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큐비스타가 휴가철을 맞아 여행객과 기업을 겨냥한 사이버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며 ‘휴가철 5대 보안 수칙’을 공개했다. 여름철은 항공·숙박 예약과 이동이 늘어나는 시기로 해커들은 실제 항공사·예약 플랫폼을 사칭한 피싱과 가짜 사이트, 기업 인사팀을 사칭한 BEC 피싱 등 정교한 공격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을 사칭한 ‘E-Ticket’ 피싱 메일이 발송돼 첨부된 PDF나 링크 실행 시 백도어 악성코드가 설치돼 로그인 정보, 인증서, 금융 데이터가 탈취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부킹닷컴, 야놀자, 이스타항공 등 유명 예약 플랫폼을 사칭한 가짜 사이트도 다수 유포돼 실제와 유사한 UI와 도메인 주소로 사용자의 계정·결제 정보가 유출되는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기업을 겨냥한 BEC 피싱의 경우, 인사팀·경영진을 사칭한 메일을 통해 내부망 침투를 시도한다. 한 중견기업에서는 인사담당자가 사칭 메일을 열람해 사내 이메일 계정이 탈취되고 이를 이용한 2차 피싱 메일이 임직원에게 발송돼 내부 전자결재 시스템 침해 시도가 있었다. 씨큐비스타는 피해 예방을 위해 ‘항공·숙소 관련 문자 URL 주의’, ‘개인 테더링·VPN 사용’, ‘출처 불명 앱 설
포티넷코리아가 글로벌 클라우드 인프라 ‘포티클라우드(FortiCloud)’를 전면 확장하며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 보안 강화를 위한 신규 서비스를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에는 포티아이덴티티(FortiIdentity), 포티드라이브(FortiDrive), 포티커넥트(FortiConnect) 등 세 가지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가 포함됐다. 포티아이덴티티는 클라우드형 ID 및 접근 관리(IAM) 서비스로 SSO, MFA, FIDO2 패스키를 지원하며 특권 접근 관리와 제로 트러스트 접근 제어를 제공한다. 포티드라이브는 보안 파일 저장·협업 솔루션으로 고급 암호화, 역할 기반 접근 제어, 버전 이력 관리 기능을 지원한다. 포티커넥트는 음성 통화, 메시징, 화상회의, 파일 공유를 통합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포티가드랩의 AI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해 보안을 강화한다. 세 서비스는 포티넷 보안 패브릭과 기본 연동돼 사용자·디바이스·애플리케이션·데이터·AI 에이전트 전반의 통합 가시성, 정책 적용, 위협 대응 기능을 제공한다. 포티넷은 전 세계 160개 이상의 PoP를 운영하며 데이터 로컬 저장·저지연 서비스·장애 대응을 지원한다. 이번 확장은 포티넷의 통합
스패로우가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팅(AST) 통합 솔루션 ‘Sparrow Enterprise v1.0’으로 CC(공통평가기준) 인증 EAL2 등급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으로 스패로우는 기존 소스코드 보안약점 분석 도구(SAST/SAQT)에 이어 소스코드, 오픈소스, 웹 취약점 분석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제품까지 국제 표준 보안성을 인정받게 됐다. 이를 통해 공공 및 국방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Sparrow Enterprise는 소스코드·오픈소스·웹 취약점을 단일 플랫폼에서 분석·관리해 보안 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SW 개발 생명주기 전반에 걸쳐 취약점을 분석해 SW 공급망 보안 위협에 선제 대응하며 형상 관리 시스템 및 CI/CD 도구와 연동해 분석을 자동화하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해당 솔루션은 개발팀·보안팀 등 여러 조직이 일관된 보안 정책을 기반으로 협업하고 맞춤형 취약점 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작업 할당, 진행 상황 추적, 이력 관리, 분석 기준 선택, 맞춤형 결재 프로세스 지정 등 다양한 기능으로 유연하고 효율적인 보안 운영 환경을 제공한다. 장일수 스패로우 대표는 “이번 C
오라클이 엑사스케일 인프라스트럭처 기반의 ‘오라클 글로벌 분산형 엑사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정식 출시하며 글로벌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 서비스는 전 세계 OCI 리전에 걸쳐 데이터를 자동 배포·저장·동기화해 리전 장애 시에도 무중단 운영을 지원하며, 데이터 레지던시 규제를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신규 서비스는 하이퍼스케일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복잡한 설정 없이 워크로드 변화에 따라 자동 확장·축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에이전틱 AI, 실시간 데이터 분석, 대규모 트랜잭션 등 고성능 워크로드를 실행하는 기업은 상시 가동 환경, 비용 절감, 운영 간소화, 글로벌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오라클은 이 서비스가 고성능, 미션 크리티컬 가용성, 데이터 레지던시,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RAFT 복제를 활용한 다중 데이터센터 액티브-액티브-액티브 아키텍처로 결제 처리, 전자상거래, 주식 거래와 같은 핵심 서비스에 필요한 극도의 가용성을 보장한다. 또한 데이터는 자동화된 배포 정책에 따라 각국 OCI 데이터센터에 배치돼 금융·의료 등 규제 산업의 요건을 충족한다. 이 서비스는 페타바이트 규모의
