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페트라이트는 지난 1947년 창업 이후, 약 75년 동안 편안·안전·안심 ‘3安’의 사회 환경 실현을 기업이념으로 둔 기업으로 빛, 소리, 문자, 네트워크를 융합해 신호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토털 솔루션 공급 기업이다. 본사는 일본 오사카에 소재하고 있으며, 최첨단 R&D 센터, 일본과 인도네시아 2곳에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선두기업답게 전 세계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신호기기 부문 1위 기업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페트라이트 마케팅 파트 조연서 과장은 “단품만이 아닌 네트워크 솔루션 공급으로 고객의 스마트공장화를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Q.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한국페트라이트 솔루션이 주는 이점은. A. 고성능, 빠른 설치, 경제적 비용의 한국페트라이트 WD PRO 시리즈는 장비의 상태정보를 시스템으로 빠르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제품이다. 그리고 설치하는 데도 아주 간편하고 시간이 적게 드는 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선 시스템의 1/10인 경제적인 비용으로 시스템 도입이 가능하다. 스마트 팩토리의 진입장벽이라고 할 수 있는 비용 문제, 데이터 공용성, 시스템 확장성을 근본적으로 한국페트라이
아이브는 딥러닝 기반 검사 알고리즘으로 불량 검출을 자동화·무인화하고 생산과 불량 데이터의 축적 및 관리를 가능케 하여 스마트 팩토리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고객사 제조 현장 상황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장비를 맞춤형으로 공급하여 고객들이 실질적인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아이브 성민수 대표는 “사각지대 없는 불량검출 솔루션 제공으로 더 많은 고객이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아이브는 자체 개발한 딥러닝 검출 알고리즘을 하드웨어 장비에 탑재하여 제조업 고객사들의 불량 검출을 자동화하는 솔루션 공급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신경망 개발과 고도화, 비전 및 장비 제어 SW팀, 하드웨어 및 광학 설계팀, 라벨링팀과 현장 엔지니어링팀까지 모두 In-house로 운영하면서 토털솔루션 제공을 지향하고 있다. 향후 검사 자동화 뿐 아니라, 딥러닝 컴퓨터 비전으로 공정 데이터 관리, 이상 감지, 보안 등 많은 산업 현장의 문제 해결을 하는 것이 아이브 사업 비전이다. Q. 지난해 비즈니스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에는 딥러닝 기술에 대한 시장 입증과 주요 고객사 레퍼런스를
성문일렉트로닉스는 전자부품 스위치 제조와 제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 제안 영업을 하고 있다. 이 회사의 주력 제품인 로터리 DIP 스위치와 미니 슬라이드 스위치는 Servo/Stepped Motor Driver 및 컨트롤러에서 전력, 정보 등을 제어하며, PC에서 여러 모션 컨트롤 제품들을 식별하고 구분해주는 역할 맡고 있다. 꾸준한 품질관리와 생산기술 향상 노력 덕분에 지난해에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며, 무역의날에 3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성문일렉트로닉스는 1995년에 창립한 올해 27년이 된 전자부품 스위치 제조 및 판매업체 이다. 주력 사업은 전자 제품의 메인 구성품인 회로기판 PCB 보드에 적용되는 전자부품 스위치로, 다양한 포지션으로 구분된 출력이 가능한 로터리 DIP 스위치, 슬림한 사이즈와 경쾌한 클릭감의 미니 슬라이드 스위치, 우수한 품질의 미니 푸시 버튼 스위치 등이 있다. Q. 지난해 사업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감사하게도 모두가 힘들었던 2021년에 우리는 좋은 성과를 거두며, 무역의날에 3백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2022년 올해도 좋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버넥트는 2016년에 설립됐으며, ‘가장 고객 중심적인 회사’를 목표로 산업현장의 문제를 XR기술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산업용 확장현실(XR) 기술 및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현재 100여 건이 넘는 프로젝트 진행 경험을 비롯해 107건의 지식재산권과 36건의 수상 실적, 나이스 기술신용평가에서 ‘매우 우수’에 해당하는 TI-2등급의 기술신용평가 인증을 받는 등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버넥트 하태진 대표는 “올해는 글로벌 넘버원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버넥트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연구센터와 국내 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XR 핵심 원천 기술과 XR 개발 플랫폼인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자체 확보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 최적화된 산업용 XR 솔루션과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버넥트 제품들은 실제로 존재하는 산업 현장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복잡하고 위험한 업무들을 쉽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LG화학, 삼성전자 등 39개 대기업 및 계열사와 한국전력공사, 한국공항공사 등 27개의 공기업에 공급되고 있다. Q. 