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올티에스와 업스테이지가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위한 전략적 협력에 나선다. 양사는 지난 14일 다올티에스 본사에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AI 비즈니스 활용(LLM, RAG) 및 GPU 인프라 분야에서의 기술 협력과 시장 확대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다올티에스는 델 테크놀로지스, 수세,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국내 총판사로서,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등 하드웨어 인프라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가상화, 인공지능 분야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IT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특히 지난해 전략사업본부를 신설하며 AI 사업을 본격화하고 다양한 ISV 파트너들과 협력해 AI 에코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업스테이지는 비정형 데이터 정형화 솔루션 ‘다큐먼트 파스(Document Parse)’, 자체 사전학습 거대언어모델(LLM) ‘솔라(Solar)’를 중심으로 금융, 법률,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산업별 맞춤형 AI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다올티에스의 AI 인프라 설계 및 구축 역량과 업스테이지의 LLM 및 AI 솔루션 수행 역량을 결합, AI 인프라부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통합 AI 플랫폼 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양사는
셀바스AI가 개별 판매하던 AI 교육 음성인식 솔루션 ‘셀바스 스피치 에듀(SELVAS Speech Edu)’의 주요 기능들을 하나로 통합한 신규 패키지 ‘셀바스 스피치박스(SELVAS SpeechBox)’를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셀바스 스피치박스는 기존 고객은 물론 신규 고객에게도 더욱 강력한 기능과 유연한 구성 옵션을 제공하며, AI 기반 교육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셀바스 스피치박스에는 ▲문장 단위로 발음, 억양, 강세, 발화 속도 등을 평가하는 SELVAS SR(Speech Recognition) ▲학습자의 발화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텍스트로 변환하는 SELVAS STT Dictation ▲음소 및 음가 단위까지 세분화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SELVAS Phonics 솔루션이 통합돼, 말하기 학습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완성형 솔루션으로 구성됐다. 특히 셀바스 스피치박스는 고객의 교육 목적과 사용 환경에 따라 필요한 기능만을 자유롭게 선택·조합할 수 있는 모듈형 구조를 채택해,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셀바스AI 관계자는 “기존의 타사 솔루션들이 구조적으로 기능이 통합돼 있어 사용
국토 위성, 3월부터 9차례 긴급 공간정보 지원 국토지리정보원, 고해상도 위성영상 활용 피해 상황 신속 파악 및 복구 지원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조우석)이 지난 3월 21일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 지역의 신속한 복구를 위해 국토 위성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 ‘긴급 공간정보’를 제공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긴급 공간정보’는 위성영상과 항공사진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제작된 고해상도 영상으로, 지난 2020년부터 각종 재난 발생 시 접근이 어려운 피해 지역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국토 위성영상은 국내 최고 수준의 해상도(흑백 0.5m, 컬러 2m)를 자랑하며, 이를 통해 확보된 영상은 과학적인 분석을 거쳐 피해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고 효율적인 복구 작업을 지원하는 데 기여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난달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주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지역의 분석과 복구 계획 수립을 위해 국토 위성으로 촬영한 영상과 더불어 해외 위성영상, 항공사진, 수치지형도를 통합한 재난 공간정보를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산림청 등에 지속적으로 제공해 왔다. 특히 3월 23일부터 현재까지 총 9차례에 걸쳐 긴급 공간
