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어스토리지가 자사의 대표 컨테이너 데이터 관리 플랫폼인 포트웍스 엔터프라이즈(Portworx Enterprise)의 최신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기업이 엔터프라이즈 규모에서 현대적 가상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데이터 스토리지 관련 의사결정자들이 각자의 속도에 맞춰 현대화 여정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브로드컴의 VM웨어 인수 이후 많은 기업들이 비용 상승 없이 가상화 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현대적 솔루션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와 가상머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를 대안으로 채택하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들이 늘고 있다. 쿠버네티스를 활용하면 하나의 플랫폼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인프라 현대화를 함께 추진할 수 있다. 2024년 쿠버네티스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가상머신을 쿠버네티스로 이전하거나 현대화할 계획이며, 이 중 3분의 2가량은 2년 이내 이를 완료할 계획이다. 하지만 가상머신을 쿠버네티스로 이전하면서 새로운 과제들도 등장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포트웍스 엔터프라이즈 3.3은 업계 최고의 컨테이너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엔터프라이즈급 가상머신 워크로드까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드 교육 사업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이며 클라우드 인재 양성 및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확산을 이끌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이노그리드는 지난해 2월 개소한 클라우드 전문 아카데미 ‘에듀 스퀘어(EDU SQUARE)’를 통해 맞춤형 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에듀 스퀘어 출범 후 공공기관, 제1금융권 등의 IT 담당자를 대상으로 20여 차례 이상 클라우드 네이티브 교육을 진행했다. 각 기관의 업무 특성과 클라우드 도입 단계에 따라 교육 내용을 유연하게 구성하고 실제 업무와 밀접하게 연결되는 교육을 제공해 호평을 받았다. 에듀 스퀘어는 자사 400여 개 고객 사례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요자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전문 아카데미다. 클라우드 기초 이론, 네트워크, 가상화, 컨테이너 기술, MSA, DevOps, 보안 등 자체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교육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수요자가 희망하는 단계별, 유형별로 교육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이론 강의부터 실제 사례와 실무 노하우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이노그리드는 정부 지원 교육 사업을 담당함으로써 클라우드 인재 양성 전문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노그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이 같은 내용을 주제로 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가 사흘간 개막한다. 해당 행사는 버추얼 트윈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와 3D 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의 이해관계가 한자리에 모이는 생태계 축제다. ▲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현장에는 수많은 다쏘시스템 커뮤니티 이해관계가 총출동했다. (출처 : 휴스턴(미국)=헬로티) 올해는 디자이너·엔지니어·기업가·리더·학생 등 산업계 관계자가 참관단으로 참석했다. 메인 주제는 ‘버추얼 트윈, 생성형 AI 융합 통한 생성형 경제로의 전환’이다. 행사 키워드인 생성형 경제(Generative Economy)는 생태계 안에서 개인화되고, 지속 가능한 경험을 가속화하는 다쏘시스템의 차세대 비전이다. 쉽게 말해, 과거의 폐쇄적인 시스템에서 탈피해 상호 연결된 하나의 통합 환경에서 새로운 가치를 제안하는 최신 방법론이다. ▲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첫날, 제너럴 세션 시작 직전 모습. (출처 : 휴스턴(미국)=헬로티) 올해 현장에는 3D익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테스트·검증 넘어 시뮬레이션...로봇 ‘형태’부터 ‘움직임’까지 가상 공간서 분석” 2020년대 초부터 로보틱스 영역에서 화두로 떠오른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손길을 받고 있다. 