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기술력 기반의 텔레 스크린(tele-screen) 서비스1)를 통한 스마트 시티(Smart City2)) 구축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텔레 스크린 서비스는 카메라, 센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술,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양방향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및 얼굴인식 기술 등과 연동되면서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주변상황과 상태정보 등을 수집·분석하여 상황인지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1][2]. 텔레스크린 서비스 기술은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 웹 플랫폼, 웨어러블 디바이스, NFC,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빅 데이터(Big data) 분석기술, 3D 입체영상 및 인지(recognition) 기술 등과 함께 사용자의 감성에 반응하는 고도의 지능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3][4][5].이 연구에서는 텔레 스크린 콘텐츠를 이
SNS 기업들, 인증 기술 관련성 있게 통합 고려해야 할 것 디지털ID 관리와 조회는 지속적으로 진화 중이다. 결론적으로, 신원 관리 및 확인은 SNS가 이용자의 일상 생활에서 보급되고 SNS 및 채팅 앱을 통해 전자상거래 활동에도 참여하기 시작한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이고 진화하게 되는데, 오프라인ID와 온라인ID가 융합하고 하고 있는 추세이다. 많은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오프라인 생활을 온라인으로 공유하며, 여기에는 모바일폰 번호 및 위치 데이터 같은 정적 정보는 물론이고 개인 삶과 관심사와 관련된 정보도 포함된다. 들어가면서 지난 해인 2016년 8월, 국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창조과학부)는 ‘데이터 거래 중개 선도 시범사업’을 착수한 바 있으며, 2017년 3월 데이터진흥원이 민간기업 보유 고객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데이터 거래 비즈니스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개인의 개인정보(Personal data) 보호에 대한 관심 또한 아울러 고조된다.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제는 일정 수준의 개인정보 공개이며, 공개된 정보에 대해서는 서비스제공자가 언제든
한국과 대만에 이어 홍콩에서는 10월 13일부터 16일까지 홍콩전자박람회(Autumn Edition)와 Electronic Asia 2017가 함께 개최됐다. 홍콩컨벤션전시센터의 5개 층 전시장이 모두 이번 전시에 이용된 대규모 전시로, 무려 4,300개 업체가 참가해 스마트 디바이스, 전자 부품, 전자 생산 기술, 최첨단 기술 설계 등을 전시했다. 홍콩당국, 전자 산업 아낌없이 지원한다 이번 전시는 “커넥티드 리빙”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테크놀로지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화려하게 문을 열었다. 심포지엄의 오프닝 기조연설에 참가한 홍콩의 행정장관 캐리 람(Carrue Lam)은 “홍콩의 전자 산업을 위해 정부가 R&D개발을 늘리고 대학 기금위원회의 연구 기금을 공립 대학교에 배정하기 위해 더 많은 지원을 투입할 예정이며 민간 기업이 R&D에 소비한 지출에 대해 과세 공제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현지 인재 양성뿐만 아니라 해외 인재 양성에도 힘 쓸 것이며,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투자 자금을 제공하고 혁신 및 기술 ?처 펀드를 출범시켜 기술 개발에 더 많은 투자를 기꺼이 이행할 것이다. 현행법 및 규정을 재검토 해 혁
올해로 43번째를 맞은 타이페이 국제 전자전(TAITRONICS, 이하 타이트로닉스) 2017이 지난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타이페이 남항 전시센터에서 치러졌다. 이번 전시는 대만디외무역발전위원회(TITRA)와 대만전기전자제조업협회(TEEMA)가 주최했으며, 중국, 일본,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인도, 말레이싱, 영국, 태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전시에 참가했다. 타이트로닉스 개막식에 참여한 대만의 경제부 차관 밍신 쿵(Ming-Hsin Kung) 경제 부총리는 대만 ICT 산업의 성공적 성취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활성화를 위한 대만 정부의 입장에 대해 “타이트로닉스가 43회째 개최되며 대만 전자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전했다. 전시를 주최한 TITRA의 제임스 CF 황(James CF Huang) 회장은 타이트로닉스 2017의 주제와 하이라이트를 공개했다. 그는 타이트로닉스 2017의 주제가 에너지 효율 솔루션, 스마트 제조이며, 이 주제를 통해 광대역 및 클라우드 기술, 셀, 배터리 및 전원 공급 장치, 산업 공정 및 자동화 장비, 전자 부품, 계측기, LED 조명 및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채로운 제품들
