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AI 데이 서울’ 스타트업 공식 행사 ‘인셉션 그랜드 챌린지 파이널 쇼케이스’서 공식 인증서 획득 80여 개 참가팀 중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기술력 및 시장 경쟁력 입증 엔비디아 기술 지원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보 “글로벌 AI 로봇 시장 선도, 휴머노이드 상용화 속도낼 것” 에이로봇이 지난 17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AI 데이 서울(NVIDIA AI Day Seoul)' 행사에서 휴머노이드 기술력을 최종 인정받았다. 이번 행사는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및 컴퓨팅 기술 업체 엔비디아(NVIDIA)가 주관하는 글로벌 연례 기술 콘퍼런스 및 전시 행사다. 에이로봇은 행사 첫날 개최한 혁신 스타트업 발굴 및 성장 지원 프로그램 '엔비디아 인셉션 그랜드 챌린지 파이널 쇼케이스 2025(NVIDIA Inception Grand Challenge Final Showcase 2025)'에 최종 선정되며 공식 인증서를 획득했다. 해당 쇼케이스는 엔비디아·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이 협력하는 국내 AI 스타트업 육성 프로젝트인 '엔업(N&UP) 프로그램'의 핵심 무대로 평가된다. 국내 AI 스타트업 투자 생태계에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AI 기반 무정전 활선 작업 무인화 로봇 플랫폼 개발·실증’ 과제 참여 총 사업비 97.3억 원 규모, 오는 2028년 12월까지 한국전력공사 등과 컨소시엄 구성한다 22.9kV 특고압 가공배전선로 현장 내 4종 필수 공정 수행하는 ‘차량 탑재형 절연 양팔 로봇’ 개발 본격화 뉴로메카가 고소·고압 전력 작업 특화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플랫폼을 개발한다. 사측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이 각각 주관·지원하는 ‘2025년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신규 연구개발 과제에 ‘AI 기반 무정전 활선 작업 무인화 로봇 플랫폼 개발·실증’을 최종 선정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AI 기반 무정전 활선 작업 로봇 플랫폼 개발·실증을 목표로 한다. 지난 7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총 42개월에 걸쳐 추진된다. 정부출연금 약 41.2억 원을 포함해 총 97.3억 원 규모의 연구개발비가 투자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뉴로메카는 한국전력공사·한전KDN·쓰리웨이소프트·퓨처이모텍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연구를 수행한다. 이번 과제의 비전은 작업자가 고소·고압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고압 전선 활선 작업의 위험 최소화다. 이를 위해 AI 기반
에브리봇 계열사 ‘하이코어’, 자율주행 휠체어 연구개발(R&D)·상용화에 ‘맞손’...퍼스널 모빌리티 사업 확장한다 듀얼 모터 합성 제어,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등 기술로 경량화 및 제자리 회전 기능 구현 하이코어가 로봇 플랫폼 업체 휴림로봇과 IT 시스템 업체 에이치티엔씨와 함께 자율주행 휠체어 연구개발(R&D)·상용화에 협력한다. 이를 통해 개인용 모빌리티 사업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하이코어는 인공지능(AI) 서비스 로봇 기술 업체 에브리봇의 계열사로, 이번 협력은 사측의 개인용 모빌리티 사업 강화의 일환으로 전개된다. 하이코어는 듀얼 모터 합성 제어 기술, 전기전자 구동체 설계·제조, AI 자율주행 등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충돌 방지 초음파 센서가 내장된 자율주행 전동 휠체어를 제작 중이다. 하이코어의 전동 휠체어는 경량화 설계와 폴딩, 제자리 회전, 자율주행 등 기능이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파트너십 구축을 계기로 해당 기술을 차세대 자율주행 휠체어 등 제품에 접목할 계획이다. 이 밖에 국내외 전시·홍보 협력, 기술 자료 및 인적·물적 자원의 교류 등 다양한 공조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하이코어는
산업통상자원부·대한상공회의소 주관 'M.AX 얼라이언스' 자율주행자동차 분과 참여 인공지능(AI) 모델 경량화·최적화 기술 제공...자율주행 및 차량 내부 대화형 에이전트 서비스 상용화 노린다 노타가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활동에 돌입한다. 대규모 민관 합동 협의체 ‘M.AX 얼라이언스(M.AX Alliance)’ 자율주행자동차 분과에 전격 합류해 온디바이스 AI(On-device AI) 기술 공급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는다. M.AX 얼라이언스는 국내 제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을 목표로, 산업통상자원부·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9월 공동 출범한 협의체다. 노타가 속한 자율주행자동차 분과는 현대자동차그룹·LG전자·HL클레무브·만도 등 기업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타는 이번 얼라이언스에서 온디바이스 AI 기술 공급기업으로서 핵심 임무를 수행한다. 고성능 AI 모델을 차량용 고성능 AI 반도체에 적용하기를 희망하는 수요기업들이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AI 모델의 성능을 극대화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이다.
