 높이고 배터리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이는 전략인데요. 배터리 유형은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극공정-조립공정-화성공정-기타공정 등 다양한 제조공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의 소재가 필요합니다. 각 소재의 제조공정 역시 품질관리 솔루션은 필수불가결합니다. 본 웨비나는 '2024 배터리 품질관리 세미나' 현장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산업지식인에서는 실무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자세하게 답변하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각 주제별로 진행된 MTV 웨비나에서 발표자와 질문자가 주고받았던 질의응답을 한 데 모았습니다. 딥러닝은 머신러닝 잠재력을 한 차원 더 끌어올린 기술로 평가됩니다. 머신러닝에 학습 능력을 더한 기술인데, 현재 산업은 자동화 실현의 필수 조각으로 딥러닝 도입을 꼽습니다. 이런 딥러닝 기술을 품질관리 영역에 적용하면, 기존 규칙 검사시스템 대비 시간 절약, 제품 품질 및 검사 정확도 향상 등 이점이 발휘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품질관리가 핵심인 식음료 업계는 딥러닝을 주목합니다. 딥러닝 기반 품질관리를 통해 품질 향상은 물론, 리콜 예방·수율 향상·자동화 실현 등이 보장되기 때문이죠. 이번 웨비나에서는 코그넥스코리아가 현재 F&B 업계 품질 검사 관련 최신 트렌드를 공유합니다. 더불어 산업에 특화된 검사 방법과 사례를 통해 F&B 분야에 관한 인사이트도 마련됐습니다. ‘딥러닝으로 자동화하는 F&B 품질 검사’을 주제로 진행된 본 웨비나는 박희진 코그넥스코리아 F&B 전담 인사이드 세일즈 프로가 트렌드, 레퍼런스, 검사 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해당 웨비
오정훈 매니저 “TeSys Island는 디지털화를 염두해 개발한 솔루션“ 강조 모터는 산업 내 설비 운용 시 필수로 활용되는 ‘산업의 심장’이다. 오정훈 슈나이더 일렉트릭 사업부 오퍼 마케팅 매니저는 전 세계 산업용 모터 개수를 약 3억 개로 추산하면서, 산업 설비 모터에 활용되는 모터 관리 시스템을 강조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테시스 아일랜드(TeSys Island)는 모터 통합 관리 솔루션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이달 16일 서울 마곡동 소재 사무실에서 모터 관리 솔루션 테시스 아일랜드를 선보였다. 이 자리에 오정훈 매니저와 도현태 매니저가 참여해, 테시스 아일랜드 제품 소개 발표 및 제품 시연 등을 진행했다. 오 매니저는 ”최근 설비 모터 시장에서 스마트 모터 관리 솔루션이 뜨거운 감자“라며 ”스마트 모터 관리 솔루션은 통신 기반으로, 작업자가 모터 데이터를 손쉽게 취득해 모터를 관리하는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최근 산업은 수요 증가와 노동력 부족 이슈가 맞물려 설비 운용 효율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모터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는 현장이 70%에 육박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해당 배경에서 테시스 아일랜드가 설비 운용 및 공정 효율화 달성에
헬로티 임근난 기자 | 현대중공업이 조선업 최초로 기자재를 공급하는 사외 협력사의 생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7일 울산 본사에서 경북테크노파크와 ‘조선·해양 일반형 디지털 클러스터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사외협력사 10곳(울산 4, 경주 6)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지원과 협력을 약속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현대중공업 조용수 동반성장부문장과 경북테크노파크 하인성 원장을 비롯해 코맥 등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 대표가 참석해 현대중공업 조선·해양 상생형 클러스터 구축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앞서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제조현장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 중인 ‘2021년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5월 ‘현대중공업 사외 협력사 클러스터 스마트공장 정부 지원사업’을 조선업계 최초로 승인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은 노동집약적 생산기술 중심의 조선·해양 산업이 최근 인력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클러스터 기반의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통한 협력사들의 공정 혁신 및 생산력 향상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대중공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