코헤시티가 파트너 협력 절차를 간소화하고 파트너사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코헤시티 어스파이어 파트너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과 시장 전략을 가진 파트너들이 수익성을 높이고 성장 기회를 발굴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합 프레임워크다. 어스파이어 프로그램은 파트너를 Premier, Preferred, Associate의 세 등급으로 구분해 등급별 혜택을 제공하며 모든 파트너가 직관적인 포털을 통해 교육·인증·마케팅 자료 등 다양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공인 총판사 프로그램을 포함해 리셀, OEM,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 등 다양한 파트너 유형을 지원한다. 프로그램은 수익성 성장, 기술 역량 강화, 차별화의 세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춘다. 수익성 성장 부문에서는 경쟁력 있는 마진, 성과 기반 인센티브, 공동 영업 및 브랜딩, 파이프라인 공유와 같은 협력 모델을 제공한다. 기술 역량 강화 부문에서는 역할별 맞춤형 교육과 코헤시티 전용 자격증 취득 기회를 제공하며 ‘코헤시티 에이스’ 프로그램을 통해 최고의 기술 전문가에게 권한 있는 액세스와 가상 랩 환경을 지원한다. 차별화 부문에서는 파트너가 코헤시티와 함께 새로운 솔
반도체 시장 회복으로 베어링 부문 매출이 상승세 견인 “연구개발(R&D), 설비 투자 지속할 것”...미래 성장동력 확보 가속화 예고 로봇·모빌리티 전용 액추에이터 양산 계획 발표도 에스비비테크가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을 발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6% 상승한 30억 원의 성과를 알렸다. 사측에 따르면, 이번 매출 증가는 반도체 시장의 경기 회복에 따른 베어링 부문 매출 확대와 대만 반도체 회사로의 수출 증가가 주효했다. 실제 베어링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30%가량 증가해 성장을 견인했다. 반대로,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은 각각 38억 원, 40억 원을 기록하며 손실 폭이 확대됐다. 이는 액추에이터 및 감속기 사업 확장을 위한 연구개발(R&D), 인건비, 설비 투자 등 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회사는 이에 대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선제적인 투자로 보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성과를 내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에스비비테크는 이를 반영해, 미래 핵심 사업으로 액추에이터에 집중하고 있다. 액추에이터는 구동·조향·브레이크 시스템이 통합된 구동 모듈로, 로봇·모빌리티 등 자유로운 움직임을 구현하는 장치의 핵심 부품이다. 특히 회사는 모
인도 민간 우주 발사 업체 스카이루트 에어로스페이스에 ALM 솔루션 ‘폴라리온(Polarion)’ 수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최적화 및 시스템 수명 주기 관리 간소화 구현 목표 지멘스가 인도 민간 우주 발사 업체 ‘스카이루트 에어로스페이스(이하 스카이루트)’와의 협력을 발표했다. 스카이루트는 지멘스의 개방형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 ‘지멘스 엑셀러레이터(Siemens Xcelerator)’ 내 애플리케이션 수명 주기 관리(ALM) 포트폴리오 ‘폴라리온(Polarion)’를 도입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고, 공정 효율성을 높여 전 세계 고객의 우주 진출을 가속화한다는 비전의 일환이다. 폴라리온은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솔루션이다. 스카이루트는 이 솔루션을 통해 소프트웨어 워크플로를 최적화하고, 추적성 및 규제 준수 역량 강화를 노린다. 또한 엔지니어링 이해관계 간 협업을 증진하고, 항공우주 시스템의 수명 주기 관리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이로써 발사체 개발 과정 전반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했다. 매튜 토마스(Mathew Thomas)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 인도 지역 총괄 매니저 겸 부사장은 “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K-AI 국가대표 프로젝트)’ 발탁 엔씨소프트 인공지능(AI) 기술 자회사 ‘NC AI’ 컨소시엄 일원으로 활동 예고 산업 특화 AI 데이터 가공 역할을 맡아 국가 AI 주권 확보 ‘정조준’ 인터엑스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이하 K-AI 국가대표 프로젝트)’에서 국내 인공지능(AI) 경쟁력 고도화에 기여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하는 사업으로, 국내 AI 기업의 기술력을 결집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터엑스는 엔씨소프트 AI 기술 자회사 ‘NC AI’가 이끄는 그랜드 컨소시엄의 핵심 일원으로, 산업 AI로의 전환을 통해 국내 기간 산업 전반의 혁신을 목표로 하는 국가적 전략 사업에 동참하게 됐다. 회사는 이 프로젝트에서 산업 특화 AI를 위한 데이터 확보 및 가공에 집중한다. 이는 다양한 원본 데이터(Raw Data)를 AI가 즉시 학습하고, 정확도를 높이는 고품질의 ‘AI 학습용 데이터(AI-Ready Data)’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사측은 AI의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근본적인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두 가지 독보적