최근 제조 현장의 이슈는 무엇이고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1969년 미국 일리노이즈주 시카고에 본사를 두고 비즈니스를 시작한 이래 현재 전 세계 100여개 지사와 9,000여명의 임직원을 둔 다국적 기업이다. 국내 및 글로벌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엔드 투 엔드 솔루션 프로바이더이기도 하다. 2021년은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한국지사가 설립된 지 만 20년이 되는 해였다. 지브라 테크놀로지스 박현 매니저는 “보유한 다양한 제품과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고객들이 필요로 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Q. 주력하는 사업은. A. 지브라 테크놀로지스는 자동인식 분야 글로벌 리더로서 바코드 프린터, 바코드 스캐너,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컴퓨터, RFID 등 다양한 제품 및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효과적인 M&A를 통해 인공지능, 머신러닝, 로보틱스 등 미래의 첨단 기술 활용한 솔루션 제공 및 사업의 다각화를 가속함으로써 끊임없이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산업용 고정식 스캐너 및 머신비전 솔루션을 추가함으로써 기존 스캐너 비즈니스에 대한 시너지 향상과 신규 시장 확보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동우지씨에스는 고객에게 최상위 ‘Global Control Solution’ 제공을 목적으로 설립됐으며 반도체, 제약, 식음료, 2차 배터리, 자동차, 제철, 환경 등의 산업 분야에서 많은 IoT 구축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최적화된 자동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동우지씨에스 최민우 대표는 “시스템 통합 기술의 고도화로 현장 엔지니어링을 최소화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Q.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동우지씨에스는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나. A. 우리가 그동안 진행해 왔던 수많은 레퍼런스들을 통해 증명해 왔듯이 여러 가지의 산업군에서 다양한 시스템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는 현재 스마트 팩토리 영역에서 많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에도 SI 업계를 리딩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Q. 지난해 사업 성과는 어땠으며, 올해 기대는. A. 2021년도에는 반도체 및 제약 산업군에서 크고 작은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향후 성장성을 확실히 자리매김했다고 본다. 2022년에는 2차 배터리 제조 분야와 환경 고도화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현재 많은
전기·전자 및 오토메이션 전문기업 와고코리아(이하 와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와고는 이번 전시회에서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 파워 서플라이, 레버형 단자대, 컨트롤러 PFC 시리즈, I/O 모듈 시스템 등을 전시한다. 와고의 이더넷 스위치는 이더넷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뛰어난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며, IEEE 802.3, IEEE 802.3u 및 IEEE 802.3ab와 호환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앞선 보안 기능, 통합 모니터링 기능, 다양한 작동 모드 기능 등이 있으며, 모듈식 및 확장이 가능하다. 와고의 파워 서플라이 ‘Pro 2’는 최대 96%의 효율성을 지녔으며,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디지털 시스템 구축에 용이하다. 최대 600%의 임시 출력 전류 덕분에 소형 회로 차단기의 빠르고 안정적인 트리핑이 가능하며, 5초 동안 최대 150%의 출력 전류 덕분에 빠른 충전 및 빠른 접점 전환이 가능하다. 와고의 ‘PFC200 컨트롤러’는 산업, 프로세스 및 빌딩 자동화 분야의 광범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
