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기업 특성에 맞춘 최적의 보고서 작성 설루션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설루션은 SK C&C가 자체 개발한 'AI프롬프트'와 'AI오케스트레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의 데이터 저장소(Knowledge Base), 네이버의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 등을 연계했다. SK C&C는 "기존 생성형 AI 기반의 보고서 작성이 일반적인 텍스트와 이미지를 적절히 배치해 보고서 작성 준비를 도와주는 수준이었다면, 이번에 개발한 설루션은 실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해 보고 목적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보고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금융, 제조, 통신, 유통, 서비스 등 주요 산업 고객의 각종 전문 보고서 작성에 즉시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SK C&C는 사내 주요 경영 보고서와 마케팅 리서치 보고서, 신규 사업 개발 보고서 등에 이 설루션을 시범 적용 중이다. 이를 통해 통상 수일에서 수 주에 걸리던 보고서 작성이 별도 자료 조사 없이도 몇 시간 내 완성되는 등 보고서 품질 향상과 작성 시간 단축, 여러 유형의 추가 보고서 자동 제작 등의 효
디지털 외식플랫폼 기업 먼슬리키친(브랜드명: 먼키)이 미국 내 홈페이지(먼키USA)를 오픈하고 본격적인 미국시장 공략에 나섰다. 먼키USA에서는 먼키가 미국 현지 실정에 맞게 자체 개발한 포스와 Hand Held, KDS 등 매장 운영 통합 솔루션인 CRISP Orders를 판매하게 된다. 먼키포스는 카드결제 시 자동으로 수수료 가격을 포함하고 현금결제 시 제외하는 프로그램으로 소비자 불만을 낮췄다. 직원 횡령 방지용 Anti-Theft 기능도 탑재됐다. 웹 대시보드에서 주문내역의 시간대 별 기록 등 모든 데이터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내 모든 주에서 Uber Eats, DoorDash, Grubhub 등 미국 대표 배달앱과 직접 연동할 수 있고 간편하게 주문 내역 확인 및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매장의 주 단위, 월 단위 인기 메뉴와 비인기 메뉴를 자체 분석해 인기 순위에 따라 메뉴를 노출하거나 가격 변경을 쉽게 할 수 있다. Hand Held 결제기기는 매장 직원이 고객 테이블에서 실시간으로 주문 및 결제가 가능해 주문 누락이 없고 결제 시 팁 선택 후 결제하기 방식으로 결제 오류를 방지한다. 주방에서 주문 정보를 손쉽게 알 수 있는 KDS는 충전
넥스페리아(Nexperia)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에서 USB, HDMI, 고속 비디오 링크 및 이더넷과 같은 인터페이스의 고속 데이터 라인을 보호하도록 설계된 초저 정전 용량 ESD 보호 다이오드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이번에 추가된 제품들은 측면 습식 플랭크를 사용해 자동차 생산 라인에서 광학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DFN1006BD-2 패키지의 PESD18VF1BLS-Q, PESD24VF1BLS-Q, PESD30VF1BLS-Q, PESD32VF1BLS-Q등이다. PESD18VF1BBL-Q, PESD24VF1BBL-Q 및 PESD30VF1BBL-Q는 콤팩트한 DFN1006-2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 제품들은 모두 자동차 설계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전기적 성능과 신호 무결성을 개선하기 위해 무연 패키지 구조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정전기 방전(ESD) 다이오드는 정전기 방전의 높은 에너지를 발산해 중요한 전자 시스템과 하위 시스템을 보호한다. 이로써 중요한 SoC(시스템 온 칩)을 비롯한 다른 부품들은 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ESD로부터 손상되지 않게 된다. 고속 데이터 라인에 다른 부품들을 별도로 추가하면 전송된 데이
SK텔레콤과 신한카드, 코리아크레딧뷰로(KCB) 등 민간 기업들간 데이터 협력 얼라이언스인 '그랜데이터(GranData)' 사업이 금융·방송 분야로 확대된다. SK텔레콤은 을지로에 위치한 SK T-타워에서 그랜데이터 사업의 기존 참여사인 SK텔레콤, 신한카드, KCB와 신규 참여사인 금융결제원·금융보안원·SK브로드밴드가 함께 '그랜데이터 업무협약' 체결식을 12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또 그랜데이터 협력사들은 같은 날 오후 3시부터 SK T-타워 수펙스홀에서 '그랜데이터 2023 세미나'를 개최하고,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 소개 및 데이터 활용 방안과 사례 등을 설명하는 행사도 진행한다. 그랜데이터 사업은 지난 2021년 SK텔레콤, 신한카드, KCB 등이 공공·민간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민간의 데이터를 모아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출범시켰다. 댐을 쌓아 물을 저장해 각종 용수로 공급하는 것에 비유해 '데이터 댐'이라고 불린다. 그랜데이터가 생산한 각종 데이터는 ▲서울시 1인 가구 삶의 질 분석 ▲노인들의 정보불균형 ▲관광약자 지원정책 마련 등 공공분야 복지 정책에 활용되며 행정 효율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랜데이터는 이러한 성
