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트라이트 [편집자 칼럼] DPP의 시대, RFID가 디지털 제품 여권의 ‘척추’가 된다
2027년부터 유럽연합(EU)이 의무화할 디지털 제품 여권(DPP: Digital Product Passport) 제도는 단순한 규제가 아니다. 이는 전 세계 제조 및 공급망 전반에 걸쳐 ‘투명성’과 ‘신뢰성’을 재정의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특히, 배터리·전자제품·섬유를 시작으로 점차 확대될 이 제도는 제품의 재료 구성, 원산지, 탄소 발자국, 재활용 가능성 등 다양한 정보를 요구하며, 기업에게는 전방위적 데이터 제공 의무가 발생한다. 이처럼 복잡하고 방대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추적·관리하는 기반으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더 이상 부가 옵션이 아닌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다. RFID, 제품의 ‘디지털 신원’을 부여하다 DPP는 모든 제품에 고유하고 안전한 디지털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RFID이다. RFID 태그는 복잡한 생산 환경, 변화무쌍한 기후 조건, 다층적인 공급망에서도 제품 데이터를 자동으로, 빠르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RFID는 제품과 디지털 수명주기 정보 간의 물리적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제조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