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한식 프랜차이즈 업체 거상글로벌과 외식 사업 디지털 전환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KT는 거상글로벌의 프랜차이즈 한식당 '풀초롱밥상'에 테이블오더 브랜드 '하이오더'와 'AI 서빙로봇'을 도입한다. 거상글로벌의 신규 성장 사업인 스크린 골프장에 테이블오더와 AI 서빙로봇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안치용 KT 강북강원광역본부장(전무)은 "거상글로벌의 전문화된 한식 사업 경험에 KT의 기술을 더해 소상공인과 식당 고객들에게 더 편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더싸인이 올해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에서 비접촉 광학식 3차원 측정기 ‘InfiniteFocus SL’를 전시한다.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는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이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105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할 예정이다. 더싸인은 오스트리아 광학 솔루션 기업 Bruker Alicona사와 비접촉 광학식 3차원 측정기 총판 계약을 맺은 업체다. 더싸인 관계자는 “정밀금형·자동차·의료·항공 등 분야 품질관리 영역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이라며 Bruker Alicona 측정기를 소개했다. 이번 SMATOF 2023 더싸인 부스에는 Bruker Alicona사 비접촉 광학식 3차원 측정기 InfiniteFocus SL가 배치될 예정이다. InfiniteFocus SL은 Focus Variation 기술 기반 광학식 3차원 측정기로, ISO 4287·4288·25178 등 표면거칠기 측정 규격이
자율주행 기반 로봇 솔루션 업체 위고로보틱스가 실내 자율주행 로봇, AI 로봇 등 프로그래밍 및 개발을 위한 로봇 플랫폼 ‘LIMO’를 SMATOF 2023 전시장에 내놓고 산업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는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이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105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할 예정이다. 위고로보틱스는 제어 및 메카트로닉스 분야 노하우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을 산업에 제공하는 로봇 플랫폼 업체다. 물류 이송·순찰·방역·교육 등 자율주행 영역 목적형 로봇을 위한 시스템 통합 및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측정 및 계측 분야의 목적형 로봇 상용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 교육 영역에도 역량 및 투자를 확대해, 엔지니어 발굴 등 자율주행 인재 양성을 목표로 대학기관과의 연계 사업도 진행 중이다. 위고로보틱스는 이 과정에서 활용되는 콘텐츠 및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원프레딕트가 이달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가디원 서브스테이션(GUARDIONE Substation)과 가디원 모터(GUARDIONE Motor) 등 예지보전 솔루션 두 종을 참관객 및 관계자에게 소개한다. 경상남도와 창원특례시가 주최하는 2023 창원국제스마트팩토리 및 생산제조기술전(SMATOF 2023)이 10월 17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주)첨단·한국무역협회·한국산업지능화협회·경남로봇산업협회와 공동 주관하는 SMATOF 2023은 올해 8회째를 맞는 제조자동화 전문 전시회로, 105개 업체가 400부스 규모로 참가할 예정이다. 올해 전시회에서는 FA솔루션·제어 및 계측·센서 및 비전·소프트웨어·물류 솔루션·로봇·3D 프린팅·금속 등 관련 기술 및 솔루션을 소개한다. 여기에 로봇산업 특별관, 창원시 디지털 혁신 협력관, 3D 프린팅 특별관, 푸드TECH 라운지 등 특별관도 구성될 예정이다. 원프레딕트는 산업 AI 및 IoT 기술 기반 설비 예지보전 디지털 솔루션 업체다. 원프레딕트 솔루션은 에너지·유틸리티·석유 및 가스·제조 등 산업 분야 내 설비 상태를 진단하고, 향후 상태를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원프레딕트 관계
5일, 한국거래소에서 상장기념식 개최…협동로봇이 대형북 치며 거래 시작 알려 두산로보틱스가 유가증권시장(KOSPI)에 주식 상장을 완료하고, 협동로봇 종합솔루션 기업으로서 본격적인 행보를 시작한다. 두산로보틱스는 5일, 서울 여의도 증권거래소에서 ‘상장기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두산로보틱스 박인원 대표와 류정훈 대표를 비롯해 한국거래소 및 IR협의회, 주관사 등에서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주가 상승을 의미하는 빨간색으로 래핑한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이 한국거래소 신관 로비에 마련된 대형 북을 치는 퍼포먼스로 시작됐다. 여기에 활용된 협동로봇은 최대 25Kg의 가반하중을 자랑하는 H시리즈다. 