텍사스 배스트럽 4만6천㎡ 부지에 생산·연구·설계 등 현지화 핵심 시설 갖춰 전력기기·배전반 등 전략 제품 생산…현지화 전략으로 관세리스크 적극 대응 LS일렉트릭이 미국 텍사스에 현지 생산 복합캠퍼스를 완공하고 북미 전력시장 공략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번 행보는 미국 전역을 아우르는 기술·생산·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고, 글로벌 톱4 전력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LS일렉트릭은 14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배스트럽시(Bastrop)에 위치한 ‘LS일렉트릭 배스트럽 캠퍼스’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을 비롯해 존 커클랜드 배스트럽 시장 등 2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배스트럽 캠퍼스는 46,000㎡ 부지에 연면적 3,300㎡ 규모로 건립됐으며, 생산·연구·설계 등 북미 사업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복합 거점이다. LS일렉트릭은 지난해 부지를 확보한 이후 건물 리모델링과 생산설비 구축을 단계적으로 진행해 왔으며, 올해부터는 중·저압 전력기기 및 배전시스템을 본격 생산한다. 이는 미국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현지 생산을 통해 관세 부담 해소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구자균
한국전파진흥협회(RAPA)가 임베디드 및 자율주행 기반 지능형 차량 소프트웨어(SW)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Intelligent Vehicle School(IVS) 4기’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번 교육 과정은 고용노동부의 ‘K-Digital Training(디지털 선도기업 아카데미)’ 사업의 일환으로 HL만도, HL클레무브, 현대엔지비와 공동으로 추진된다. 2023년 시작된 IVS는 현재 3기까지 운영 중이며, 오는 6월 3기 수료 후 우수 수료생을 대상으로 HL만도와 HL클레무브의 특별채용 전형이 진행될 예정이다. IVS 4기는 총 30명을 선발해 2025년 6월 23일부터 12월 16일까지 총 812시간에 걸쳐 한국전파진흥협회 DX캠퍼스 2센터에서 교육이 진행된다. HL인재개발원의 직무기술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HL만도, HL클레무브, 현대엔지비가 설계한 이 커리큘럼은 실제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교육 내용은 차량 SW 개발에 필수적인 기초 프로그래밍 언어부터 임베디드 시스템, 제어 기술, 차량 통신 시스템, AUTOSAR, 검증 프로세스 등 핵심 기술을 포괄한다. 여기에 모델 기반 제어(MBD), 레이다·라이다, 첨단 운전자 지원
㈜넥스버가 독일의 광학 및 머신 비전 전문기업 SVS-Vistek의 최신 산업용 카메라 모델 shr811CCX12를 국내 시장에 공식 소개하며 초정밀 이미징이 요구되는 산업 현장에 2억 4,580만 화소라는 압도적 해상도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shr811CCX12는 소니의 고성능 CMOS 센서와 초고속 CoaXPress-12(CXP-12) 쿼드 인터페이스를 결합한 것으로 최대 12.4fps의 전송 속도로 19,200 x 12,800픽셀 컬러 이미지를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넓은 시야각과 복잡한 패턴 분석이 필요한 분야에서 정확도와 처리량 모두를 향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반도체 웨이퍼, PCB, FPD(평판디스플레이), 태양광 패널 등 고정밀 표면 검사가 필요한 산업뿐만 아니라 의료 영상, 천문 측량, 지도 제작, 항공 감시, ITS(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다양한 공공 및 연구 분야에서도 활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최대 50G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4채널 CoaXPress-12 포트를 탑재하고 있으며 각 포트는 12.5Gbps 데이터 처리 및 24VDC PoCXP(Power over CoaXPress)를 지원한다. 이와 같은 높
AI 기반 머신 비전 기술 전문기업 ㈜포스로직(대표 송종현)이 독자 개발한 AI·2D·3D 통합 비전 라이브러리 ‘FLImaging®’이 국내외 제조 산업 현장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FLImaging®’은 AI 딥러닝 알고리즘과 고성능 룰베이스드(Rule-based) 알고리즘을 단일 라이브러리로 통합한 국내 유일의 머신 비전 플랫폼이다. 특히 SIMD 병렬 처리 구조와 멀티스레딩 기술을 전 알고리즘에 적용, 산업 현장의 작업 시간 단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 기술은 이미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이차전지, 전자 제품 등 산업 전반의 선두 기업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적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적용 이후 단 한 건의 VoC(고객 불만) 없이 높은 완성도와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 3월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서는 FLImaging®의 실제 데모가 전시되며 폭넓은 산업계 반응을 얻었다. 300개 이상의 산업군 기업들과 상담이 진행됐, 이 중 약 60개사는 전시회 종료 직후 협업을 공식화했으며 즉시 현장 적용이 결정된 사례도 다수다. 당시 현장을 찾았던 참관객들은