미국 자동차 업체 테슬라를 시작으로, 구글·메타·오픈AI·애플 등이 줄지어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중국도 지난해 27억6000만 위안(약 5500억원)의 시장 규모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체계를 갖췄다. 이를 반영하듯, 같은 해 베이징에서 열린 ‘제8회 세계로봇컨퍼런스(World Robot Conference)’ 현장에는 중국 소재 휴머노이드 업체 30여 개사가 참가했다. 현재 글로벌 로봇 업계와 산업은 휴머노이드 로봇 앓이 중이다. 이 배경에서 지난달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에서도 휴머노이드 로봇을 필두로 한 로보틱스 기술이 핫토픽으로 주목받았다. 다쏘시스템은 3차원 컴퓨터지원설계(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를 통해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차세대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 중심에는 ‘버추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생성·경험·재생’ 순환형 경제모델로 지속가능성에 다다른다 버추얼 트윈, AI 융합한 ‘3D 유니버스’, “솔리드웍스 진화에 핵심” 3차원 컴퓨터지원설계(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는 지난 1995년 출시된 이후 30주년을 맞아 또 다른 혁신을 입었다. 이른바 ‘생성형 경제(Generative Economy)’를 비전을 배치한 다쏘시스템의 차세대 전략 덕분이다. 생성형 경제는 경험 경제(Experience Economy)와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를 통합한 것으로, 다쏘시스템의 핵심 DNA인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그리고 ‘인공지능(AI)’이 융합된 개념이다. 여기서 버추얼 트윈은 현상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에서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단계까지 지원하는 상위 버전이다. 다시 생성형 경제는 제조·소비·폐기로 사이클이 끝나는 기존 시스템에서 생성·경험·재생이 순환되는 형태로 구축된 모델이다. 쉽게 말해, 산업·사회에서 축적한 이점을 다시 환원해 선순환의 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이달 23일(현지시간) 개막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콜드스냅·불워크모빌리티·원휠 등 솔리드웍스 기반 혁신 스타트업 선정 “스타트업은 협업·창의성·기술 통한 진보의 산실” 스타트업이 현시대 차세대 기반으로 각광받고 있다. 각자의 경쟁력을 통해 미래 가능성을 점친다는 점에서 혁신의 척도로 인식된다. 각국은 국가 차원에서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속속 펴는 중이다. 시뮬레이션 및 3D 설계 솔루션 업체 다쏘시스템은 미래향 가치 육성에 힘을 싣고 있다. 특히 3D익스피리언스랩(3DEXPERIENCE LAB)을 통해 혁신 스타트업을 발굴·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 세계 2만5000여 개 스타트업이 다쏘시스템의 육성 정책을 거쳐갔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개막한 생태계 축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에는 다쏘시스템 기술로 혁신을 달성한 스타트업이 선정됐다. 수칫 제인(Suchit Jain) 다쏘시스템 전략 및 지즈니스 개발 부사장은 행사 첫날 열린 기조 세션에서 “현재 다쏘시스템 커뮤니티에는 전 세계 800만 명이 넘는 인재가 활동하고 있다. 여기에는 ·디자이너·엔지니어·학생·기업가 등 다양하게
[3D익스피리언스월드2025] 설계부터 공급망·운영까지 새 시대 발표...‘지능·몰입형 경험’ 강조 “3D 디자인 지평 연 솔리드웍스, 직관적 기능 극대화해 더욱 강해질 것” 생성형 AI 기반 에이전트 ‘아우라(AURA)’ 공개도 다쏘시스템 3차원 컴퓨터지원설계(CAD) 솔루션 ‘솔리드웍스(SOLIDWORKS)’가 출범 후 올해 30주년을 맞았다. 지난 1995년 출시된 솔리드웍스는 PC 기반 설계 시스템의 지평을 연 기술로 주목받았다. 이를 통해 설계 분야 진입장벽을 낮췄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편리한 활용성을 보장했다. 이러한 솔리드웍스가 ‘제2의 전성기’를 열 모양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열린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에서 솔리드웍스 혁신 로드맵이 발표됐다. 이날 오프닝 세션을 맡은 마니쉬 쿠마(Manishi Kumar)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 CEO 겸 R&D 부사장은 “솔리드웍스는 그동안 접근하기 쉽우면서도 저렴한 CAD 소프트웨어로 업계에 군림해왔다”며 “이러한 기조가 유지돼 최근 세대까지 그 특징을 이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행사
