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봉사하자’라는 뜻을 가진 유한책임회사 세봉(이하 세봉)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넓은 범위에 적용 가능한 디지털 센서, 초소형 정밀 볼스크류 등 주변 기기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전시 제품 중 weCat3D 및 ShapeDrive 센서는 정밀 프로파일 감지에서 최대 3차원 또는 360도 물체 측정이 가능한 모델로, 모든 차원에서의 측정과 테스트 작업을 돕는다. 미니어처 볼 스크류 스플라인은 고급 기술의 소형화, 다양한 너트 형상 등의 차별점을 지녀 관심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양헌기공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CNC 로터리 테이블 SN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양헌기공이 선보인 CNC 로터리 테이블 SN 제품들은 구조상 흔들림이 없는 예압구조로 일정한 동작조건에서는 유·공압 클램프 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클램프 하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위치제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SN 제품은 ISO 230-2 기준측정 10초 이하로 정도 및 효율이 높으며 장기간 사용해도 구조적인 변형이 없어 초기정도 유지가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운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무접점 전자 릴레이, 전력조정기 등 자동화분야 제품과 함께 전력 제어기기와 배전제어 보호기기, 전력품질개선 기기 등을 폭넓게 전시해 주목을 받았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에 전시된 운영의 자동화 분야 제품 중 노이즈필터는 납땜 인두기 작업시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등 노이즈로 인한 반도체 소손이나 PCB 보드의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기존 제품보다 광범위하게 필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전력 제어기기로는 일반 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디자인의 변압기와 리액터 등이 전시되어 관심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
만희기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Ewon원격 접속 게이트웨이, B&Plus 600W 무선 충전 시스템 등 산업용 통신망과 관련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만희기전의 Ewon 원격 접속 게이트웨이는 원격지에서 PCL 접속을 통한 기계 성능 모니터링, 수정, 고장 예방 감지 등의 기능을 갖춰, 출장 없이도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해준다는 장점을 지닌다. B&Plus 600W 무선 충전 시스템은 AGV 배터리에 대한 무선 충전 시스템으로, 시뮬레이션이 무료 제공된다. 이 밖에 최초의 인증된 인체 측정형 레이더 안전 시스템인 INXPECT 3D 안전용 레이더 시스템도 소개되어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위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자체 개발한 오픈 스크류 장축 정밀 직교로봇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위너가 선보인 직교로봇 빅이어는 특별한 오픈 스크류를 적용해 정밀한 반도체를 제조하고 민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공하는데 사용된다. 빅이어는 길이가 10미터 이상으로 길어지게 구성돼 있으며, 이동속도가 무려 7배 이상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모터의 효율 높아짐에 따라 스크류의 위치정밀도도 높아지게 됐으며 소음이 적다. 위너는 샤프트와 롤러, 스크류 전문기업으로 열처리, 크롬도금, 정밀 연삭기술을 통해 직경 Ø4mm~Ø80mm까지 6000mm의 장축용 샤프트 및 다양한 종류의 트랙롤러 베어링을 생산하고 있다. 고속용 가이드인 speed Guide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타이밍벨트가 결합돼 경제적이면서 open 스크류 타입을 적용한 직교로봇을 최초로 발명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
다온오토메이션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고출력, 고강성의 중공감속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온오토메이션이 선보인 중공감속기는 ▲고출력, 고강성 실현 ▲강성 ▲NON BACKLASH의 고정도 위치결정 ▲대구경 중공 출력 TABLE로 배선, 배관 간소화 ▲DIRECT 체결로 신뢰성 UP ▲원점 SENSOR SET를 OPTION으로 구비 등의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다온오토메이션은 국내 제작한 DTS 랙&피니언도 소개했다. DTS 랙&피니언(DAON Trochoid Solution)은 ▲트로코이드 치형 적용 (압력각 30~30.7) ▲고효율 (미끄럼 마찰 최소화) ▲고속 이송 가능 (6.7m/s) ▲높은 위치 정밀도 (±25 ㎛) ▲저소음 구동 (온전한 구름 접촉) 등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