글로벌 광학 부품 및 어셈블리 제조 전문 기업 에드몬드옵틱스(Edmund Optics)가 초정밀 광학 가공 기술을 보유한 독일의 son-x GmbH를 인수, 글로벌 제조 역량 강화와 혁신 솔루션 제공 체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son-x는 2011년 독일 아헨에 설립된 기업으로 Fraunhofer 연구소에서 분사한 후 초음파 어시스트 시스템 및 고정밀 다이아몬드 선삭 기술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번 인수를 통해 에드몬드옵틱스는 정밀 광학 제조의 새로운 가능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며 전 세계 고객을 위한 차세대 고정밀 솔루션 공급 능력을 대폭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son-x는 초음파 어시스트 다이아몬드 선삭 기술을 기반으로 1mm부터 최대 1m까지의 다축(최대 5축) 고복합 표면 가공을 구현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정밀 센서, 반도체, 국방, 우주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고정밀 광학 수요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에드몬드옵틱스의 CEO 겸 이사회 의장 Marisa Edmund는 “son-x를 에드몬드옵틱스 가족으로 맞이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인수는 정밀 광학 분야의
지능형 로봇 비전 기술 전문기업 메크마인드로보틱스(이하 메크마인드)가 전 세계 고객을 위한 온라인 전시관을 공식 오픈,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AI 기반 3D 비전 로봇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번 온라인 전시관은 메크마인드 글로벌 공식 웹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하며 ▲산업용 3D 카메라 ▲AI 소프트웨어 제품군 ▲30가지 이상의 지능형 로봇 데모 애플리케이션 등을 직관적이고 몰입감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사용자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다. 메크마인드 온라인 전시관은 2,000㎡ 이상의 가상 공간에 자동차, 물류, 금속 가공, 전기차 배터리, 소비자 가전 등 다양한 산업군별 활용 사례를 반영한 30개 이상의 데모를 탑재하고 있다. ▲머신 텐딩 ▲디팔레타이징 ▲포지셔닝 및 조립 ▲측정 및 검사 등 현장 중심의 적용 시나리오를 통해 방문자는 실제 산업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혁신 사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이번 플랫폼은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 4개 국어를 지원하며 글로벌 고객이 자국어로 제품을 확인하고 문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클릭과 드래그만으로도 전
AI 에듀테크 영어교육 전문기업 ㈜아이포트폴리오의 AI기반 영어 독서 프로그램 ‘리딩앤스쿨’이 2025년 서울시 초등학교의 47%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딩앤스쿨’은 올해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선정한 ‘AI 교육서비스’ 중 영어 읽기 부문 공식 서비스로 새 학기 한 달 만에 빠르게 학교 현장에 확산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영어, 수학, 과학 등 총 8개 학습 영역에 대해 AI 교육서비스를 선정하여 공교육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리딩앤스쿨은 맞춤형 학습 피드백과 콘텐츠 품질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초·중·고 대상 영어 읽기 프로그램으로 선정되었다. 현재 중학교의 18%, 고등학교의 15%에서도 도입이 진행 중이다. ‘리딩앤스쿨’은 세계적 출판사인 옥스포드, 콜린스, 펭귄랜덤하우스 등의 프리미엄 영어 원서를 기반으로 하며 자체 개발한 5단계 다차원 읽기(MDR: Multi-Dimension Reading)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 ▲단어 퀴즈 ▲듣기 ▲읽기 ▲AI 발음 분석 ▲퀴즈 리뷰까지 영어의 전 영역을 통합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대화형 AI 학습 친구 ‘로라(LAURA)’와 함께 책을 읽고 문답을 주고받는 ‘REA
미국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일부 진정된 가운데 소폭 상승 마감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1.4원 오른 1425.5원으로 집계됐다. 환율은 2.1원 내린 1422.0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했다. 오후 12시13분께 1419.8원으로 1420원을 밑돌기도 했으나 장 마감 전 상승세로 전환했다. 간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일부 자동차 업체를 돕기 위한 무언가를 검토하고 있다”며 자동차 관세의 추가 면세 가능성을 시사했다. 아울러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방송 인터뷰에서 “다음 주에 한국과의 협상이 있다”면서 “협상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99.701로 전날보다 소폭 올랐다. 위험 선호 심리는 강화됐다. 크리스토퍼 월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관세가 높게 유지되더라도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통화 완화에 무게를 뒀다. 이에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78%, 스탠더드앤드푸어스 500지수는 0.79%, 나스닥 종합지수는 0.64% 각각 상승했다. 이날 코스피는 0
