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진이 병원에 가지 않고도 옷을 입은 채 침대에 눕기만 하면 심전도(ECG)와 심박변이(HRV)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원격 의료와 연계해 일상적인 심장 건강 모니터링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수면·스트레스 분석 등 다양한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로 확장돼 환자 맞춤형 예방과 조기 진단에 기여할 수 있다. KAIST는 바이오및뇌공학과 김철 교수 연구팀이 ‘침대형 심장 모니터링 온디바이스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자회로와 전극을 하나로 통합한 유연성 기판 센서를 제작해 정밀도를 높였으며, 온디바이스 신호처리를 통해 신호-잡음 분리, 심장 박동 신호(R-피크) 검출, 심박변이 분석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구현했다. 기존 심전도 측정은 병원을 방문해 옷을 벗고 피부에 습식 전극을 부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 때문에 장기 모니터링이 어렵고, 특히 고령자나 만성질환 환자는 일상적으로 활용하기 쉽지 않았다. 비접촉 방식은 외부 잡음에 취약하다는 한계도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능동 차폐를 적용해 외부 잡음을 차단하고, 인체의 미세한 전류 변화를 안정적
AI 수면솔루션 기업 에이슬립이 카카오헬스케어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카카오헬스케어의 건강관리 앱 ‘파스타(PASTA)’에 자사의 AI 수면분석 기술 ‘슬립트랙(SleepTrack)’을 탑재한다고 24일 밝혔다. ‘슬립트랙’은 스마트폰을 침대 가까이에 두기만 하면 수면 시간과 깊이, 렘수면 등 수면 단계를 정밀하게 분석하는 AI 솔루션이다. 병원 수면다원검사와 비교해 최대 94%의 정확도를 입증받은 기술로 별도 장비 없이 일상 속 수면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이번 협약을 통해 수면 측정 인프라를 파스타 앱에 통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혈당, 체중 등 만성질환과 직결된 건강 데이터 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계획이다. 기존에는 수면 데이터 확보가 어렵고 장비 의존도가 높았으나 슬립트랙 도입으로 사용자 편의성과 데이터 활용 가능성이 크게 확대됐다. 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는 “만성질환 관리는 식습관이나 운동뿐 아니라 수면의 질과 양과도 깊이 연결된다”며 “슬립트랙 도입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건강 코칭이 한층 고도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에이슬립 이동헌 대표도 “이번 협업은 수면 데이터를 혈당·체중관리와 접
수면 분석 AI 기업 에이슬립과 헬스케어 가전 전문기업 세라젬이 CES 2025에서 슬립테크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척추 의료기기, 홈 메디케어 베드 등 다양한 홈 헬스케어 가전에 수면 분석 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에이슬립은 착용이 필요 없는 비접촉식 수면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병원 수면검사의 94%에 달하는 정확도를 제공하며 이번 CES 2025에서 디지털 건강과 인공지능 부문 혁신상을 수상했다. 세라젬은 척추 의료기기와 건강한 매트리스 플랫폼으로 CES에서 3개의 혁신상을 수상하며 건강한 집(Home Wellness)을 선보였다. 양사는 각자의 강점을 결합해 개인 맞춤형 숙면 기능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슬립테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에이슬립의 기술은 수면 중 숨소리를 분석해 사용자의 수면 단계를 파악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척추 의료기기나 홈 메디케어 베드를 사용하는 동안 수면 패턴을 인식하고 온도와 조도 등을 조절해 최적의 숙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면 장애 없는 편안한 수면을 경험하도록 돕는 제품과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