인도 항공기 제조사 ‘라페엠피브르(Raphe mPhibr)’에 버추얼 트윈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 도입. 설계·시뮬레이션·협업 통합 본격화...무인항공기 엔진 개발 ‘속도’ 다쏘시스템이 자사 버추얼 트윈(Virtual Twin) 플랫폼 ‘3D익스피리언스(3DEXPERIENCE)’를 인도 무인항공기(UAV) 제조업체 라페엠피브르(Raphe mPhibr) 공정에 이식한다. 3D익스피리언스는 다쏘시스템이 정의하는 가상 환경 ‘버추얼 트윈’을 구현하는 플랫폼이다. 이번 플랫폼 도입 사례는 라페엠피브르의 UAV 엔진 개발에 가속도를 부여할 전망이다. 기존 수년가량 소요되던 개발 기간을 3개월로 단축하는 검증 과정을 거쳤다. 3D익스피리언스는 프로세스 안에서 물리학적 모델링과 제조 설계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통합할 예정이다. 라페엠피브르 측은 금속·복합소재부터 전자 부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성 요소를 자체 설계·제작하는 자사 역량을 강화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엔진 개발 과정에서는 플랫폼의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해 3D 프린팅 제조에 최적화된 부품을 재설계한다. 이때 4kW급 2행정 엔진의 중량을 700g이나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는 동급
세상의 흐름을 읽는 스마트한 습관 [글로벌NOW] 매주, 세계는 조용히 변화를 시작합니다. 기술이 바꾸는 산업의 얼굴, 정책이 흔드는 공급망 질서, 기업이 선택하는 미래 전략. 세계 곳곳에서 매주 벌어지는 이 크고 작은 변화는 곧 우리 산업의 내일과 맞닿아 있습니다. 글로벌NOW는 매주 주목할 만한 해외 이슈를 한 발 빠르게 짚어주는 심플한 글로벌 브리핑입니다. AI, 제조, 물류,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는 굵직한 사건과 트렌드를 큐레이션해 독자들이 산업의 큰 그림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돕겠습니다. [반도체] 'AI칩 수출 통제' 美, 추적 장치로 中 불법 유출 차단 나서 미국이 AI칩의 중국 등 수출 제한국 밀반출을 막기 위해 비밀리에 위치추적 장치를 특정 화물에 설치하고 있다는 사실이 로이터 보도로 드러났다. 이 조치는 델·슈퍼마이크로 서버(엔비디아·AMD 칩 탑재) 등 일부 수출 화물에 적용되며, 주로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이 주관하고 HSI·FBI도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적 장치는 배송 포장이나 서버 내부에 숨겨지지만, 재판매상들이 이를 인지해 제거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는 스마트폰 크기의 대형 장치로, 중국 재판매상들은 환적 화물을
인핸스 이승현 대표 인터뷰 온라인 쇼핑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변한다. 상품 가격은 실시간으로 바뀌고, 프로모션은 몇 시간 만에 시작·종료되며, 경쟁사의 움직임에 따라 판매 전략이 시시각각 조정된다. 이런 환경에서 기업은 더 이상 데이터를 보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속도로는 버틸 수 없다. 결정이 곧 실행으로 이어져야 시장에서 살아남는다. 인핸스는 바로 이 지점에서 등장했다. LAM(Large Action Model) 기술을 앞세워 결정과 실행 사이의 시간을 소거한 것이다. 이에 인핸스 이승현 대표를 만나 LAM 기반으로 AI 에이전트 시대를 열어갈 전략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다. 수행에 최적화한 AI, 커머스를 주도하다 인핸스는 커머스 분야에 특화한 버티컬 AI 에이전트를 앞세워 성장세를 타고 있다. 데이터를 분석하는 AI를 넘어, 분석 결과를 즉시 실행으로 옮기는 액션 중심의 기술을 핵심 경쟁력으로 삼았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엔진이 인핸스의 자체 기술 ‘ACT-1’이다. ACT-1은 거대언어모델(LLM)과 결합해 자연어 명령을 실제 소프트웨어 작업으로 변환·수행하는 LAM 기반 기술로, 가격 조정부터 재고 관리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한다. 이에 인핸스는 삼
