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트라이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상용화 통한 신시장 창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시장의 화두가 되면서 구글과 삼성, 애플 등 관련업계 기업들의 움직임이 양·질적으로 활발하다. 이러한 배경에는 모든 사물이 사람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시대의 도래, 전세계 스마트폰 성장률 둔화 등을 꼽을 수 있다. IT시장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기대가 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산업평가기술관리원 한상철 산업융합 PD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2014년 90억 개에서 2025년에는 3~5배 늘어난 270억~500억 개로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성장률은 점차 둔화되고 있어 포스트(post)스마트폰에 대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허 기술확보 및 신기술 개발 경쟁 가속화가 불가피하다. 이를 반영하듯, 구글 글래스를 비롯해 삼성의 갤럭시 기어, 애플의 워치 등 다양한 분야의 업체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웨어러블 산업을 창조경제 실현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정부와 민간 공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