[첨단 헬로티] 기존 화석연료를 주로 사용하던 에너지원은 점차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활용하는 신재생에너지로 이동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대표적인 예로 태양광, 풍력, 수력 및 조력 등은 에너지 발생을 자연현상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발생이 간헐적이고, 또한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즉각적으로 사용 능한 고품질의 전기가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이 필요하다. 최근 리튬이온전지(LIB, Lithium-Ion Batteries)와 유사하나 리튬 대신 소금의 주요 원소인 나트륨을 활용하는 나트륨이온전지(SIB, Sodium-Ion Batteries)가 잠재적 후보로 등장했다. 나트륨은 리튬대비 자원이 풍부하여 리튬이온전지 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ESS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전극 재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병권) 에너지융합연구단 정경
[첨단 헬로티] 플라스틱 포장재 위한 최적의 인쇄 솔루션은? 다양한 컬러의 플라스틱 용기, 개인/가정 용품은 상점 진열대에서 눈에 띄고 브랜드를 부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색상이 있는 플라스틱에 인쇄된 코드는 가독성이 떨어지고, 쉽게 지워지거나, 원하는 위치에 인쇄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선명하지 않고 쉽게 지워지거나 잘못된 위치에 인쇄된 코드는 브랜드에 타격을 입힐 수 있다. 개인/가정 용품 용기의 80%는 HDPE 또는 PET로 만든다. 이 재질의 표면, 모양, 색상을 고려하면 인쇄작업이 까다롭다. 다음 3단계를 따르면 색상이 있는 플라스틱 포장재를 위한 최적의 인쇄 솔루션을 찾을 수 있다. 인쇄 요구사항 테스트 특정 제품과 포장재에 맞는 프린터가 최적의 인쇄 솔루션이다. 적합한 인쇄 솔루션을 결정하기 전에 인쇄 목적과 목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 질문을 생각해 보자. 1) 코드가 눈에 띄어야 하나? 고선명 인쇄일 경우, 고객이 쉽게 인쇄정보를 읽을 수 있고, 모든 정보도 자세히 읽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유효기간은 고객이 쉽게 찾고 읽을 수 있어야 하지만, 리콜이나 추적에 필요한 표준 배치/로트 넘버는 그럴 필요가 없다. 그래서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주소를 논하다 기술경제학의 기회의 창 이론은 신기술이 출현하면 기존 강자는 추락하고 후발자가 오히려 기회를 잡게 되는 상황을 강조하고 있는데, 최근 등장한 4차산업혁명은 오히려 선진국이 혁신을 주도하고 후발국이 이를 따라가기 바쁘다. 이렇게 신기술 패러다임에서 선발국이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이유는 4차산업혁명이 3차산업혁명의 본질인 디지털 패러다임의 연장선에 있어서 그 새로움의 정도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인데, 본 연구는 우리 사회가 이 4차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의 패러다임에 어떻게 대처하는가에 따라 기회가 될 수도 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입장으로 농업, 제조, 유통산업을 분석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2016년도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진흥기금을 지원받아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다. 제2절 신발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1. 신발산업의 현황 1.1. 신발산업의 정의 신발 산업은 운동화, 실내화, 구두, 특수 기능성 신발 등을 제조하는 산업으로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신발 산업은 갑피, 밑창, 중창, 안창 등의 부품을 조립하여 완제품을 만들기 때문에 부분품의 제조도 신발 산업에 포함되며1), 피혁원단류, 원단류, 고무