에스엠인스트루먼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BATCAM 2.0’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에스엠인스트루먼트가 선보인 초음파 및 음향카메라 ‘BATCAM 2.0’은 작고 가벼운 제품으로, 디지털 방식의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센서를 사용해 크기(237mm)를 획기적으로 줄였으며, 무게도 1.2kg으로 휴대가 가능하다. 112개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측정 감도를 높였으며, 최대 48kHz의 초음파 대역의 신호까지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BSR(Buzz, Squeak, Rattle) 노이즈를 포함한 고주파 소음 측정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특히 전기 아크에 의해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도 초음파 카메라를 활용하여 실시간 촬영할 수 있어 미세한 결함이 있는 절연체를 촬영을 통해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원거리에서도 측정이 가능해 지상에서 높이 떨어져 있
한국페트라이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심플하고 경제적인 시스템인 무선 네트워크 솔루션 ‘WD PRO 시리즈’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국페트라이트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WD PRO 시리즈는 장비에 부착되는 신호등 형태의 전통저긴 신호기기에 송신기를 부착하고 이를 지그비(Zigbee) 등 무선통신으로 수신기에 신호를 전달해 연결된 PC에서 모니터링 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신호기기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 가동률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생산 수익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국페트라이트 관계자는 “단순히 송신기와 수신기만 연결하면 되는 방식이기에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송신기끼리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전파 상태가 양호한 루트를 선택해 통신할 수 있는 등 유연한 무선통신이 가능해 유선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구축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국페트라이트 부스에는 NHL 시그널타워와 임베디드 PC가 결합된 지능화된 네트워크
영림원소프트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맞춤형 ERP 'K-시스템 에이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영림원소프트랩이 선보인 맞춤형 ERP K-시스템 에이스는 경영 및 정보기술 변화에 즉시 대응하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쳐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은 다양한 산업의 표준 프로세스 및 서비스 리포지토리를 제공하는 SOA 환경의 경영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공공에서 일반 제조 및 PMS까지 다양한 산업군에 최적화한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특히 제약·화학·공공·프랜차이즈 등 특수 산업군에서는 산업군별 필수 업무 프로세스를 포함한 특화 패키지도 제공된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
와고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용 이더넷 스위치를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와고코리아가 선보인 이더넷 스위치는 이더넷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뛰어난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공하며, IEEE 802.3, IEEE 802.3u 및 IEEE 802.3ab와 호환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앞선 보안 기능, 통합 모니터링 기능, 다양한 작동 모드 기능 등이 있으며, 모듈식 및 확장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와고는 파워 서플라이 ‘Pro 2’를 선보였다. 이 파워 서플라이는 최대 96%의 효율성을 지녔으며, 통신 모듈을 내장하고 있어 디지털 시스템 구축에 용이하다. 최대 600%의 임시 출력 전류 덕분에 소형 회로 차단기의 빠르고 안정적인 트리핑이 가능하다. 또한 5초 동안 최대 150%의 출력 전류 덕분에 빠른 충전 및 빠른 접점 전환이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원프레딕트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AI 기반 설비 예지보전 가디원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에 선보인 가디원 솔루션은 원프레딕트가 자체 개발한 AI 알고리즘과 물리적 지식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 내 핵심 설비의 상태를 진단하고 고장을 예측하는 디지털 트윈 솔루션이다. 