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바웨이브가 디지털 범죄 가해자의 활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AI 기반 플랫폼 ‘SCAM GUARD’를 무료로 공개했다. 이 플랫폼은 몸캠피싱, 딥페이크, 로맨스스캠 등 다양한 디지털 범죄 유형을 포괄적으로 탐지하고 피해자의 빠른 대응과 사전 예방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SCAM GUARD는 라바웨이브가 자체 개발한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AI 엔진 ‘AUTOBOT’을 기반으로 오픈채널 및 다크웹 등 온라인 공간에서 범죄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한다. 기존의 수동적 피해자 신고 중심 대응에서 벗어나 범죄 발생 현황과 가해자 동향을 능동적으로 추적하는 방식이다.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범죄 발생 시점의 접촉 수단, 유도된 앱 정보, 악성 파일, 피해 금액, 피해 지역 분포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가해자 서버별 해킹 링크, 피해자 수, 피해액, 국내외 분포 현황까지 실시간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지털 범죄 가능성을 조기에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다. 라바웨이브는 SCAM GUARD를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디지털 범죄를 실시간 추적하고 사전 차단하는 ‘보안 인텔리전스 서비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특히 특허 등록된 ‘몸캠
엘리스그룹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주최한 ‘AI 포 굿 글로벌 서밋 2025’에서 자사의 공교육 AI 솔루션 ‘AI 교과서용 AI헬피’를 소개하고, 우수 활용 사례로 선정됐다. 해당 서밋은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됐으며, 글로벌 AI 전문가와 정책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AI헬피는 부적절한 언어 사용을 차단하는 모더레이터, 팩트체커, 할루시네이션 방지기, 연령대 맞춤 톤 조절 기능을 갖춘 멀티에이전트 AI 챗봇이다. 국사편찬위원회 자료와 한국어 문화지식을 학습한 AI 모델로, 신뢰도 높은 공교육용 AI 챗봇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중학교 정보 디지털 교과서에 적용돼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 중이다. 엘리스그룹은 국내 클라우드 보안 인증인 CSAP IaaS를 획득한 ‘엘리스 AI PMDC’를 통해 학생 데이터 보안 역량도 입증했다. 해당 PMDC는 수요에 따라 확장 가능한 모듈형 데이터센터로, 물리적 격리와 보안 유연성 면에서 향후 해외 AI 교육시장 확장에도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번 글로벌 서밋에서 엘리스그룹은 ITU의 ‘Innovate for Impact AI Use Case’ 프로그램에 AI헬피를 출품해 우
가트너가 2025년 전 세계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에 대한 최종 사용자 지출이 전년 대비 148% 증가한 14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기업 도입이 빠르게 늘고 있는 특화형 모델(DSLM)에 대한 투자가 눈에 띄게 확대되며 전체 시장에서 DSLM이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생성형 AI 모델 전체 지출은 지난해 57억 달러에서 142억 달러로 약 2.5배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중 범용 생성형 AI 모델에 대한 지출은 141% 증가한 130억 달러로 예측됐으며 산업·업무별 도메인에 특화된 DSLM 모델 지출은 전년 대비 279% 증가한 11억 달러로 전망됐다. DSLM(Domain-Specific Language Model)은 특정 산업이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최적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거나 미세 조정된 생성형 AI 모델을 뜻한다. 일반적인 LLM보다 도입 비용은 낮지만 특정 업무에 더 높은 효율성과 가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들의 관심이 빠르게 늘고 있다. 가트너는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 경우, 오는 2027년까지 기업용 생성형 AI 모델의 절반 이상이 DSLM을 기반으로 구
엠아이큐브솔루션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총괄하는 ‘제조 AI 센터 구축 사업’의 대구권역 핵심 수행기관으로 참여한다고 11일 밝혔다. 제조 AI 센터 구축 사업은 중소 제조기업이 AI와 제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 거점을 조성하고 제조 기업의 AX(AI Transformation·인공지능 전환)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6월 대구를 제조 AI 센터 설치 지역 중 한 곳으로 선정했으며,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의 지원을 통해 대구에서 2025년부터 3년간 총 120억 원 규모의 ‘기계요소·소재부품산업 AI 기반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이 진행된다. 엠아이큐브솔루션은 해당 사업의 주관기관인 대구테크노파크를 비롯해 아크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을 공동 수행한다. 품질예측, 이상탐지, 예지보전, 공정최적화 등 다양한 제조 AI 특화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제조 현장 전반에 적용 가능한 자율제조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AAS(Asset Administration Shell·자산관리쉘) 기반의 표준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해 설비 간 데이터 연동성과 운용 효율성을 확보하고 AI 시뮬