대한상공회의소·충남인력개발원과 청년·장애인 대상 ‘HERO 프로젝트 작품 발표회·시상식’ 전개 청년·장애인 구성 10개 팀, 로봇 기반 보조공학기기 개발 과정 경험해 브릴스, 기술 멘토로 참여...로봇 솔루션 및 전문 기술 강사진 지원 브릴스·대한상공회의소·충남인력개발원이 공동 주최한 청년·장애인 대상 직무 훈련 프로그램 ‘HERO 프로젝트’의 발표회·시상식을 열었다. HERO(Humans Evolving with Robots for Opportunities) 프로젝트는 기술을 통한 포용적 가치 창출을 도모하는 사회공헌 중심의 현장 학습 모델 확산을 목표로 한다. 고용노동부의 미래내일 일경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청년들이 장애인과 팀을 이뤄 장애인의 이동 및 일상생활을 돕는 로봇 기반의 보조공학기기를 직접 개발·제작한다. 지난 5개월 동안 세 개 기관이 프로그램을 전개했다.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약 5개월에 걸쳐 진행된 이 프로그램에는 청년 10개 팀이 참여했다. 발표회·시상식 현장에는 이들이 제작한 보조공학기기 작품들이 한자리에 전시됐다. 대학·기업·기관 등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단은 작품의 사용자 만족도, 기능, 성능을 평가해 우수작을 선정하고 시상
‘2025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선정...사족 보행 로봇 플랫폼 기술력 ‘인정’ 동역학 및 강화학습 AI 등 유연한 보행 위한 기술 탑재 험지, 비정형 지형에서도 안정적 이동 구현하는 점이 수상 배경 레인보우로보틱스 사족 보행 로봇 플랫폼 ‘RBQ 시리즈’가 ‘2025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됐다.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은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한국기계산업진흥회·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등 국내 주요 기계 관련 기관들이 주최하는 공식 시상식이다. 매년 기술 혁신성, 난이도, 산업 기여도 등을 평가해 국내 각 기술 발전에 기여한 우수 기술 10개를 최종 선정한다. 올해는 사전에 후보로 추천된 31개 기술 가운데 온라인 공개 투표를 거쳐 확정됐다. 사족 보행 로봇 플랫폼으로 선정된 업체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유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선정의 주인공인 RBQ 시리즈는 험지, 비정형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보행하는 고기동 플랫폼이다. 핵심 특징은 보행을 유연하게 전환하는 동역학(Dynamics) 및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 기술이 이식된 점이다. 이를 통해 정교하고
‘릴리펏’ 3개 지점서 ‘디봇 X11 옴니사이클론’ 체험 캠페인 성료 “강력한 흡입력과 위생 관리 성능으로 호평” 에코백스로보틱스(이하 에코백스)가 국내 프리미엄 키즈카페 ‘릴리펏’과 함께 진행한 신제품 체험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때 핵심 제품은 ‘디봇 X11 옴니사이클론(DEEBOT X11 OmniCyclone)’이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가족 단위 고객들은 해당 모델의 청소 성능과 편의 기능을 경험했다. 사측은 특히 부모와 아이가 함께 머무는 공간에서 청결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제품의 위생적 가치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고 후문을 남겼다. 이번 신제품 체험 캠페인이 전개된 릴리펏은 청담본점·수서점·위례점 등 3곳의 지점에서 제품의 성능을 시연했다. 이 자리에서 디봇 X11 옴니사이클론이 제공하는 청소 성능과 위생 관리의 편의성을 가족 단위 방문객이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실제로 방문객들은 디봇 X11 옴니사이클론의 간편한 조작과 강력한 성능에 큰 호응을 보였다. 특히 일상의 청소 부담을 저감하고 위생 수준을 제고하는 부분에서 호평했다. 이들은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 방문객은 “아이
말레이시아 자동화 기술 업체 무브로보틱스와 파트너십...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공식화 자율주행·통합관제 소프트웨어, 다종·이기종 로봇 운영 기술 제공 무브로보틱스, 현지 마케팅 및 시장 대응력 기반 제조·물류 시장 공동 공략 클로봇이 말레이시아 소재 산업·공장 자동화(FA) 솔루션 업체 무브로보틱스와 손잡았다. 이는 회사의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한 협력 사례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라 양사는 말레이시아의 제조·물류 시장을 중심으로 공동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파트너십은 클로봇의 로봇 통합 기술력과 무브로보틱스의 현지 시장 입지를 결합하는 전략적 협력이다. 이를 통해 클로봇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클로봇은 자체적으로 개발·고도화한 자율주행·통합관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여기에 다종·이기종 로봇 운영 기술, 자율주행로봇(AMR) 역량 등 핵심 솔루션을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시스템 아키텍처 및 기술 지원을 통해 무브로보틱스의 현지 사업을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무브로보틱스는 현지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광범위한 고객 대응력을 바탕으로 영업·마케팅을 전담한다. 모드 하즐리 빈 라술(Mohd Hazeli Bin Rasul
