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황·문제점 등 종합 분석해 중장기 개발계획 새로 수립 정부가 신항만 12곳이 처해 있는 현황과 신항만별 문제점 등을 종합 분석해 기존 계획의 타당성을 전면 재검토하고, 중장기적인 개발계획을 새롭게 수립하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2019~2040)’의 재정비에 착수한다고 31일 밝혔다. 해수부는 늘어나는 항만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 하기 위해 지난 1996년 신항만건설촉진법을 제정했다. 1997년 부산항 신항, 인천신항 등 6개 항만을 신항만으로 지정한 이래 지금까지 2차례에 걸친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신항만 총 12곳을 지정해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총 33조 원을 투입해 부두 156선석을 추가로 확충하고 4억 8000만 톤의 물동량과 2092만TEU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능력도 확보했다. 특히 부산항 신항은 연간 1500만TEU의 컨테이너를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코로나19로 항만적체 등 공급망 혼란, 선박의 대형화와 함께 자동화 항만의 수요가 증가하고 공공개발 확대 요구도 늘면서 2019년 수립한 기존의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으로 이러한 항만물류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항만 경쟁력을 확보
머스크 트윌과 업무협약…외국적 선사와의 중소기업 선복 지원 협업 첫 사례 한국무역협회가 13일 세계 최대 선사인 덴마크 머스크의 디지털 물류플랫폼 트윌(Twill)과 ‘중소기업 해상화물 긴급운송 채널 개설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촉발된 글로벌 공급망 혼란이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주요 도시 폐쇄 등 예상치 못한 변수들로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지수(SCFI)가 4월 8일 기준 12주 연속 하락하자 일각에서는 이를 조심스레 해운시장 정상화의 신호로 예측하기도 하나, 우리 중소기업들은 여전히 선복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납기를 맞추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협회는 머스크와 협력해 미국 서안, 유럽, 중남미, 아프리카 등 머스크의 주요 300여개 권역에 협회 회원사 전용 선복을 확보했다. 협회 회원사들이 트윌을 통해 선적 예약을 진행하면, 머스크는 이들 화물을 우선적으로 선적함은 물론 픽업지부터 도착지까지 ‘엔드-투-엔드(End-to-End)’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 유례없는 물류대란 속에서 우리 기업들의 납기 지연을 최소화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