KT가 오는 31일까지 홍대 애드샵 플러스, 강남역 KT 애비뉴, 수원 KT 위즈파크점, KT플라자 동성로점 등 네 곳에서 ‘갤럭시 Z 폴더블7 AI 체험존’을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체험존은 KT 캐릭터 ‘민트라온’이 상상하는 세상이 갤럭시 Z 폴더블7을 열며 현실로 펼쳐진다는 컨셉이다. 특히 셀피와 AI 이미지 생성 등 MZ세대의 자기표현 문화를 반영해 AI 기술을 자연스럽게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했다. 대표 콘텐츠인 ‘새로운 나를 펼치다’ 코너에서는 갤럭시 Z 폴더블7으로 셀피를 촬영하면, AI가 얼굴 윤곽과 표정을 분석해 10종의 캐릭터 중 어울리는 이미지를 매칭해준다. 고객은 생성된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포토 어시스트 기능으로 포토존 배경과 합성해 ‘나만의 캐릭터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이와 함께 지난 5월 KT AI 체험존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던 ‘Dream AI Studio’도 다시 선보인다. 고객이 셀피를 촬영하고 간단한 미래 설문을 완료하면, AI가 이를 분석해 꿈꾸는 미래 모습을 시각화된 이미지로 제공한다. KT 영업·채널본부장 오성민 상무는 “갤럭시 Z 폴더블7 특별 체험존에서 트렌드에 맞춘 신단말 AI 체험으로 무더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노트북, PC, 모니터, 액세서리를 지원하는 새로운 사용자 감지(Human Presence Detection, HPD) 기술을 출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하루 평균 20% 이상 전력소모를 절감하면서도 향상된 보안 및 강화된 개인정보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업계 선도적인 플라이트센스(FlightSense) ToF(Time-of-Flight) 센서와 고유의 AI 알고리즘을 결합해 핸즈프리 방식의 빠른 ‘윈도 헬로(Windows Hello)’ 인증을 제공하고 배터리 수명 연장, 사용자 개인정보보호 또는 건강 알림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알레상드르 발메프레졸 ST 수석 부사장 겸 이미징 서브그룹 사업본부장은 “ST의 플라이트센스 기술은 지난 수년간 출시된 260종 이상의 노트북 및 PC 모델에 탑재되어 있다”며 “새로운 사용자 감지 솔루션은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효율, 보안, 사용 편의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AI와 센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통합이 가속화됨에 따라 앞으로는 훨씬 더 정교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기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엘앤에프가 지난 10일 SK온과 LFP 양극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국내 대형 배터리 제조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약 한 달 만에 체결된 신규 업무 협약이다. 이병희 엘앤에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최근 국내 주요 배터리 업체들과의 업무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향후 수요를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다”면서 “고객사들과 구체적인 물량을 확정해 중장기 공급계약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엘앤에프는 현재 파일럿 라인에서 제품을 출하해 고객사에 납품을 하고 있으며, 최종 제품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또한 본격적인 신규 LFP 양극재 사업을 위한 자회사 설립 및 사업 승인을 위한 이사회를 앞두고 있다. 전기차 시장의 수요 둔화, 미-중 갈등 등 불안한 국제 정세 속에서도 이처럼 빠르게 LFP 양극재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이유는 중저가 E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 양극재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엘앤에프 관계자는 “미국의 세금 및 지출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일부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AI 데이터센터 급증 및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 증가에 따른 ESS 수요 확대 등으로 배터리 셀 업체들의 움직임이
원/달러 환율은 11일 미국의 고용지표 호조 등에 따라 상승 출발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25분 현재 전 거래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5.3원 오른 1375.3원을 기록했다. 환율은 전날보다 2.3원 오른 1372.3원에서 시작해 상승 폭을 확대하고 있다. 간밤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6월 29∼7월 5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2만7000건으로, 한 주 전보다 5000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장 전망치보다 적은 수준으로, 달러화 강세 요인이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보다 0.45% 오른 97.799를 기록했다. 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한 불안감도 여전히 시장에 남아 있는 분위기다. 같은 시각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939.7원을 나타냈다. 전날 오후 3시 30분 기준가보다 3.04원 올랐다. /달러 환율은 0.05% 오른 146.33엔을 나타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사업 부문의 독립성과 경영 효율성 제고...사업 구조 단순화로 전문성 확보 하나마이크론이 인적 분할을 통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며, 반도체 후공정(OSAT)과 소부장 사업을 분리해 각각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조직 재편에 나선다. 이번 분할로 하나마이크론은 기존 OSAT 사업을 맡는 신설회사 ‘하나마이크론’과 투자회사이자 지주사 역할을 수행할 존속회사 ‘하나반도체홀딩스(가칭)’로 나뉜다. 순자산 가치 기준 분할 비율은 신설회사 67.5%, 존속회사 32.5%다. 지주회사인 하나반도체홀딩스는 자회사 하나머티리얼즈를 중심으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와 브랜드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반면 신설 하나마이크론은 첨단 패키징 기술 고도화를 통해 OSAT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이다. 이번 전환은 각 사업 부문의 독립성과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상호출자 해소와 사업 구조 단순화를 통해 경영 투명성과 전문성을 제고하겠다는 의도가 담겼다. 하나마이크론은 주주와의 동반 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도 함께 발표했다. 분할 이후인 2026년부터 잉여현금흐름(FCFF)을 기준으로 신설회사와 존속회사는 각각 5%, 30% 이상의 배당 성향을 유지할 방침이다.