기술로 혁신 ‘ON’, 생생한 변화를 목격하다 [TECH온앤오프] 기술은 세상을 바꿉니다. 하지만 진짜 변화는 숫자가 아니라 사람과 현장 안에서 일어납니다. [TECH온앤오프]는 기술이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이전’과 ‘이후’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유즈 케이스 기반 스토리텔링 시리즈입니다. 기술 도입 전의 고민과 한계, 도입 과정 그리고 변화 이후의 놀라운 성과까지,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담아냅니다. 기술이 어떻게 경험을 바꾸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키는지를 보여주는 것. 이러한 가치를 TECH온앤오프에 담아봤습니다. [세 줄 요약] · 로봇이 스스로 예술 작품을 창조하며 전통 예술의 경계를 파괴 중 · 로봇 화가 ‘아이-다(Ai-Da)’와 ‘폴(Paul)’, 상호작용 설치 작품 ‘미믹(Mimic)’ 주목 · “인간과 로봇 협력이 예술의 새로운 지평 열 것”...창의성·기술 완벽한 조화 기대돼 ‘본궤도’ 오른 기술과 예술의 만남...인간 영역으로 진입한 ‘로봇 예술 감성’ 예술은 오랜 시간 인간 고유의 감정과 영감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성역으로 여겨졌다. 붓 터치 하나부터 조각칼의 미세한 흔적까지 모두 인간 내면의 창조적 손길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이었다. 그러나 사
자율주행로봇(AMR) 기반 자동화 분야 전략적 파트너십 맺어...첨단 AMR 판매권 확보 미래형 제조·물류 혁신 ‘뜻모아’ 시너지 창출 기대 쿠카로보틱스(이하 쿠카)와 현대글로비스가 로봇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 일환으로, 쿠카의 첨단 자율주행로봇(AMR) 포트폴리오 전반에 대한 판권을 확보했다. 이번 협력은 스마트 제조·물류 환경에서의 로봇 자동화 확대를 목표로 한다. 양사는 앞으로 AMR 판매 경로를 확대하고, 로봇 기반 최첨단 물류 자동화 솔루션을 확장하는 데 뜻을 함께했다. 여기에 이어 향후 산업용 로봇 팔(Robot Arm)을 포함한 다양한 로봇 자동화 분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쿠카로보틱스 코리아 관계자는 “해당 파트너십은 국내 로봇 자동화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라며 “양사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세대 혁신 자동화 솔루션을 지속 선보일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덧붙여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도 “쿠카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공급망을 연이어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HMM이 2025년 상반기 매출 5조4,774억 원, 영업이익 8,471억 원을 기록하며 글로벌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견조한 수익성을 입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했지만, 운임 하락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19.4% 줄었다. 상반기 영업이익률은 15.5%로 글로벌 선사 중 상위권을 유지했다. 당기순이익은 1조2,11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그러나 해운 시황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해 상반기 평균 2,319포인트에서 올해 상반기 1,701포인트로 27% 하락했다. 노선별로는 유럽노선이 43%, 미주서안노선이 34% 떨어지며 운임 압박이 심화됐다. 운임 하락에는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중 무역 긴장 심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홍해 사태 장기화로 운임이 고점을 유지했으나, 올해 들어 미국 보호관세 정책 영향으로 물동량 흐름이 둔화됐다. 특히 하반기 관세 유예 종료와 재협상이 예정돼 있어 해운업계 전반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HMM은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지역별 수급 변화에 따른 탄력적 선대 운용 ▲벌크화물 장기운송계약 확대 ▲선박 효율 개선을 통한 비용 절감 등을 통해
제주특별자치도가 풋귤 농가의 유통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출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풋귤 출하 활성화 지원사업’을 9월 한 달간 접수한다. 총 2억 800만 원(자체 재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택배비, 농약 안전성 검사비, 해상물류비 지원을 통해 농가 소득 증대와 판로 확대를 목표로 한다. 지원 대상은 2025년산 풋귤 출하 지정 농가 중 교육을 이수한 191개 농가다. 지정 농가는 지난 5월 214곳이 선정됐으며, 이 중 교육을 마친 농가가 혜택을 받게 된다. 지원 항목은 △도외 직거래 택배비 △도외 가공업체 납품 해상물류비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비 등 3개 분야로, 소비자에게 안전한 풋귤을 공급하고 농가의 물류·검사 비용 부담을 완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신청 기간은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분야별 접수 방식이 다르다. 택배비와 농약 안전성 검사비는 제주도 누리집에서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고, 오프라인은 읍·면·동 사무소에서 9월 22일부터 30일까지 접수한다. 도외 가공업체 납품 해상물류비는 9월 22일부터 30일까지 제주도청 감귤유통과에서 방문 접수만 받는다. 지원 규모는 직거래 택배비 건당 2,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