배터리 및 제조 산업 현장에 특화된 검사, 측정, 식별을 위한 ‘지능화된 인공지능의 눈’ 역할 기대 마키나락스와 스누아이랩이 ‘배터리·제조 머신비전 특화 AI 패키지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11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배터리∙제조 머신 비전 특화 AI 패키지 개발' 양해각서에는 배터리를 포함한 다양한 제조 산업으로 AI 기술을 확산하기 위한 양사의 기술 및 사업적 협력 내용이 담겼다. 마키나락스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운영 자동화, AI 모델의 학습-배포-재학습 관리, 엣지 배포, 간편한 인터페이스 등의 강점을 가진 런웨이를 기반으로 기술적 협력을 지원한다. 스누아이랩은 이미지 복원 모델과 결함검출 모델 등 보유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공지능 모델 개발 및 적용에 협력할 예정이다. 마키나락스는 오픈AI, 허깅페이스 등이 이름을 올린 ‘2023 세계 100대 AI 기업’ 중 제조 분야에 세계에서 유일하게 이름을 올린 AI스타트업으로 국내외 배터리, 자동차, 에너지,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40개 이상의 AI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컴퓨터 비전 및 빅데이터 처리 분야의 권위자인 서울대 교
보안에 대한 위협이 더욱 정교해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산업 및 가전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개발 과정에서부터 디바이스에 보안 기능을 구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이러한 개발자들을 위해 애플리케이션에 보다 더 용이하게 보안을 구현할 수 있도록 300 MHz Arm Cortex-M7 프로세서 기반, 통합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 그리고 다양한 커넥티비티 및 플래시 메모리 옵션 등 개발하는데 더욱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PIC32CZ CA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을 출시했다. 새롭게 출시된 PIC32CZ CA 제품군은 통합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이 통합된 버전인 PIC32CZ CA90과 통합되지 않은 버전인 PIC32CZ CA80으로 구성돼 있다. PIC32CZ CA90의 HSM은 모놀리식 솔루션으로 산업 및 가전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더욱 진화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HSM은 별도의 MCU가 내장된 보안 서브시스템으로 작동되는데, 이 MCU는 펌웨어 및 하드웨어 보안 부팅, 키 저장, 암호화 가속화, 순수 난수 생성기(random number generator) 등의
KT가 현대리바트와 프리미엄 인테리어 사업의 디지털전환(DX)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통신 플랫폼과 가구·인테리어 융합 신사업 론칭 ▲양사 온·오프라인 유통채널 통한 공동 영업 협력 ▲빅데이터 활용 서비스 및 마케팅 경쟁력 제고 ▲미래 DX 신규서비스를 위한 상호 시너지 창출 등이다. 특히 양사는 인공지능(AI)산소공급시스템과 AI환기시스템이 포함된 '리바트 집테리어 × 지니 에어'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KT의 AI 실내공기질 최적화 복합관제 DX 플랫폼과 현대리바트의 차별된 종합 인테리어 리모델링 브랜드 '리바트 집테리어'를 융합한 미래형 프리미엄 인테리어 패키지다. 현대리바트는 서울 강남구와 용인 기흥구의 리바트토탈 매장에 실내에서 설악산 수준의 청정 산소를 경험할 수 있는 '리바트 집테리어 × 지니에어' 체험 공간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또 KT와 현대리바트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의 선호도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타깃 마케팅을 진행하며, 고도화된 홈IoT에 기반을 둔 신규 DX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긴밀하게 협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혁신적인 주거 경험을 제공할 수
HMI 라인업 중 최초로 전 세계 11개 선급 협회 인증 취득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전 세계 11개 선급의 마린 인증을 획득한 HMI 신제품 ‘ST6000T’를 출시했다. 선주들은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선박의 친환경화와 디지털화에 힘쓰고 있다. 선박에 들어가는 시스템을 디지털화 하기 위해서는 각종 장비와 제어기를 연결해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HMI (Human Machine Interface)의 역할이 중요하다. 선박에 적용하는 하드웨어는 마린 인증을 필수로 획득해야 하는 높은 요구 조건도 갖추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보인 ST6000T 시리즈는 프로페이스 HMI라인 중에서 최초로 전 세계 11개 선급 협회가 인증한 EU RO MR(EU Recognized Organization Mutual Recognition)를 취득했다. 각 나라의 선사 인증을 받은 기존 자사 제품과 달리, 이 제품은 별도 국가의 마린 인증을 획득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ST6000T는 디자인 면에서 전면 알루미늄 베젤을 갖춘 디자인과 가시성 높은 인터페이스로 비즈니스 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에 초점을 맞춰 설계됐다. 디스플레이는 선박의 주행, 항로 설정, 속도 등 운전자가