SNS 기업들, 인증 기술 관련성 있게 통합 고려해야 할 것 디지털ID 관리와 조회는 지속적으로 진화 중이다. 결론적으로, 신원 관리 및 확인은 SNS가 이용자의 일상 생활에서 보급되고 SNS 및 채팅 앱을 통해 전자상거래 활동에도 참여하기 시작한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이고 진화하게 되는데, 오프라인ID와 온라인ID가 융합하고 하고 있는 추세이다. 많은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오프라인 생활을 온라인으로 공유하며, 여기에는 모바일폰 번호 및 위치 데이터 같은 정적 정보는 물론이고 개인 삶과 관심사와 관련된 정보도 포함된다. 들어가면서 지난 해인 2016년 8월, 국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창조과학부)는 ‘데이터 거래 중개 선도 시범사업’을 착수한 바 있으며, 2017년 3월 데이터진흥원이 민간기업 보유 고객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처럼 데이터 거래 비즈니스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개인의 개인정보(Personal data) 보호에 대한 관심 또한 아울러 고조된다.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전제는 일정 수준의 개인정보 공개이며, 공개된 정보에 대해서는 서비스제공자가 언제든
[첨단 헬로티] Ⅰ. 서언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기술력 기반의 텔레 스크린(tele-screen) 서비스1)를 통한 스마트 시티(Smart City2)) 구축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텔레 스크린 서비스는 카메라, 센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술,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여 양방향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 및 얼굴인식 기술 등과 연동되면서 고부가가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주변상황과 상태정보 등을 수집·분석하여 상황인지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1][2]. 텔레스크린 서비스 기술은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 웹 플랫폼, 웨어러블 디바이스, NFC,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빅 데이터(Big data) 분석기술, 3D 입체영상 및 인지(recognition) 기술 등과 함께 사용자의 감성에 반응하는 고도의 지능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3][4][5].이 연구에서는 텔레 스
[첨단 헬로티] 발루프와 오므론, 주요 업체 인수로 머신비전 사업 강화 최근 글로벌 머신비전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인 인수합병이 활발하다. 머신비전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거나 기존 시장에서의 입지를 높이기 위해 인수합병이 늘어나고 있다. 발루프 그룹은 매트릭스 비전의 지분 75%를 인수하면서 계열사로 합류시켰고, 오므론은 마이크로스캔을 전격적으로 인수했다. 스마트제조, 인더스트리4.0, 스마트팩토리가 제조업 혁신 혹은 제조업 경쟁력의 한 요소로 자리잡으면서 이를 구현하는 기술 요소 중 머신비전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글로벌 자동화 기업들 역시 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관련 기업의 인수합병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매트릭스 비전 인수로 세부 영역 강화 발루프 그룹(Balluff Group)이 매트릭스 비전(Matrix Vision)의 지분 75%를 인수하면서 계열사로 합류시켰다. 100명의 직원을 보유한 Matrix Vision은 여전히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이미지 처리 분야의 브랜드는 변함이 없이 운영된다. 매트릭스 비전의 기술 이사인 Uwe Furtner는 “머신 비전은 Industry 4.0을 배경으로 미래에 중요성이
[첨단 헬로티] 독자적 ALVIUM 기술 사용…이미지 사전처리 기능 내장돼 있어 디쌤이 Allied Vision 에서 출시한 1시리즈를 국내에 소개했다. 1시리즈 플랫폼은 0.5MP에서 21MP까지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며 MIPI CSI-2 및 USB3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다양한 기능 셋팅, 보드레벨-오픈엔드-풀하우징 옵션 및 여러 종류의 렌즈 마운트를 지원한다. 또한 기존의 FPGA기반의 디자인 대신 완전히 새로운 Allied Vision만의 독자적 ALVIUM 기술을 사용한다. ALVIUM은 Allied Vision에서 직접 개발된 특허화한 칩으로써 이미지 사전처리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호스트 PC로 전송되기 전에 카메라 내에서 이미지를 최적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까다로운 작업을 호스트 PC에서 CPU점유율을 낮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소형 단일보드 디자인을 채용해, 임베디드 시스템 및 충격과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제품이다. Allied Vision의 1시리즈는 현재 2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130시리즈는 임베디드 비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카메라 모듈이다. 0.5MP에서부터 최대 5MP 해