수칫 제인(Suchit Jain) 다쏘시스템 솔리드웍스 전략 및 비즈니스 개발 부문 부사장이 스타트업 대표단을 초청해 레퍼런스 사례를 소개했다.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가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3일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디자이너·엔지니어·기업가·리더·학생 등 3D익스피리언스·솔리드웍스 등 다쏘시스템 솔루션 커뮤니티와 산업계 관계자가 한데 모여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기반 혁신 인사이트를 경험했다. 행사 첫날에는 버나드 샬레Bernard Charlès) 회장, 파스칼 달로즈(Pascal Daloz), 마니쉬 쿠마(Manish Kumar) 솔리드웍스 CEO, 지앙 파올로 바씨(Gian Paolo Bassi) 고객 역할 경험 담당 부사장 등 다쏘시스템 사단과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다이내믹스 창업자 겸 AI 연구소 전무이사 등 다쏘시스템 파트너가 진행하는 오프닝 세션이 진행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마니쉬 쿠마(Manish Kumar) 솔리드웍스 CEO, 지앙 파올로 바씨(Gian Paolo Bassi) 고객 역할 경험 담당 부사장 등 다쏘시스템 각 부문 리더가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의 서막을 알리는 제너럴 세션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3DXW가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3일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디자이너·엔지니어·기업가·리더·학생 등 3D익스피리언스·솔리드웍스 등 다쏘시스템 솔루션 커뮤니티와 산업계 관계자가 한데 모여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기반 혁신 인사이트를 경험했다. 행사 첫날 열린 오프닝세션에는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다이내믹스 창업자 겸 AI 연구소 전무이사도 함께 등판해 행사 시작을 기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 이하 3DXW)’가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3일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디자이너·엔지니어·기업가·리더·학생 등 3D익스피리언스·솔리드웍스 등 다쏘시스템 솔루션 커뮤니티와 산업계 관계자가 한데 모여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기반 혁신 인사이트를 경험했다. 올해는 79개국에서 3971명이 행사장을 찾았고, 이 가운데 33개사가 파트너사로 참여해 다쏘시스템 솔루션으로 탄생한 자사 제품을 소개했다. 행사 첫날에는 버나드 샬레(Bernard Charlès) 회장, 파스칼 달로즈(Pascal Daloz) CEO, 마니쉬 쿠마(Manish Kumar) 솔리드웍스 CEO, 지앙 파올로 바씨(Gian Paolo Bassi) 고객 역할 경험 담당 부사장 등 다쏘시스템 사단과 마크 레이버트(Marc Raibert) 보스턴다이내믹스 창업자 겸 AI 연구소 전무이사 등 다쏘시스템 파트너가 진행하는 오프닝 세션이 진행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이달 23일 美 휴스턴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 개막 설계부터 제조까지 가상 통합 플랫폼 강조...‘버추얼 트윈·생성형 AI 융합’ 통한 차세대 가상화 기술 공개 보스턴다이내믹스·에니아이·쿠카 등 로보틱스 전문가 연사로 나서 로봇 혁신 사례 공유 예고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은 실제 현상을 물리적으로 구현하기에 앞서, 가상 공간에서 미리 모의실험·검증하는 개념이다. 이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으로, 컴퓨팅 분야에서 시작해 다양한 영역으로 파생되는 추세다. 프랑스 소재 시뮬레이션 및 3D 설계 솔루션 업체 다쏘시스템은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기술을 내세운다. 이 기술은 가상 공간에서 제품에 대한 시뮬레이션·분석·예측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최근에는 여기에 생성형 AI(Generative AI)를 융합한 효율·협업 증진 방법론을 강조하고 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이 같은 내용을 주제로 한 ‘3D익스피리언스 월드 2025(3DEXPERIENCE WORLD 2025)’가 사흘간 개막한다. 해당 행사는 버추얼 트윈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 이하 3