페트라이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해 시그널 타워, 네트워크 시스템 등을 전시한다. 페트라이트가 전시하는 시그널 타워 수신기 ‘WDR-LE-Z2-PRO(이하 WD PRO)’는 무선 데이터 수집 시스템의 일부로, 시그널 타워의 LED 유닛 상태를 무선으로 실시간 수집한다. WD PRO는 이전 수신기의 향상된 버전으로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작업 현장의 호스트 시스템 및 기타 장치와 쉽게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전원 공급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배선 공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WD PRO는 수신기와 연결된 송신기 간의 무선 연결 품질을 추적할 수 있다. 10분 간격으로 최대 72시간의 진단 결과를 수집할 수 있으며, 5단계의 진단 결과가 있어 사용자가 설치 환경 수정이 필요한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설정 브라우저를 통해 컴퓨터에서 쉽게 볼 수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
인더스트리얼 메타버스 전문기업 익스트리플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해 산업용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뷰(MetaVu)’를 선보인다. ‘메타뷰-리모트’는 확장현실(XR) 기반의 양방향 영상통신을 이용해 각종 산업현장의 현장 작업자와 원격 전문가 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을 도와주는 서비스다. 메타뷰-리모트의 원격지와 현장간의 영상 화면 공유 기능과 AR드로잉, AR화살표 지시, AR이미지 등을 활용한 AR 원격지원, 전문가와의 음성·영상 통화 및 이미지·문서 공유, 문자채팅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들은 열악한 산업현장에서 화상통화만으로는 역부족이었던 구체적이고,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각 현장마다 출장을 가지 않더라도 현장 작업자와의 실시간 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현장 작업자 역시 문제상황 발생 시 관리자의 출장 없이도 장비의 가동 및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익스트리플은 5G, IoT, 확장현실(XR : AR, VR, MR), 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ICT 기술과 기존 산업의 융합을 통해 산업 현장의 다양
소음 진동 계측 및 원격 모니터링 전문기업 에스엠인스트루먼트(이하 에스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에스엠이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이는 제품은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AI 기반의 기계진단 학습 프로그램 등이다.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BATCAM 2.0’은 작고 가벼운 제품으로, 초음파 대역의 신호까지 측정해 가스 누설과 전기 아크를 검출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112개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측정 감도를 높였으며, 최대 48kHz의 초음파 대역의 신호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BSR(Buzz, Squeak, Rattle) 노이즈를 포함한 고주파 소음 측정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BATCAM 2.0은 가스 공기 누설, 전기 설비 이상, 부분 방전 탐지, BSR 소음 측정, 기타 산업현장 내 소음 평가 등에 활용된다. 주로 오일·화학, 군사·항공·우주, 전자, 가스, 플랜트, 발전소·기계, 전력 설비 등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에스엠은 소음 진동 계측 및 원격 모니터링 전문기업으로,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AI 기반의 기계진단 학습
3차원 스캐너 및 엔지니어링 전문기업 크레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크레아텍이 전시하는 제품은 스냅샷 3D스마트센서, 레이저 프로파일 3D스마트센서, 고스캔 스파트 3D스캐너 등이다. 스냅샷 3D스마트센서는 특정 사물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블루 LED 구조형 광에 내장 3D 측정 도구를 결합한 장치이다. 움직이는 물체의 스캔에 사용하는 레이저와 달리, 스냅샷 센서는 단일 스냅샷 스캔을 이용하여 정지 동작으로 대상을 검사한다. 레이저 프로파일 3D스마트센서는 투사 레이저 라인을 이용하여 인라인 생산 속도에서 자동화된 품질 검사와 재료 최적화에 대하여 고해상도 스캔과 측정 및 관리를 수행한다. 고스캔 스파트 3D스캐너는 복잡한 표면을 빠르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스캔 데이터를 3D 모델링 소프트웨어에서 활용하기 때문에 제품 개발 및 출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이하 보쉬렉스로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보쉬렉스로스가 전시하는 제품은 LMS를 비롯해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 솔루션, 롤투롤 솔루션, 순환물류 시스템 등으로, 여기에는 산업용 로봇, 드라이브, 모션 제어, IoT 게이트웨이 등이 포함된다. 