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자동차 분야의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 혁신인재양성' 사업을 주관할 15개 대학을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산업부와 교육부가 오는 2024년까지 3년간 343억원을 투입해 미래차 기술융합 혁신인재 2,160명을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천대, 경남대, 경성대, 경일대, 단국대, 부산대, 서울대, 성균관대, 원광대, 인천대, 전북대, 청주대, 한국공학대, 한양대, 호서대 등 15개 대학을 주관기관으로 선정했다. 이들 대학은 미래형자동차 산업 특성에 맞는 융합 교육 과정, 기업·연구기관 산학 연계 프로그램 및 집중 교육 과정 등 미래차 분야 학사 학위과정(또는 교육수료)을 운영하게 되며 학교당 3년간 약 18억원을 지원받는다. 미래차 융합교육을 통해 학부생들은 기업에서 요구하는 실무 기술 역량을 배양해 취업 기획을 확대하고, 산업계는 우수 인력을 지속해서 공급받는 시스템이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CCTV 영상 증거 신속 추적 기술, 메타데이터 표준화로 상호운영성 확보 추진 얼마 전 A씨는 치매를 앓고 계시던 부모님이 집을 나가신 후에 실종되었으나 CCTV 영상을 추적하여 12시간만에 부모님을 찾을 수 있었다. B씨는 운영하던 금은방에 범인이 들어 장식장 안에 든 귀금속을 훔쳐갔다. 범인은 약 1000개의 CCTV 영상을 추적한 경찰에게 검거되었다. 위 사례와 같이 치매 노인이나 범죄 추적의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적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특정인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녹화된 CCTV 영상을 장시간 검토해야 경우가 많으며 여기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서울시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서울시 내 관제센터 실근무자의 1인당 CCTV 관제 대수는 평균 722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최근 미아, 심신미약자 또는 고령자 등의 실종 추적과 살인, 강도, 성범죄, 절도, 폭력 등의 5대 범죄 범인을 추적하는 데 있어 경찰청, 지자체, 돌봄센터 등 관계기관 간의 CCTV 영상 증거 신속 추적 기술을 상호 접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관련 CCTV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통일된 규격이 뒷받침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