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가 돈이 되는 시대! AI×ESG 융합으로 여는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지속 가능 성장과 수익 창출의 열쇠 AI와 ESG가 함께 만드는 기업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AI×ESG 비즈니스 트렌드」는 ‘탄소가 돈이 되는 시대’라는 전환의 정점에서, AI 기술과 ESG 전략의 융합이 어떤 기회를 만들어내는지를 실무 중심으로 풀어낸 책이다. 이 책은 단순한 기술 소개서가 아니다. AI를 ESG에 어떻게 접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융합이 실제로 어떤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 기회를 만들어내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ESG 보고서에 담긴 기업들의 디지털 혁신 사례, AI 기반 공급망 관리 전략, 탄소 배출권 시장 분석 등은 ESG 경영이 더 이상 ‘이미지 개선’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기업 경영자, 실무자, 투자자, 정책 입안자에게 이 책은 “ESG는 규제가 아닌 기회”라는 전제를 다시금 확인시킨다.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고 복잡한 ESG 지표를 자동화·정량화할 수 있는 도구가 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은 보다 선제적인 전략 수립과 수익 창출이 가능해진다. 내용 구성도 전략적이다. △ESG
'이동·작업·재배' 3대 AI 기술 비전 공개 내년 상반기 4단계 자율주행 트랙터 출시, 비전 AI 기반 야외 환경 자율주행 구현 등 목표 전해 대동그룹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농업 현장 자동화 구현에 속도를 낸다. 이 일환으로 내년 상반기 4단계 자율주행 트랙터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대동그룹 계열사 ‘대동에이아이랩’은 지난 17일 농업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이동·작업·재배’ 3대 AI 개발 현황과 차세대 기술 로드맵을 공개했다. 이동 AI는 논밭·과수원 등 정형화되지 않은 야외 환경에서 농기계나 로봇이 스스로 주행 경로를 판단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위치확인시스템(GPS) 기반 자율주행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비전(Vision) 기술 기반 AI로 경계 인식과 장애물 회피 성능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대동에이아이랩은 지난해부터 약 50만 장, 주행 영상 약 300만 건의 밭·과수원 자료를 수집해, 국내 최대 규모의 농업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를 활용한 4단계 자율주행 트랙터를 내년 상반기 출시할 예정이다. 작업 AI는 경운·파종·수확 등 작업자의 반복 작업을 AI 로봇이 대체하는 기술이다. 이날 현장에서는 원격
자체 개발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아누비스’ 출전...물체 인식, 자율주행, 양팔 조작 등 8개 기능 선보여 "국내 인공지능(AI) 로봇 기술 수준 입증해" 부산대학교 로봇팀 ‘타이디보이(Tidyboy)’가 브라질 살바도르에서 열린 국제 인공지능(AI) 로봇 대회 ‘로보컵 2025(RoboCup 2025)’ 홈 서비스 부문에서 역대 최고점을 기록하며 리그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로보컵은 지난 1996년 일본 오사카에서 'Pre-RoboCup'으로 시뮬레이션 대회로 첫 개막해, 이듬해 일본 나고야에서 공식적으로 첫 개최한 세계 최대 규모의 AI 로봇 대회다. 올해는 이달 15일(현지시간)부터 이레간 37개국에서 총 1500명의 선수가 2000여 대의 로봇을 들고 참가했다. 로봇 축구, 홈 서비스, 산업 자동화, 재난 구호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실력을 겨뤘다. 부산대가 세계 1위를 차지한 홈 서비스 부문은 가정 환경에서 인간을 돕는 서비스 로봇의 기술을 겨루는 종목이다. 로봇이 사물과 환경을 지능적으로 인식하고, 사람과 음성 및 몸짓으로 의사소통하며, 실내 공간을 자율주행하거나 로봇 팔(Robot Arm)로 물체를 조작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10대 AI 인프라 프로젝트’ 가동...글로벌 AI 거점 구축 목표 정보통신기술(ICT)·반도체 역량 통한 실리콘 포토닉스, 양자, AI 로봇 등 3대 핵심 기술 육성 50만 개 일자리 창출 및 3개 국제 연구소 설립 추진 대만 정부가 ‘10대 AI 인프라 프로젝트(Ten Major AI Infrastructure Projects)’ 이니셔티브를 추진한다. 이에 따라, 2040년까지 15조 대만달러(약 5100억 달러) 이상의 경제 가치를 창출하고, 인공지능(AI) 분야 글로벌 리더십을 구축한다. 초우 융 타이(Cho Jung-tai) 대만 행정원장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게시물을 통해 “대만이 정보통신기술(ICT) 부문과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제조 역량을 활용해, 글로벌 AI 영향력 있는 국가이자 '스마트 기술 섬(Smart Technology Island)'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이번 이니셔티브에 따라 대만은 실리콘 포토닉스(Silicon Photonics), 양자 기술(Quantum Technology), AI 로봇(AI Robotics)을 3대 핵심 기술 우선순위로 지정했다. 이 과정에서 글로벌 파운