가디원은 국내 산업AI업계 선두 솔루션으로서, 반도체, 배터리 등 다양한 첨단 제조 산업에 적용되어 공장 내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 혁신에 대한 거대한 움직임을 의미하는 ‘Driving Digital Transformation Together’라는 주제로 열렸으며, 약 32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1,500부스 규모로 참가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스토브리코리아(이하 스토브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2)’에서 산업용 로봇 및 MPS 툴 체인저, 전기·연료·유압 등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 ‘CombiTac’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수)부터 8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스토브리가 선보인 산업용 로봇 ‘TX2 시리즈’는 외부 케이블이 없는 밀폐형 구조로, 다양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스토브리 특허의 JCS 기어박스가 적용돼 다이나믹한 모션, 민첩성 및 경로 정밀도를 보여준다. 스토브리는 터치가 가능해 사람과 협업할 수 있는 협동 로봇 ‘TX2 Touch’도 공급하고 있다. 스토브리의 MPS(Multi Prehensile System) 툴 체인저는 로봇과 툴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 전자동이며 초고속인 자동 툴 교체에 사용된다. 이 시스템은 로봇에 툴을 고정시켜 압축공기, 물, 전기 신호, 서보 제어 및 고압력과 같은 에너지를 전달한다. 내장된 안전 기능은 갑작스런 분리를 방지하여 로봇 및 툴 측의 MPS가
민트로봇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최근 기술 내재화가 이루어져 자체적 시스템으로 구축이 완성된 ‘플렉서블 피딩 솔루션’(Flexible Feeding Solution)을 시연을 통해 처음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민트로봇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플렉서블 피딩 솔루션(Flexible Feeding Solution)은 ‘로봇+머신비전+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정렬이 되어 있지 않은 비정형 물체를 포장 등의 목적으로 정렬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각종 반도체, 전자부품을 비롯한 소형 비정형 물체의 정렬 작업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인력의 수작업으로는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물체들도 정교한 작업을 통하여 빠른 핸들링이 가능하다. 민트로봇 관계자는 “자사의 강점인 IT 친화성을 바탕으로 누구나 사용하기 손쉬운 통합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비전문가들도 손쉽게 운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 외에도 민트로봇은 자체 개발한 Pal A 시리즈인 다관절
BNF테크놀로지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 SF+AW 2022)에 참가해 실시간 플랜트 운영 데이터 정보를 제공해주는 플랜트 전문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BNF테크놀로지가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빅데이터 통합 관리 플랫폼 ‘HanPirsm'은 방대한 양의 실시간 및 과거 플랜트 운영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집, 저장, 분석하여 DCS의 왜곡 없는 데이터 정보를 제공해 주는 고성능 운전정보시스템이다. 또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 OPC UA/DA를 지원하며, 기존에 사용하던 특정 밴더사의 자동화 시스템(PLC, DCS, SCADA) 및 MES, ERP 등과 같은 상위 시스템과 폭넓게 통신하여 전 공정 실시간 현황과 설비 유지관리 및 품질에 대한 고차원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BNF테크놀로지 관계자는 “HanPirsm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플랜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들이 목적에 맞는 정보를 적시에 활용할 수 있어 전략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인아그룹 4개(인아오리엔탈모터·인아엠씨티·인아코포·인아텍) 계열사가 4월 6일부터 8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에 참가한다. 부스는 코엑스 1층 A홀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인아그룹은 ‘V-INA(Variety)’를 콘셉트로 하여 다양한 제품을 이용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전달할 계획이다. 인아오리엔탈모터는 자동화 업계에 적용되는 △Stepping Motor △AC Geared Motor △Speed Control Motor △Actuator △FAN Motor 등 오리엔탈모터의 라인업을 소개한다. 또 주력 제품의 활용도 및 성능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역을 나눠 제품을 전시한다. 신규 제품인 AZD-KR 2D, CVD2B-KR, AZD28-KED, BLVD-KRD로 구성된 ‘NEW PRODUCT ZONE’과 인아오리엔탈모터의 AC, BLDC, STEP, LIMO, FAN을 전시하는 ‘동력/제어 ZONE’이 있다. 인아코포는 △인버터만으로 간단한 토크제한 및 서보락 기능이 가능한 GTR(NISSEI)의 ‘IPM 모터 시리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