[첨단 헬로티] LCD/OLED, 반도체 검사에 최적화 고해상도 카메라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뜨겁다. LCD/OLED 검사 분야에서는 라인스캔 카메라를 이용하던 검사방식에서 에어리어 스캔 방식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CMOS 센서의 성능이 높아지면서 CCD 센서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럼 라온피플에서 개발한 50Megapixel Camera를 통해 어떤 기술들이 적용되는지 알아보겠다. [응용분야 1] OLED/LCD 표면 검사 LPMVC-CL50M • 우수하고 균일한 저조도 영상 • 고해상도(50Megapixel) • 기존 CCD 제품에 비해 월등히 빠른(2배 이상) Frame Rate 지원(최대 15fps) ▲ 사진 1. LPMVC-CL50M 우수하고 균일한 저조도 영상 OLED/LCD 표면 검사를 위해서는 조도 특성에 강건하고 균일한 영상 특성이 요구된다. 특히 OLED/LCD 검사에서는 저조도 특성이 중요하다. 이런 저조도 영상에서도 가장 큰 골치거리 중의 하나가 Vertical Noise다. 아래의 그림1과 같이 Vertical Noise가 발생되면 비전 검사가 불가능하다. 반면 그림2와 같이 우수한 영상
[첨단 헬로티] 제조업의 스마트화 속도가 빠르다. 전통적인 제조 및 설비 기업들은 사업 모델을 인더스트리4.0에 맞게 조율하고 있다. 하이윈코퍼레이션 또한 이러한 흐름에 동참한다. 특히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묶어 통합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이 하이윈의 인더스트리4.0 전략이다. 지난 10월, KOMAF 2017에 참가한 임만복 차장을 만나 기업 전략을 들어봤다. Q. 먼저 하이윈에 대해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하이윈코퍼레이션은 대만(HIWIN)의 한국지사로 공작기계, 정밀기계, 산업기계, 전자응용기계, 자동화 설비, 로봇 등에 많이 사용되는 크로스롤러 베어링, 볼스크류, 리니어 스테이지, 리니어 모터, 서보 모터, 서보 드라이브 등을 수입 판매합니다. 한국지사가 설립된 지는 4년이 됐고 부산, 서울에 공장 및 영업소와 전국 10개소에 판매 대리점을 두고 있습니다. 올해는 창원지사도 설립하였습니다. Q. 이번 전시회에 주력으로 출품한 제품은 무엇인가요? A. 이번 전시회에는 특정 제품을 선보였다기보다는 하이윈이 제조하고 있는 FA(공장자동화) 제품군을 보여주는 데 역점을 두었습니다. 이는 어느 한 부분만이 아니라 전체 라인 즉, 토탈 솔루션을 공급하고
[첨단 헬로티] 기계산업에서 한국의 기술 수준은 선진국과 나란히 하기에 아직 부족하다. 다만, 최근 핵심 부품을 국산화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는 기업들이 있어 기술의 선진국이 그리 멀지는 않다. 에스피지도 여기에 속한다. 내년부터 하모닉드라이브와 RV 감속기를 양산키로 한 것이다. 이 두 가지는 로봇 분야에서 핵심 부품이다. 지난 10월, KOMAF 2017에 참가한 조창휘 부장을 만나 기업의 비전과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 에스피지 조창휘 부장 Q. 먼저 에스피지에 대해 간략히 소개 바랍니다. A. 에스피지는 소형 기어드 모터 전문 기업으로 가전용 산업제품 및 산업용 장비의 소형 기어드 모터가 주력 생산 제품군입니다. 모터 제품군은 AC/DC 모터, BLDC(Brushless DC) 모터, BLDC 팬모터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로봇 관절용 모터 등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Q. 에스피지는 가전용 모터 분야에서 강한 기업으로 알고 있는데요. A. AC 기어드 모터 분야에서는 국내 시장 점유율 60% 정도를 차지합니다. 특히 냉장고에 장착되는 AC 모터는 세계 시장에서 90%를 차지할 정도로 지배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Q. 이번 전시회에
[첨단 헬로티] 유니온라이트는 비상조명등 기업이다. 그와 동시 조명 기업이기도 하다. 평상시에는 조명으로 사용되다가 비상 발생 시 비상등으로 전환되는 제품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상용화시킨 기업이기 때문이다. 지금은 다른 비상조명등 기업들도 이와 유사한 제품을 생산한다. 이에 유니온라이트는 차별화를 이어가기 위해 새로운 제품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지난 10월, KOMAF 2017에 참가한 김주성 차장을 만나 기업의 비전과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 유니온라이트 김주성 차장 Q. 전시된 조명등이 비상등이라고 하기에는 디자인이 좋은데요. 제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싶습니다. A. 유니온라이트의 제품은 60여종이 있습니다만 이번 전시회에는 비상조명 겸용 LED 센서등 ‘유니센서’과 다운라이트, 트윈라이트 등을 주력으로 들고 나왔습니다. 유니센서의 경우 평상시에는 움직임이나 조도에 의해 켜지고, 화재나 정전 시에는 이를 바로 감지해 내부 배터리로 즉시 점등하게 됩니다. 다운라이트나 트윈라이트 역시 평상시와 비상시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Q. 이 같은 제품을 개발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비상조명등이라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