전북도 피지컬 AI 실증 선도사업 유치 위해 옛 김제공항 부지 제시 47만 평 부지, 지능형 농기계, 필드 로봇, 특장차 클러스터 등 인프라 강점 내세워 정성주 김제시장은 전라북도가 추진하는 피지컬 인공지능(Physical AI) 실증 선도사업의 최적지로 옛 김제공항 부지를 내세웠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사업 유치전에 참전했다. 정 시장은 지난 23일 전북도의회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옛 김제공항 부지는 47만 평으로 넓고 인근에 지능형 농기계 실증단지, 지능형 필드 로봇 첨단과학기술단지, 특장차 클러스터 등 산업 인프라가 갖춰져 있으며, 지리적 접근성도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업은 전북도가 최근 확보한 226억 원의 예산으로, 주변 환경을 학습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피지컬 AI(Physical AI) 기반 핵심 기술의 실증 거점을 도내에 구축하려는 계획이다. 정 시장은 이재명 정부가 제시한 AI 세계 3대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실증·개선·사업화가 빠르게 선순환되는 테스트베드(Testbed)가 필요하고 강조했다. 이어 “김제는 농생명 AI와 특수목적 모빌리티 산업을 동시에 실증 및 상용화할 수 있는 유일한 거점”이라며 “피지컬 AI 산업 확장을
헬로스톡은 반도체, 로봇, AI, 물류, IT 등 주요 산업군을 아우르며 시장 내 주요 기업들의 주가 동향과 전망을 정리해 전달하는 고정 기획시리즈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트렌드 속에서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핵심 기업과 시장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기업별, 종목별 최근 이슈와 증권사 리포트를 토대로 한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LG디스플레이, 감가상각비 감소와 OLED 확장으로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IBK투자증권은 LG디스플레이(034220)에 대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반등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 스마트폰 수요 둔화와 LCD TV 사업 종료 여파로 인해 2분기 매출은 5.6조 원, 영업손실 1,160억 원을 기록했지만, 하반기에는 모바일 OLED 고객사 점유율 상승, 감가상각비 축소, 대형 OLED 수익성 개선 등 복합적인 호재가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2025년 예상 매출은 25.9조 원, 영업이익은 6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이 유력하다. 특히 감가상각비는 전년 대비 8,000억 원 가량 감소해 수익성 개선에 큰 기여를 할 전망이다. 다만 북미 세트업체의 LTPO TFT 채택 확대에 따라 중국 경쟁사의 진입
국토교통부가 평택-시흥 고속도로 확장 민간투자 사업의 사업 시행자 선정을 위한 제3자 제안 공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교통 혼잡 해소와 산업 물류 효율성 증대를 목표로 한다. 현재 운영 중인 평택-시흥 고속도로는 총연장 42.6km로, 이 중 서평택 JCT부터 남안산IC까지 36.4km 구간을 기존 왕복 4차로에서 왕복 6~8차로로 넓히는 대규모 사업이 진행된다. 국토교통부는 평택-시흥 고속도로가 산업 물류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이번 확장을 통해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고 송산그린시티 등 장래 교통 수요와 인천항, 평택·당진항의 산업 물동량 증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 사업은 기존 시설을 확장하고 운영 중인 시설까지 통합 운영하는 '개량 운영형 민간투자 사업'의 첫 번째 사례로 주목받는다. 과거에는 관리 운영 기간이 종료된 시설만 개량 운영형 사업 추진이 가능했으나, 2024년 10월 관련 제도 개선으로 운영 중인 시설도 해당 사업 추진이 가능해졌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개량 운영형 민간투자 사업이 활성화되고, 노후하거나 혼잡한 시설에 대한 선제 대응
삼성전자가 25일부터 '갤럭시 Z 폴드7'과 'Z 플립7', 그리고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전작 대비 슬림한 디자인과 강화된 AI 기반 기능을 적용해 사용성과 착용감을 높인 점이 특징이다.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은 사전판매 기간(7월 21일까지) 동안 총 104만 대의 판매고를 기록해 역대 갤럭시 폴더블 제품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달성했다. 두 제품은 한국을 포함해 미국, 영국, 인도 등 110여 개국에 순차 출시된다. 갤럭시 Z 폴드7은 8.0형 메인 디스플레이와 6.5형 커버 디스플레이를 적용했으며 무게는 215g, 두께는 접었을 때 8.9mm, 펼쳤을 때 4.2mm로 역대 가장 슬림한 폴더블 기기로 설계됐다. 갤럭시 전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 칩셋과 One UI 8 기반 멀티모달 AI가 적용돼 대화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도 고성능을 구현한다. Z 플립7은 4.1형 커버 디스플레이와 1.25mm 초슬림 베젤을 채택했으며 플렉스모드 상태에서 5천만 화소 카메라 셀피 촬영과 제미나이 음성 호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는 4300mAh로 증가해 사용시간이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8월 내 제품 구매 및