지코어는 AI 기반 이미지 생성 플랫폼 기업인 렛츠AI(LetzAI)에 고성능 AI 인프라와 AI 추론 솔루션인 ‘에브리웨어 인퍼런스’(Everywhere Inference)를 제공해 렛츠AI의 글로벌 서비스 확장과 고도화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렛츠AI는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한 이미지, 스타일, 제품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 AI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실시간 이미지 생성과 높은 수준의 사용자 맞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실시간 추론 결과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낮은 지연 시간(latency) 확보가 핵심 과제다. 이에 지코어는 렛츠AI에 엔비디아 H100 GPU 기반의 고성능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고 에브리웨어 인퍼런스를 적용해 렛츠AI의 이미지 생성과 업스케일링 속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대규모 인프라 구축에 드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렛츠AI에 전체 서버가 아닌 GPU 단위로 자원을 제공해 비용 효율적인 AI 인프라 운영을 가능하게 했다. 렛츠AI는 이를 통해 유명 브랜드들과의 협업하며 다양한 창작 프로젝트를 빠르게 전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레스토랑 브랜드는 렛츠AI 플랫폼을 활용해 피자 이미지 생성 챌린지
태백시 장성 농공단지 태백시 장성 농공단지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조성되었으며, 태백시 장성동 249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총 137,270㎡ 규모로 조성된 이 단지의 분양 면적 80,705㎡는 모두 완료되었다. 장성 농공단지에는 고열 처리 목재부터 스마트 무인 택배 보관함까지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이 입주하여 활발한 경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곳에서는 방송 장비, 생활용품, 여성 생리대, LED 조명, 수처리 장비, 로스팅 기기, 컨베이어, 산채, 식용유지, 증류기, 특수 목적용 기계, 탈수기, 장난감, 김치, 조미료, 동결 건조 식품, 차류 가공 등 폭넓은 분야의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단지 내 주요 기반 시설로는 공업용수 412㎥/일(상수도)과 연간 20,489 KWh의 전력이 공급되며, 폐수는 기존 하수 차집관로를 통해 태백시 폐수종말처리장에서 일괄 처리된다. 조성 당시 분양가는 30,000원/㎡ (평당 99,174원)으로 책정되었다. 장성 농공단지는 편리한 기반 시설과 다양한 업종의 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 ㈜나무나라와 ㈜이임데크 등 19개 기업이 가동 중이다. 태백시 철암 농공단지 태백시 철암 농공단
CJ프레시웨이 푸드코트 점포 ‘버거스테이션’에 ‘알파 그릴’ 설치해 에니아이가 인천국제공항 푸드코트 내 한 점포에 햄버거 패티 조리 로봇 ‘알파 그릴(Alpha Grill)’을 공급했다. 해당 로봇은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 있는 CJ프레시웨이 프리미엄 푸드코트 '고메브릿지' 내 '버거스테이션' 매장에 설치됐다. 이번 로봇 설치는 하루 수만 명의 유동 인구가 모이는 공항 내 매장에 조리 자동화 솔루션을 운영한다는 데 주목받고 있다. 알파 그릴은 패티를 압착해 굽고 조리가 완료된 패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조리 자동화 솔루션이다. 조리 시간을 평균 1분 내외로 단축해, 시간당 최대 200개 이상의 패티를 조리한다. 여기에 정교한 온도 제어 시스템을 적용해 패티 굽기 정도를 일관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위생 및 안전성도 갖췄다. ‘미국 국제 위생 재단 표준(NSF)’, ‘미국 국가표준 협회 표준(ANSI)’, ‘미국 보험협회 시험소 인증(UL)’ 등을 충족한다. 아울러 음식과 직접 접촉하는 부품은 유해 물질 안전 검사를 통과했고, 조리 부품은 손쉽게 분리해 세척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에니아이 관계자에 따르면, 공항 내 음식점은 특정 시간대에 주문이
안랩이 자체 구축한 AI 플랫폼 ‘안랩 AI 플러스(AhnLab AI PLUS)’를 공식 런칭했다. 해당 플랫폼은 안랩이 30년간 축적한 위협 분석 데이터, 악성코드 대응 경험 등 보안 인텔리전스를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안랩의 다양한 보안 제품 및 서비스에 적용될 예정이다. 안랩 AI 플러스는 생성형 AI(Generative AI)와 대규모 언어 모델(LLM) 기술을 접목해 기존 머신러닝·딥러닝 기반 보안 탐지 기술을 고도화했다. 파일, URL, 스미싱 문자, 비정형 행위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심층 분석하고 위협 원인 및 공격 방식에 대한 탐지 결과와 대응 가이드를 함께 제공한다. 이로써 보안 담당자는 보다 직관적인 위협 이해와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안랩은 SaaS형 XDR 제품 ‘안랩 XDR’에 AI 보안 어시스턴트 ‘애니(Annie)’를 연동하며 안랩 AI 플러스 적용을 시작했다. 애니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실시간 위협 탐지, 대응 전략(플레이북) 제안, 추가 질문 추천 등의 기능을 제공해 보안 운영을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다. 이번에 선보인 안랩 AI 플러스는 자사 XDR 외에도 다양한 제품·서비스에 확장 적용될 예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