다쏘시스템이 제조 및 운영을 위한 조립 지원 및 품질관리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업체인 디오타(Diota)를 인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인수로 다쏘시스템은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작업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버추얼 트윈 경험으로 확장시켜 항공우주 및 국방산업, 산업 장비, 운송 및 모빌리티 산업의 고객이 복잡한 산업 프로세스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디오타는 2009년 프랑스에서 설립된 이후 디지털 지원 운영 및 디지털 기반 검사 로봇을 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해 산업 기업이 디지털 혁신의 새로운 시대로 진입하는데 지원해 온 기업이다. 인터랙티브 3D, AR, 컴퓨터 비전, 인공지능(AI), 딥러닝과 같은 첨단 기술은 제조 제품의 생산 및 유지 관리를 담당하는 백오피스 엔지니어링과 현장 운영을 연결하여 생산성 향상, 제품 품질 향상, 작업 지시 및 안전성 강화에 기여했다. 디오타의 솔루션은 BAE 시스템즈, 다쏘 에비에이션, 이베코, 라테코에르, 네이벌 그룹, 스텔란티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등을 포함해 전세계 16개국에서 100개 이상의 제조 기업에서 사용 중이다. 다쏘시스템은 디오타의 솔루션을 자사
포스코이앤씨가 강남구 자곡동에 새롭게 오픈한 '더샵갤러리 2.0' 에서 '청년/미래세대를 위한 건설 AI 포럼'을 10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건설 AI 포럼은 참여 대학생들에게 포스코이앤씨의 AI 기술 역량과 디지털자산, 현장에 AI 기술이 적용된 사례 등을 공유해 관련분야 연구와 진로선택에 도움을 주고 미래세대와의 소통을 통해 건설분야 AI 기술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계획됐다. 이번 포럼은 외부특강과 연구사례 발표 등을 통해 AI기술개발 동향과 적용에 대해 함께 참여해 논의 할 수 있도록 했으며, 수도권 인근 20여개 대학교 및 대학원에서 건설, 데이터분석을 전공하고 있는 8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했다. 특별강연자로 초청된 KAIST AI 대학원 장동인 교수는 이날 포럼 첫 발제자로 나서 'AI 기술이 가져올 비즈니스와 일의 미래'에 대한 화두를 던졌다. 장동인 교수는 "인공지능에 대한 과도한 환상으로 AI는 두 번의 겨울을 지내고 세 번째 관심기에 들어와 있다"며 "특히 AI와 머신 러닝으로 새로운 혁신이 건축, 엔지니어링 등 건설 산업 전반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도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이앤씨 분야별 AI모델 개발/적
SK C&C, 제조 분야 공급망 특화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 우수성 검증 수출 제조업 및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에 도움 줄 것으로 기대 SK C&C가 제조 분야 공급망 벨류체인 상의 제품 탄소 배출 데이터 관리 플랫폼인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Digital Carbon Passport)’ PoC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11일 밝혔다. 탄소배출 규제는 유럽을 중심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국내 관련 기업들도 규제 대응 시기가 임박한 상태다. 실제로 유럽연합(EU)은 지난 4월 수입품 제조 과정에서 EU가 정한 탄소 배출량 기준을 넘긴 제조사에게 배출권 인증서 구매를 강제시키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시행을 확정했다. 당장 자동차용 배터리 수출 기업들은 이르면 2024년부터 탄소발자국 정보를 공시해야 하며, 철강·알루미늄·비료·전기·시멘트·수소제품 등 6개 품목을 수출하는 국내 기업들도 오는 10월부터 탄소 배출량 보고가 의무화된다. SK C&C는 지난 5월 공급망 제품 탄소배출량 관리 솔루션 기업 글래스돔과 협력해 글로벌 탄소 배출 규제 흐름에 맞춰 효
테스토코리아는 한 손에 들어오는 컴팩트한 휴대용 측정기 신제품 '디지털 HVAC 컴팩트 클래스'를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디지털 HVAC 컴팩트 클래스는 11개의 디지털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난방, 환기, 냉방) 계측 장비와 9개의 측정 프로브로 구성돼 있으며, 다양한 환경(대기 공조, 환기, 온도, 압력 등)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측정값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한다. 또한, 휴대폰과 연동해 앱 하나로 모든 작업을 스마트하게 측정할 수 있다. 16 mm 디지털 베인 풍속계 'testo 416'은 환기 덕트에서 간단하면서 빠르고 정밀하게 유량을 측정하고 체적 유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텔레스코픽 프로브(최대 길이 850mm)를 이용해 자유롭게 덕트를 측정할 수 있다. 100 mm 디지털 베인 풍속계 'testo 417'은 공기 흡입구 및 배출구의 유량, 체적유량 및 온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퓨넬이 포함된 testo 417 세트를 사용하면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배출구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디지털 열선 풍속계 'testo 425'는 환기 덕트에서 온도를 측