이어 상장 계약서에 서명하고, 상장기념패 전달식을 가진 뒤 두산로보틱스 박인원 대표와 류정훈 대표가 두산로보틱스의 거래 시작을 알리는 매매개시 벨을 누르는 것으로 행사가 마무리됐다. 두산로보틱스 박인원 대표는 상장과정에 도움을 준 관계자와 임직원에게 감사인사를 전한 뒤 “앞으로 두산로보틱스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한 생태계 구축, AI 및 AMR(자율주행로봇) 기술 내재화 등을 통해 협동로봇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하면서 “이와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헤드, 120개 단계로 각도 설계된 소켓렌치 내놔...사이즈·용도별 소켓도 선보여 대만 수공구 업체 ES JINTZAN가 편의성 및 가용성을 위해 다각도로 설계된 소켓렌치를 제2회 대만 국제 공구 및 하드웨어 전시회 부스에 전시해 참관객의 관심을 유도했다. TiTE 2023 Expo는 대만수공구제조업자협회(THTMA) 주최로, 이달 4일부터 6일까지 대만 타이중시 타이중국제전시센터에서 열린 툴 솔루션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공구 및 부속품, 하드웨어, 금속 가공 장비와 더불어 자동차 수리, 주택 유지관리, 건축 등에 활용되는 장비를 선보이며, 산업용 시험장비·소프트웨어 등을 다뤘다. ES JINTZAN가 이번에 내놓은 주력 제품은 소켓렌치로, 부스 관계자는 무버블(Moveable) 헤드, 세분화된 각도 운용성으로 설계된 소켓렌치를 이번 전시회의 ES JINTZAN 대표 제품으로 소개했다. 여기에 다양한 사이즈 및 용도에 활용 가능한 소켓도 전시해 보였다. ES JINTZAN 관계자가 소개한 소켓렌치는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헤드를 갖춰 대상의 위치와 상황에 맞춰 활용 가능하다. 해당 관계자는 특히 기존 60가지의 각도 조절 기능을 120
도서관에서 활약하는 AMR, 산업 현장에 배치된 AGV, 0.25μm 규모 검출 가능한 AI 기반 AOI 기술 소개 “ERP 융합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해 고도화된 기술 선보일 것” 대만 전사적자원관리(ERP) 업체 IMMENSE가 물류 산업 혁신에 기여할 무인 운반차(AGV), 자율주행 로봇(AMR), 인공지능(AI) 기반 자동광학검사(AOI) 기술을 전시회 부스에 내놨다. 제2회 대만 국제 공구 및 하드웨어 전시회(TiTE 2023 Expo)는 대만수공구제조업자협회(THTMA) 주최로, 이달 4일부터 6일까지 대만 타이중시 타이중국제전시센터에서 열린 툴 솔루션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공구 및 부속품, 하드웨어, 금속 가공 장비와 더불어 자동차 수리, 주택 유지관리, 건축 등에 활용되는 장비를 선보이며, 산업용 시험장비·소프트웨어 등을 다뤘다. 루이스 헝(Lewis Hung) IMMENSE 광동지사 CEO는 “IMMENSE는 이번 전시회에서 도서관 및 편의점 전용 AMR, 물류 현장 내 테니스 및 베드민턴 라켓 운송 공정에서 활약 중인 AGV, 자동차 변속기 기어 및 전조등·기계 부품 절단용 다이아몬드·VR 및 카메라 렌즈 등 결함을 검사하는 0.2
항공·자동차 분야 수리, 유지보수, 기술개발 등 영역서 활용되는 공구 들고 전시회 참가 유럽 자동차 수리 인증 획득, 세계기능경기대회 지원 등 사례 소개 공구 솔루션 업체 JONNESWAY가 항공·자동차(Automobile)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수공구·공압 공구·수리 툴·공구 및 정비공 툴 세트 등을 TiTE 2023 Expo 참관객에게 선보였다. 제2회 대만 국제 공구 및 하드웨어 전시회(TiTE 2023 Expo)는 대만수공구제조업자협회(THTMA) 주최로, 이달 4일부터 6일까지 대만 타이중시 타이중국제전시센터에서 열린 툴 솔루션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공구 및 부속품, 하드웨어, 금속 가공 장비와 더불어 자동차 수리, 주택 유지관리, 건축 등에 활용되는 장비를 선보였으며, 산업용 시험장비·소프트웨어 등도 다뤘다. JONNESWAY는 이번 전시회 부스에서 세밀한 힘 조절이 가능한 토크 렌치 ‘MICROMETER TORQUE WEWNCH’ 시리즈와 얇은 몸체로 설계돼 비교적 작은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라쳇핸들 ‘THIN PROFILE RATCHET HANDLE’ 라인업을 중점으로 소개했다. 진린(Jim Lin) JONNESWAY QD는 특히 토
기아가 전기차 배터리 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 최초로 민관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기아는 6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진행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2023 국제 이차전지 포럼’에서 현대글로비스, 에바싸이클, 에코프로, 경북도청, 경북테크노파크 등 전기차 배터리 관련 업체 및 지자체 5곳과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얼라이언스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증가하는 전기차 폐배터리 물량을 활용하기 위해 배터리 재활용 과정 전반에 대한 검증 필요성이 대두되는 가운데, 기업과 지자체 간 협력을 기반으로 배터리 생태계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 시행을 위해 이뤄졌다. 폐배터리 재활용의 경제성 및 신규 사업 추진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배터리 잔존가치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 이번 시범사업은 해당 가치를 자세하고 현실성 있게 분석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특히 이번 사업은 국내 최초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자동차 제조사부터 배터리 재활용 기업, 이차전지 소재 제조사, 지자체까지 배터리 산업 전반에 걸친 협력 체계를 구축해 진행하는 새로운 형태다. 시범사업에서 기아는 폐배터리 공급을 비롯한 시범사업 총괄, 현대글로비스는