보쉬렉스로스의 LMS(Linear Motion System)는 케이블 없이 캐리어 반송은 물론, 진공 내 최대 32개 캐리어 속도 및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홀센서를 이용해 비접촉 캐리어 위치를 감지하며, 리니어 트랙 및 타원형 트랙 등 다양한 트랙 구성이 가능할 뿐 아니라, 유지 및 보수도 간편하다.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 솔루션은 모션에 대한 별도의 프로그래밍이 필요 없고 사용자에게 블록 형태로 제공되는 단위 모션들을 원하는 모션에 따라 나열하고 필요한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기존 프로그래밍 작업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쉽고 빠르게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솔루션이다. 롤투롤(Roll to Roll, 이하 R2R) 솔루션은 다양한 R2R 전용 라
첨단센서 제조기업 나노시스템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해 3D 라이다 로보스캔을 선보인다. 3D 라이다 로보스캔은 전방 객체의 속도 및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고속 주행 상황에서도 전방의 차량을 정확히 인식하고 충돌 예상 시간을 고려하여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다. 또한 전방물체에 대한 고해상도 3차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분석하여 위험 물체를 효과적으로 탐지한다. 3D 라이다 로보스캔은 자동차 및 무인 운송기계의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ADAS 엣지 컴퓨팅 기반으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IP67 등급의 방진·방수 성능을 지녔으며, ROI(대상 영역)지정 편리, 주행 로봇용 라이다, 물류 차량 장매물 탐지, 회피 로봇 대상 객체탐지 기능이 탑재돼 있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ld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1층과 3층 전관을 사용하는 국내 최대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산업 전시회로,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Factory Expo), 국제공장자동
노키아솔루션앤네트웍스코리아(이하 노키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노키아가 전시하는 제품은 ‘노키아 디지털 오토메이션 클라우드(NDAC)’, ‘노키아 5G 산업용 필드 라우터’, ‘노키아 산업용 5G Phone’ 등이다. NDAC는 프라이빗 무선,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기기용 산업용 디지털화 플랫폼으로, 4.9G 및 5G를 사용하여 인더스트리4.0의 이점을 실현한다. 확장성이 뛰어난 엔드 투 엔드 솔루션으로, 현재의 사용 사례와 미래의 과제에 대비할 수 있다. 노키아 5G 산업용 필드 라우터 ‘FRRO501a’는 고도의 5G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견고한 라우터다. 요건이 까다로운 애플리케이션과 사용 사례에 효율적인 트래픽을 제공한다. 이 제품은 4G와 5G 모두에서 광범위한 스펙트럼 대역을 지원하므로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 통합되어 기존 시스템, 기계 및 인프라스트럭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노키아는 사람과 사물을 연결하는 통신 기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다. 노키아 벨 연구소(Nokia Bell Labs)와 노키아 테크놀로지 조직의 기술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기업 모빅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해 ‘초음파 대역의 음향신호를 활용한 고장진단 AI솔루션’을 선보인다. 설비의 고장은 진동, 소음, 전류 등의 다양한 이상 신호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모빅랩의 음향신호 기반 고장진단 AI솔루션은 소음 신호, 그 중에서도 초음파 영역대의 음향 신호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설비의 이상을 예측한다. 초음파 신호는 설비의 이상 신호 중 가장 빠른 시점에 발생하는 신호로 충분한 대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 다른 센서를 활용한 방식이 적용되기 어려운 다양한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자체 개발한 고성능의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탑재된 AIoT(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사물지능융합기술) 디바이스를 통해 최대 1Mhz까지의 음향 신호를 수집하며, 수집된 신호를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 및 분석하여 고장을 판단한다. 한편,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