한화로보틱스-한국산업지능화협회(KOIIA), '2025 AI·로봇 테크 커넥트' 세미나 열어 산·학·연·관 협력을 통한 인공지능(AI) 기반 로보틱스 기술 확산 의지 표명 로봇 AI 비전, 협동 로봇 용접 솔루션 등 자사 핵심 기술 공유...자율제조 현장 적용 사례 논의 한화로보틱스가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기술의 확산을 위한 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회사는 산·학·연·관의 실질적인 협력을 주도해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 전환(AX)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을 전했다. 사측은 '2025 AI-로봇 테크 커넥트(AI-ROBOT TECH CONNECT)'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산업지능화협회(KOIIA)가 파트너십 확대를 목표로 올해 처음 시작한 ‘AI 자율제조 콜라보데이’의 일환으로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국내 주요 업체·기관 관계자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AI 로봇 기술을 제조업에 적용한 실제 사례를 공유하고, 구체적인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화로보틱스는 자체 개발한 ‘로봇 AI 비전(Robot AI Vision)’ 플랫폼과 협동 로봇(코봇) 용접 솔루션, 자율주행로봇(AMR) 등 핵
‘네오 2(Neo 2)', 초경량 설계 및 전방위 장애물 감지 기능 탑재해 손바닥 이착륙 동작 및 음성 제어 등 간편한 조작 기능 전면에 내세워 “러닝·사이클링 등 활동적인 상황에서 저고도 추적 촬영 손쉽게 구현한다” DJI가 초경량 추종형(Follow-me) 카메라 드론 ‘DJI 네오 2(DJI Neo 2)’를 새롭게 선보였다. 무게가 151g으로 DJI 드론 라인업 중 가장 경량화된 이 모델은 DJI 최초로 전방위 장애물 감지 기능을 탑재했다. 이는 드론 입문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창의적인 비행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받는다. 특히 이 제품은 러닝·사이클링 등 활동적인 야외 활동 중에도 손쉽게 저고도 추적 촬영을 구현하도록 설계됐다. 손 동작만으로 드론의 방향·거리를 제어하는 제스처 컨트롤(Gesture Control) 기능을 비롯해 음성 제어도 함께 지원한다. 스마트폰, 블루투스 헤드폰 등 수단으로 비행 명령을 보낼 수 있다. 여기에 드론을 마주 보고 이륙 버튼을 눌러 손바닥 위에서 바로 이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턴투팜(Return-to-palm)’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손바닥 위치를 인식해 정밀하게 착륙하는 기능도 내재화했다. 새롭게 탑재된
테솔로 인간형 로봇 핸드 ‘DG-5F’, ‘2025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최종 선정 20자유도(DoF) 기반 반복정밀도 0.1° 기술력 인정받아 “산업 요구 성능을 갖춰 복잡한 수작업 공정 대체 가능” 테솔로가 자사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Robot Hand) 제품 델토 그리퍼-5F(DG-5F)’를 필두로 ‘2025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낙점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 행사는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 등 국내 주요 기계 관련 기관들이 주최하는 공식 시상식이다. 매년 기술 혁신성, 난이도, 산업 기여도 등을 평가해 국내 각 기술 발전에 기여한 우수 기술 10개를 최종 선정한다. 사측은 이번 선정에 대해, 그동안 축적한 온 로봇 핸드 기술력이 국내 최고 권위의 기관으로부터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국내 로봇 부품 기술이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했음을 확인시켜 줬다는 후문도 전했다. DG-5F는 인간의 손과 유사한 다섯 개의 손가락과 총 20개의 능동 관절을 갖춘 20자유도(20DoF)의 로봇 핸드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Humanoid Robot) 요소 기술적 완성도와 산업 현장 적용 가능성이 이번 수상의 주요 배경으로 평가된