인하대학교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이 제26회 한국테스트학술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등 33명이 대회에 참가한 가운데, 전기전자공학부 정성빈 학생이 삼성전자 후원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며 산학 연계 연구성과를 입증했다. 해당 논문은 반도체 칩의 이상 여부를 진단하는 내장형 자가 테스트(LBIST) 구조에 적용 가능한 기법을 제안해 주목받았다. 테스트 벡터의 우선순위 부여와 LFSR 회로 신호 중첩 활용을 통해 오류 탐지율을 극대화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번 수상은 총 86편의 발표 논문 중 단 3편만 선정된 최우수논문상에 해당하며 학부생 연구 성과로서도 의미가 크다. 이영우 부단장은 학술대회 프로그램 공동위원장을 맡아 행사 운영에 기여했으며 인하대는 이번 대회의 후원기관으로도 참여했다. 학술대회는 한국반도체테스트학회 주관으로 열렸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37개 기업이 후원하고 800명 이상이 참석해 성황리에 진행됐다. 인하대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은 국내외 학술대회 참여 확대와 우수 인재 양성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실무형 인재 배출 기반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원/달러 환율은 25일 한미 무역 협상 진행 경과를 주시하는 가운데 1,370원대로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34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4.4원 상승한 1,371.6원이다. 환율은 5.4원 오른 1,372.6원으로 출발한 뒤 횡보하고 있다. 달러는 간밤 미국 고용지표 호조에 강세를 나타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7월 13∼19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1만7천건으로, 한 주 전보다 4천건 감소했다. 지난 4월 6∼12일 주간(21만6천건) 이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2만7천건)도 밑돌았다. 시장에서는 한미 무역 협상을 주시하고 있다. 미국 측이 이날로 예정됐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의 '2+2 통상협의'를 전날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출국 직전 돌연 취소하면서 경계감이 높아진 상황이다. 다만 미국에 먼저 도착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간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관세 협상 타결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상호관세 유예 기한이 끝나는 8월 1일 이전에 상호 호혜적
사이버다임이 보안 전문 기업 팬타랩과의 합병을 공식 마무리하고 문서중앙화 기반의 보안 인프라를 한층 강화한다. 이번 인수합병으로 사이버다임은 데이터 손실 방지(DLP), 소스코드 보안, 웹콘텐츠 유출 방지(Web DLP)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확보하며 문서 생성부터 보호, 활용에 이르는 전 주기 보안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 팬타랩은 지적 자산 보호 기술을 중심으로 한 보안 솔루션 기업으로 엔드포인트 보안을 강화하는 다양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사이버다임은 이번 합병을 통해 문서중앙화 기술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동시에, 팬타랩의 전문 기술을 바탕으로 공공기관, 금융, 의료, 제조 등 다양한 산업군에 특화된 보안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사이버다임 김경채 대표는 “이번 인수합병은 단순한 제품 라인업 확장을 넘어, 기업 데이터 전체 생애주기를 아우르는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는 중요한 계기”라며 “AI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핵심 인프라로 떠오른 문서 보안 분야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사이버다임은 문서중앙화 솔루션 기반의 데이터 보호 역량을 강화하며 다양한 보안 기술을 통합한 플랫폼형 서비스로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2025년 상반기 전국 지가는 1.05%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4년 하반기(1.15%)에 비해 상승폭이 0.10%포인트 줄어든 것이지만, 2024년 상반기(0.99%)와 비교해서는 0.06%포인트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분기 지가변동률은 0.55%로 1분기(0.50%) 대비 소폭 상승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와 동일한 수준이다. 