태양광 사업자 수익 극대화 위한 알고리즘 반영… 독자적 기술 기반 새로운 VPP 사업 모델 제시 국내 대표 VPP(가상발전소) 기업 해줌(Haezoom)이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맞춤형 VPP 통합 운영 플랫폼 ‘해줌V’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줌V에는 VPP 운영을 위한 ▲실시간 발전량 예측 ▲이상탐지 ▲출력상한 ▲출력제어 등의 제어 기능이 구축됐다.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자원별 예측 알고리즘, 가격 및 발전량 변화에 따른 최적입찰량 도출 알고리즘, 낙찰량 및 발전량에 따른 페널티 최소화를 위한 관제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해줌은 국내 1호 전력중개사업자로서 꾸준히 관련 알고리즘을 고도화해 왔으며, 국내 최고 수준의 발전량 예측 기술을 자랑한다. 또한 전국 약 1만여 개 이상의 발전소 데이터와 100TB 이상의 인공위성 기후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여 발전량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이번 VPP 플랫폼 개발을 통해 지리적, 기후적인 요인으로 간헐적 특성이 있는 분산자원들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에너지 생산 부하의 변동성을 감소시키고, 전력계통 내 안정성을 향상시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해줌은 다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한국 고객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27년까지 국내 클라우드 인프라에 7.85조 원(미화 58.8억 달러)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11일 발표했다. 이번 투자로 2027년까지 한국의 총 국내총생산(GDP)에 약 15.06조 원(미화 약 112.8억 달러)을 기여하고 국내 데이터 센터 공급망과 관련된 건설, 시설 유지보수, 엔지니어링, 통신 등 분야에서 연평균 1만2300개의 국내 기업 전일제 환산(FTE)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전망이다. AWS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에 2.73조 원(미화 20.4억 달러)을 투자했으며 이를 통해 GDP에 약 4.91조 원(미화 36.7억 달러)을 기여하고 연간 약 3600개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했다. AWS의 국내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는 신기술에 대한 접근성, 인력 개발 및 숙련도 향상, 지역사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경제에 파급 효과를 가져왔다. 김태형 Invest KOREA 대표는 "AWS의 한국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는 국내 비즈니스 생태계의 혁신과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며 "AWS가 국내 디지털인프라에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7조
1~8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 대비 48.9% ↑ 한국 3사 점유율 23.4%...CATL, BYD 등 중국 기업 글로벌 시장으로 시장 확대 전기차와 함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 등 글로벌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차전지 전문 시장조사 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1~8월 세계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에 탑재된 총 배터리 사용량은 약 429.0GWh로 전년 동기 대비 48.9%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3사의 점유율은 23.4%로 전년 동기 대비 1.0%p 하락했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내 3사 모두 성장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58.5%(60.9GWh) 성장하며 3위를 기록, SK온은 16.5%(21.7GWh), 삼성SDI는 32.4%(17.6GWh) 성장률로 각각 5위와 7위를 기록했다. 국내 3사의 성장세는 각 사의 배터리를 탑재한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삼성SDI는 주력 모델인 BMW i4/i7/iX와 아우디 Q8 E-Tron, 리비안 R1T/R1S/EDV, FIAT 500이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