6개월 만에 韓 ‘제20회 국제로봇산업대전’, 日 ‘리조테크 엑스포’, 臺 ‘이노벡스’ 등 3관왕 자사 피지컬 AI(Physical AI)로 삼국 공통 난제인 인구 감소 및 노동력 부족 이슈에 대안 천명 에이로봇이 최근 6개월 동안 한국·일본·대만 등 세 개 국가 주요 기술·산업 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회사는 ‘제20회 국제로봇산업대전(RoboWorld 2025)’, ‘리조테크 엑스포(ResorTech EXPO in Okinawa)’, '이노벡스 2025(InnoVEX 2025)‘ 등 한·일·대만 소재 주요 행사 시상식을 석권했다고 밝혔다. 각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해외 부문 대상, 오키나와 혁신상 및 엔비디아(NVIDIA) 상 등이다. 사측은 이에 대해 글로벌 기술력을 다시 한번 강력하게 입증받은 결과라고 전했다. 국제로봇산업대전은 국내 로봇 산업 전문 전시회로, 로봇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국내외 비즈니스 교류를 촉진하는 행사다. 이어 리조테크 엑스포는 첨단 기술과 관광 산업의 융합을 주제로 매년 일본 오키나와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행사며, 리조트 및 관광 산업의 혁신을 모색하는 교류의 장이다. 정보통신기술(ICT) 기술 전시회 이노벡
수직이착륙(VTOL) 고정익 모델 두 종, 모잠비크 하늘 난다...재난 대응용 드론 9대 수출 자연재해 관련 예측·감시·대응 체계 구축 예고 프리뉴가 아프리카 남동부 소재 모잠비크에 자사 무인항공기(드론)을 띄운다. 부산테크노파크 주관 ‘모잠비크 드론 기반 재난 관리 솔루션 구축 사업’을 통해 재난 대응용 드론을 모잠비크에 수출하게 됐다. 이번 수출은 국내 기술로 제작된 드론이 아프리카 지역 안에서 다양한 임무를 하게 되는 성과로 평가된다. 해당 드론 시스템은 자연재해 대응 및 재난 관리 체계 구축에 직접 기여하게 될 전망이다. 해당 사업은 한-아프리카협력기금(KOAFEC)으로 진행되는 국제 협력 사업이다. 드론 기술을 활용해 모잠비크 내 자연재해 발생 예측, 감시·대응 체계 구축 등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현지 드론 운용 교육을 제공하는 것 또한 목표로 한다. 사업 본격화를 위해 지난 4월 부산테크노파크,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모잠비크 통신 디지털 혁신부(MCTD) 등이 파트너십을 맺었다. 프리뉴는 이번 프로젝트에 드론 9대를 공급하고 드론 본체 및 솔루션 개발 업체 호정솔루션과 함께 드론 제작에 참여했다. 현지 운용 교육은 드론 운용·교육 서비스
이동 통신 및 정보통신기술(ICT) 기술 업체 ‘KDDI’, 편의점 체인 업체 ‘로손’과 차세대 매장 운영 방법론 고도화한다 인공지능(AI)·로보틱스 기반 매장 혁신 프로젝트 ‘리테일 RX(Robotics Transformation)’ 공식 발표 리얼월드,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RFM) ‘리얼덱스(Real Dex)’ 기반 AI 로봇 도입 예고...자율 진열, 결품 자동 감지 기능 강조해 리얼월드가 이동 통신 및 정보통신기술(ICT) 업체 ‘KDDI’, 편의점 체인 업체 ‘로손’ 등 일본 소재 주요 업체와 협력한다. 이들은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기술 기반 차세대 매장 운영 최적화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삼사의 이번 협력은 지난달 28일부터 이틀간 일본 도쿄 미나토구 다카나와 게이트웨이 컨벤션 센터(TAKANAWA GATEWAY Convention Center)에서 열린 ‘KDDI 서밋 2025(KDDI Summit 2025)’에서 본격화됐다. 이 행사는 KDDI가 주최하는 그룹 최대 규모의 비즈니스 이벤트다. AI, 5G, 디지털 전환(DX) 등 최첨단 ICT를 핵심 어젠다로 논의한다. 이 자리에서는 KDDI를 비롯한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함께 미래 통신 비
북미주 한식세계화 총연합회(KCGANA)와 북미 한식 시장 공략 신호탄 인공지능(AI) 조리 로봇 ‘그릴 X(GRILL X)’, 높은 조리 정밀도 및 맛 일관성 부분 호평 “외식 시장 인력난 해소와 식음료(F&B) 품질 관리 혁신 가능성 기대” 비욘드허니컴이 북미 시장으로 본격 진출한다. 이 일환으로, 북미주 한식세계화 총연합회(KCGANA)와 북미 지역 내 한식 세계화를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KCGANA는 미국·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 걸쳐 활동하는 한식 레스토랑 경영인 연합체다. 북미 시장에 적합한 한식 메뉴 개발과 현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 내 한식의 대중화·고급화를 목표로 한다. 기관은 북미 지역 한식 산업의 성장과 품질 표준 유지를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이번 비욘드허니컴과의 협력을 통해 주방 자동화·효율화의 산업 혁신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협약 체결에 앞서 KCGANA 회원사 관계자들은 비욘드허니컴을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AI 조리 로봇 ‘그릴 X(GRILL X)’를 경험했다. 이들은 그릴 X가 구현하는 조리 정밀도와 맛의 일관성을 높이 평가하며, 북미 한식 산업의 혁신 가능성에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