지가 상승세는 2023년 3월 이후 28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하락 전환된 시군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이 1.17%, 상업용이 1.16% 상승하여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역별 지가 동향: 수도권 강세 속 인구 감소 지역 둔화 지역별 지가 변동률을 살펴보면, 2024년 하반기 대비 수도권(1.49% → 1.40%)과 지방(0.58% → 0.44%) 모두 상승폭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주요 시도별로는 서울이 1.73%, 경기가 1.17% 상승하며 전국 평균(1.05%)을 웃돌았다. 시군구 단위에서는 서울 강남구(2.81%), 용산구(2.61%), 용인 처인구(2.37%)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252개 시군구 중 47개 시군구가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 특
마에스트로포렌식이 AI 기반 디지털 포렌식 솔루션 ‘마에스트로 위즈덤(MAESTRO WISDOM)’을 군 정보기관, 수사기관, 법무법인 등 공공·민간 부문에 연이어 공급하고 있다. 다양한 운영체제(OS) 환경에서 기존 대비 3배 이상 빠른 증거 식별과 자동화 분석 기능으로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 중이다. 마에스트로 위즈덤은 윈도우, macOS,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통합 포렌식 분석을 지원하는 국산 소프트웨어다.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적용해 수백 개의 아티팩트를 상호 연관 분석하고 기존 방식보다 빠르고 정밀하게 증거를 식별한다. 특히 단일 아티팩트 중심이 아닌 연관 추론 기반 접근 방식으로 수사 기관의 실무 효율을 크게 높이고 있다. 국내 경찰청과 검찰청 등 주요 수사기관에서도 마에스트로 위즈덤을 도입해 실무에 활용 중이며 디스크 이미징, 메모리 덤프, 로그 수집, 악성코드 탐지 등 고급 기능을 자동화 분석으로 제공한다. 현장 조사용 ‘마에스트로 위즈덤 라이브’, 원격 대응용 ‘리모트’, 모바일 포렌식용 ‘모바일’ 등 다양한 제품이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CTIP’과 연동돼 악성 행위 분석까지도 지원한다. 또한 ‘포렌식 조
엘리스그룹이 자연어처리(NLP) 분야 최고 권위 학회인 ACL 2025 메인 컨퍼런스에 교육 특화 AI 논문 2편을 연이어 채택됐다. 이번 성과는 엘리스그룹의 AI 기술이 글로벌 학계에서도 교육 현장의 혁신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ACL 2025 메인 컨퍼런스에서 엘리스그룹 AI 엔지니어 김도윤, 이유섭 연구원이 각각 발표자로 나선다. 이들은 학생의 질의 데이터를 통합한 학습 수준 추적 모델과 LLM 기반의 오답 생성 기술을 각각 제안했다. 김도윤 엔지니어가 참여한 논문 ‘Knowledge Tracing in Programming Education Integrating Student’s Questions’는 학습자가 남긴 질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과정을 정밀하게 예측하는 딥러닝 모델을 소개한다. 개인 맞춤형 강의 구현에 실효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유섭 엔지니어의 ‘Generating Plausible Distractors for Multiple-Choice Questions via Student Choice Prediction’ 논문은 LLM에 오답 선지 생성 파이프라인을 접목
글로벌 강대국이 주도하는 ‘AI 주권’ 경쟁 “데이터와 모델, 인프라를 갖지 못한 국가는 AI 시대의 ‘디지털 식민지’가 될 수 있다.” 최근 유럽연합(EU) 디지털 전략 담당 고위 인사의 이 경고는 과장이 아니다. AI 기술이 경제와 안보, 사회 시스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인프라로 자리 잡으며, 국가의 기술 주권을 지키기 위한 경쟁이 본격화gk고 있다. 이른바 ‘소버린 AI(Sovereign AI)’는 단순한 기술 트렌드를 넘어, 미래 산업과 국가 경쟁력의 향방을 좌우할 키워드가 되었다. 소버린 AI란 외부 국가나 기업의 기술, 인프라, 알고리즘,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AI 기술을 자립적으로 개발·운영하려는 움직임을 뜻한다. 이 개념은 특히 유럽에서 먼저 제기됐다. EU는 GDPR(일반 개인정보보호법)을 통해 데이터 주권을 강조해 왔으며, 2023년에는 ‘AI Act’를 통해 AI 기술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법적으로 규정했다. 동시에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은 각각의 LLM(대규모 언어모델)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해 미국 빅테크에 대한 기술적 독립을 선언했다. 미국은 오히려 기술 패권국의 입장에서 소버린 AI 개념을 안보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