레드햇이 레드햇 오픈시프트 버추얼라이제이션 엔진(Red Hat OpenShift Virtualization Engine)을 출시했다. 이번 제품은 가상화 워크로드에 초점을 맞춘 오픈시프트 버전으로, VM 배포·관리·확장을 위한 맞춤형 옵션을 제공하며 VM 관리와 무관한 기능은 제외했다. 컨테이너화로 인해 일부 애플리케이션 VM 활용 방식이 변화했지만, VM은 여전히 IT 인프라에 있어 핵심적인 도구로 꼽힌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버추얼라이제이션 엔진은 VM 관리와 확장을 위한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레드햇 오픈시프트 버추얼라이제이션 엔진은 KVM 하이퍼바이저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를 기반으로 한다. 온프레미스 하드웨어와 AWS 베어메탈 인스턴스를 포함한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실행 가능하며, 내장 보안 기능과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반의 일관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상화 마이그레이션 툴킷이 포함돼 기존 가상화 플랫폼에서의 전환을 간소화하고, 레드햇 앤서블 오토메이션 플랫폼과 통합해 VM 관리와 대규모 마이그레이션 자동화를 지원한다. 레드햇은 VM 관리와 확장을 위한 어드밴스드 클러스터 매니지먼트도 출시했다. 이 솔루션은 VM 라이프사이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 SDR(Software Defined Robot) 솔루션으로 ‘이목 집중’ 로봇 기술 검증 효율성 극대화 기대...“시행착오 줄여 시간·비용↓” 민트로봇이 ‘제58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 출격해 산업·참관객과 소통했다. 이 자리에서 가상공간에서 로봇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로봇(Software Defined Robot 이하 SDR)’ 기술을 내세웠다. 민트로봇 전시부스에서 소개된 SDR 솔루션은 독립적인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컨테이너(Containerization)’ 기술을 기반으로 작동한다. 쉽게 말해, 클라우드에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것인데, 이 환경에서 가상화(Virtualization) 인프라를 구축해 로봇 제어·구동을 검증할 수 있다. 해당 SDR 기술은 로봇의 가동·주행을 담당하는 제어기를 비롯해, 설비 통합 제어단까지 가상화한다. 이후 물리 엔진 기반 시뮬레이터와 연결해 실제 로봇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상 로봇의 제어 모습을 구현한다. 이번 CES 부스에는 이러한 과정이 모사된 메타버스(Metaverse) 환경을 참관객에게 소개했다. 이 공간 안에는 민트로봇 자체 개발 모션 제어기가 이
에스엔에이는 지난달 출시된 에이블클라우드 ‘에이블스택 4.0’으로 국내 가상화 전환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이블클라우드의 에이블스택4.0은 x86 서버 기반으로 가상화 기술을 이용해 가상서버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및 가상화, 클라우드 관리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 제품으로 이번 4.0버전은 가상화 전환과 재해복구 기능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에이블스택 4.0은 에이블클라우드의 데스크톱가상화 솔루션과 다양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기존 클라우드 구축 비용 대비 70% 이상 적은 비용으로 통합 인프라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또한 VM웨어 인프라를 에이블스택 인프라로 전환하는 VM웨어 V2V 기능을 제공해 웹 UI를 통해 편리하게 VM웨어 가상머신을 조회하고 원클릭으로 에이블스택 가상머신으로 전환할 수 있다. 최근 VM웨어 라이선스 정책이 완전 구독형으로 변경되면서 운영비용이 최대 6배 증가하는 등 기업의 부담도 커졌다. 에이블스택 4.0은 편리하고 빠르게 가상머신을 이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VM웨어 사용 고객의 비용 부담을 최소 35%, 최대 50% 이상 줄일 수 있어 대체 전략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
데스크톱 가상화 전용 제로클라이언트 OBB(OnBook Box) 출시 틸론은 데스크톱 가상화 전용 제로클라이언트인 OBB의 온라인 런칭쇼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10월 5일 오후 2시 틸론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OBB는 데스크톱 가상화를 위한 제로클라이언트로,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고에너지소비 데스크톱을 대체하여 탄소중립 실현이 가능하다. OBB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전원 버튼에 지문인식 기능을 탑재해 단말기의 전원 켜기와 가상 데스크톱 접속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가상 데스크톱 접속 시 지문인식 외 OTP 인증, 메시지 인증 코드를 통한 다중인증을 제공하여 사용자는 핸드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지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할 수 있다. 이런 접속방식은 단말기 분실 시 타인의 데이터 접근을 차단하여 보안성을 강화한다. Paperless 회의 솔루션과 결합해 즉각적인 회의 환경 구현과 안전한 문서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행정 업무 효율성과 회의 준비 시간 및 자원 절약에 도움을 준다. 온라인 런칭쇼는 총 2개 파트로 진행되며, 틸론 임직원들은 '효율적인 업무를 위한 OBB' 발표와 OBB 데모 시연을 진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