삼성엔지니어링과 Svante, 아시아 및 중동의 탄소 포집 발전 위한 MOU로 제휴 삼성엔지니어링과 Svante Technologies(Svante)은 아시아 및 중동 탄소 포집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한다. 양사는 새로운 고체 흡착제 기반 탄소 포집 필터 기술을 사용해 시멘트, 철강, 수소, 비료 등을 포함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어려운 중공업을 대상으로 아시아와 중동에서 상업용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CCUS) 프로젝트를 식별, 개발 및 실행하기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삼성 엔지니어링은 전 세계에서 세계 최고의 엔지니어링, 조달 및 건설(EPC)과 프로젝트 관리 기업 중 하나이며, 에너지 전환을 주도하겠다는 야망을 가지고 있다. 많은 프로젝트 수행에서의 삼성 엔지니어링의 폭넓은 경험과 탄소 포집 및 제거에 대한 Svante의 새로운 접근 방식이 결합함으로써 이 협력은 탈탄소화를 모색하는 중공업 고객에게 혁신적 솔루션이 된다. 삼성엔지니어링의 중요한 목표는 ‘EPC를 초월하는 그린 솔루션 제공업체’가 되는 것이다. 이 회사는 기존의 EPC 플레이어 뿐만 아니라 친환경 솔루션 제공업체로 변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자체 운영을 탈탄소화하기
바이오 빅데이터 활용하여 질병 조기발견, 치료 바이오마커 발굴 쓰리빅스는 동탄사옥에서 LG전자와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바이오 헬스 분야 공동 연구를 비롯해 바이오 빅데이터 및 AI를 활용한 사업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쓰리빅스는 3X-KBank, 3X-TMiner, 3X-MOmics의 3가지 핵심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3X-KBank는 90여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정제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한 독자적인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3X-TMiner는 3천만 건의 논문에서 자연어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활용이 가능한 문헌 기반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3X-MOmics는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플랫폼이다. 쓰리빅스는 3가지 핵심 플랫폼을 활용해 국립암센터의 멀티오믹스 기반 암 유전체 연구 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 중이다. 2024년부터 9년간 진행되는 국가바이오빅데이터사업의 시범사업자로 선정되어 전장유전체 데이터의 분석 및 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운영 및 교육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연내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바이옴 서비스와 아마존웹서비스에 3X-MO
오므론(OMRON)은 다양한 산업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OMRON TM S 시리즈 협업 로봇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코봇은 고급 하드웨어, 더 많은 안전 기능 및 인증, 차세대 구성 기능을 도입하여 이전보다 사용하기가 더 쉬워졌다. 제조업체의 사람과 협동하는 환경에서 향상된 성능과 안전성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여 TM S 시리즈는 5kg에서 14kg까지의 페이로드 용량과 700mm에서 1300mm까지의 도달 범위를 갖춘 4가지 모델을 제공한다. 다양한 설치 유형이 가능하며, 모바일 로봇에 사용하여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oMa) 솔루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각 코봇은 ±0.03mm의 반복 정밀도로 작동하는 6개의 회전 조인트를 갖추고 있으며, 평균 속도는 1.1~1.4m/s이다. OMRON TM S 시리즈 코봇은 내장 1.2M/5M 픽셀 컬러 카메라가 있는 모델과 없는 모델로 제공되며, 사용자는 더 높은 해상도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2 GigE 2D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코봇 팔 끝단에 있는 카메라 조인트인 조인트 J6는 450°/s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업계에서 가장 빠르고 