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당국 "구글, 불법적으로 광고 매매 관련 SW 상품 결합해" 미국 정부의 반독점 규제 칼날에 직면한 구글이 캐나다에서도 온라인 광고시장 독점 혐의로 제소됐다. 2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캐나다 반독점 당국은 구글이 온라인 광고시장에서 지배력을 남용했다며 이날 캐나다 법원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캐나다 당국은 구글이 불법적으로 광고 매매 관련 소프트웨어 상품들을 결합해 시장 경쟁을 저해했다고 보고 있다. 캐나다 당국은 "구글이 일련의 계산된 결정을 통해 경쟁업체를 배제하고 온라인 광고시장의 중심에 자리잡았다"면서 "광고 기술 시장에 대한 구글의 거의 전적인 통제는 계획적인 설계와 행동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웹·앱 게시자가 광고란을 관리하는 서버인 '더블클릭 포 퍼블리셔(DFP)', 광고주와 게시자를 연계하는 광고거래소 '애드 익스체인지(AdX)' 등 2개 소프트웨어를 구글이 매각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를 통해 얻은 수익의 3배, 혹은 합리적으로 이를 결정할 수 없을 경우 구글의 전 세계 매출의 3%를 벌금으로 내야 하며 반독점적 관행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캐나다 당국은 2020년 구글의 온라
올해 구글 점유율 50.5% 예상...2018년 59.9%에서 9.4% 포인트 낮아져 검색 광고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구글의 지배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현지시간) 리서치 회사인 이마케터에 따르면, 약 300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 검색 광고 시장 내 구글의 올해 점유율은 50.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2018년 59.9%에서 9.4% 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특히, 내년에는 48.3%를 차지하며 50%를 밑돌 것으로 관측됐다. 아마존이 구글의 가장 큰 경쟁자로 부상했다. 아마존닷컴에서 이용자의 제품 검색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2018년 시장 점유율이 10%에 불과했던 아마존은 올해에는 두 배가 넘는 22.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에는 약 2%포인트 늘어난 24.2%까지 점유율을 끌어올리며 구글을 추격할 것으로 전망됐다. 애플의 점유율은 2018년 2.6%에서 올해는 5.1%, 내년에는 5.2%로 소폭 오르고, 빙 검색 엔진을 보유한 마이크로소프트(MS)는 2018년 6.7%에서 올해는 5%, 내년에는 4.8%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들 경쟁 업체 외에도 인공지능(AI)과
인크로스, 3분기 매출액 113 억 7800만 원, 영업이익 39억 600만 원 디지털 광고 전문 기업 인크로스가 2023년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인크로스에 따르면, SK텔레콤과 공동 운영 중인 AI 큐레이션 커머스 티딜의 3분기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44.8% 증가한 534억 9800만 원, 매출은 16.5% 증가한 21억 8100만 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3개 분기 연속 500억 대 거래액을 달성하면서 올해 누적 거래액은 1600억 원을 넘어섰다. 회사는 균일가, 원 플러스 원(1+1) 구좌 신설 및 SKT T day 프로모션 등 고객 혜택을 강화한 것이 신규 고객 유입과 매출 증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연말 쇼핑 대목을 앞둔 4분기에는 패션, 가전, 식품 등 시즌 상품 소싱을 늘리고,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해 지역 특산품에 대한 할인 혜택을 늘릴 계획이다. 올해 3분기 기준 연결 매출액은 113억 7800만 원, 영업이익은 39억 6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8.4%, 35.1%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4.0% 감소한 37억 7800만 원을 기록했다. 미디어렙 사업부문은 계속되는 경기 불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