이전 모델보다 4배 빠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글로벌 기어드 모터 및 산업용 기어 시장은 성장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Interact Analysis에서 발표한 'Geared Motors and Industrial Gears Market'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기어드 모터 및 산업용 기어 판매는 2022년에 비해 약간 감소한 약 127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지역 중 미주 시장은 지난 2년 동안 예상보다 좋은 성과를 거두었지만, 2023년 미국 물류 부문의 기어드 모터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광업과 같은 중장비 산업에 사용되는 대형 기어 박스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보고서는 유럽 시장의 규모(미달러 기준)는 유로화 약세로 인해 가격 인상이 판매를 뒷받침함에 따라 2022년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2023년에는 유럽 제조업이 전반적인 수요 냉각에 직면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기어드 모터 및 산업용 기어 시장은 주로 중국 시장의 영향으로 2022년에 이어 또 한 번 부진한 1년을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에는 소비자 관련 산업의 수요 감소와 중공업 프로젝트의 지연이 기어드 모터와
해수부,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 발표 정부가 세계적인 디지털 해양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42개의 디지털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수출기업 21개를 육성한다. 해양수산부는 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비전과 목표를 담은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선박의 디지털 전환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은 선박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변화시킬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세계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시장은 연평균 8%씩 성장해 2027년 14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발전 가능성 또한 크다. 이에 해수부는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강소 수출기업 육성과 6조 5,000억 원 규모의 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먼저, 해양신산업 펀드를 활용해 유망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기업의 연구인력 및 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해 나간다. 국가·지자체 소유의 선박을 디지털 선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 공공수요 또한
문제 제기한 오프콤 "일부 영국 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변경 등에 관한 우려 밝혀" 영국 경쟁당국이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점유율 70∼80%를 차지하는 미국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를 심층 조사한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5일(현지시간) 영국 공공 클라우드 인프라와 관련해서 시장 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조사 기간은 통상 18개월이다. 경쟁시장청은 성명에서 "영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약 75억 파운드(12조 원)로, 소셜미디어부터 인공지능(AI) 기반 모델까지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뒷받침한다"며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효과적인 경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미디어 규제기관인 오프콤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오프콤은 아마존과 MS 등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혁신과 성장을 제한한다는 우려에 관해 1년간 조사한 결과, 이들이 다양한 공급자를 이용하거나 공급자를 바꾸기 어렵게 한다는 증거를 찾았다고 말했다. 오프콤은 성명에서 "일부 영국 기업들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를 바꾸거나 혼합해서 사용하기가 너무 까다롭다는 점에 관해 우려한다고 말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데이터를 이전할 때 내는 비용과 상호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