이달 중 340억 매개변수 규모의 A.X 3.1 대형 모델도 추가 발표 예정 SK텔레콤(이하 SKT)이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에 독자 구축한 한국형 LLM(대규모 언어모델) ‘A.X 3.1 라이트’를 공개하며, 경량 모델 중심의 AI 기술 생태계 확장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이번 모델은 SKT가 설계부터 학습까지 전 과정을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방식으로 자체 개발한 70억 매개변수(7B) 규모의 경량화 LLM이다. A.X 3.1 라이트는 기존에 에이닷 통화 요약 기능에 적용됐던 A.X 3.0 라이트의 성능을 한층 업그레이드한 버전이다. 모바일 기기 등 사양이 다양한 환경에서도 낮은 전력 소비와 높은 처리 효율을 유지하며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돼, 국내외 다양한 기업 환경에서 AI 기술의 실질적 도입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동일한 파라미터 규모의 자매 모델인 ‘A.X 4.0 라이트’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성능을 보여줬다. 한국어 멀티태스크 평가 지표인 KMMLU에서 61.70점을 기록해 64.15점을 기록한 A.X 4.0 라이트 대비 96% 수준의 성능을 보였고, 한국어 문화 이해를 평가하는 CLIcK 벤치마크에서는 오히려 10
양사 기술 결합으로 국방 감시, 산업시설 점검, 재난 구조, 방범, 농업 모니터링 등 지원 인텔리빅스와 4족 보행 로봇 기술을 보유한 라이온로보틱스가 ‘4족 보행 로봇 기반 AI 영상 감시 솔루션 및 통합 관제 플랫폼 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7월 9일 서울 서초구 인텔리빅스 비즈니스센터에서 진행됐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이동형 로봇 플랫폼 구축에 협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온로보틱스의 4족 보행 기술과 인텔리빅스의 생성형 비전 AI 기술을 융합해 국방 감시, 산업시설 점검, 재난 구조, 방범,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실용 로봇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또한 비전 센서 및 IoT 센서 탑재, 엣지 AI 기반 센싱 처리, 자율 이동 및 미션 수행 기능을 통합한 고도화 작업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의 또 다른 핵심은 로봇 자율 주행 기능과 AI 기반 영상 관제 시스템을 결합한 ‘AI 로봇 통합 관제 플랫폼’ 구축이다. 이동형 로봇의 상황 인식과 실시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이 플랫폼은 공공 안전, 국방, 산업 현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1,965만 명이 토지 소유, 60대·남성 비율이 높아 국민 10명 중 4명 토지 소유 세종 외지인 비율 59%로 전국 최고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024년 말 기준 전국의 지적공부(토지·임야대장)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2024년 토지 소유 현황 통계』를 7월 11일 공표했다. 이번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 5,122만 명 중 약 38.4%에 해당하는 1,965만 명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6년 1,367만 명 대비 약 43.7% 증가한 수치다. 세대 기준으로는 총 2,412만 세대 가운데 63.4%인 1,530만 세대가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60대가 전체 토지 소유자 중 30.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50대(21.2%), 70대(20.8%)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54.5%)이 여성(45.5%)보다 다소 높게 조사됐다. 소유 유형별로는 개인이 46,258㎢, 법인이 7,404㎢, 종중·종교단체 등 비법인이 7,823㎢의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개인 소유 토지는 임야(57.6%)와 농경지(34.4%)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법인은 임야(46.8%) 외에 공장
엘앤에프가 10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LFP 사업을 위한 신규법인 설립 및 신설 법인에 대한 지분 취득을 했다고 밝혔다. LFP신설 법인 엘앤에프엘에프피(가칭)는 총 3365억 원을 투자해 최대 6만 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갖춘다. 엘앤에프는 신설 법인에 2000억 원의 지분투자를 하며 100% 자회사로 설립될 예정이다. 회사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전기차 수요 둔화로 국내 이차전지 업계가 실적 악화 등 어려운 시기에 있음에도 과감하게 LFP 신규 사업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는 국내 이차전지 소재 업체가 주력으로 준비했던 고부가가치 제품인 하이니켈 제품뿐 아니라, 중저가 제품인 LFP 제품을 제품 포트폴리오에 추가해 고객사들이 선택권을 확대시키려는 전략이다. LFP의 기술적 난이도는 하이니켈 제품에 비해 낮아 중국 기업들이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ESS의 경우 LFP 제품의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어 배터리 Cell 업체들의 탈중국 소재 사용에 대한 고심이 깊어졌었다. 엘앤에프는 최근 수년간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LFP 제품을 준비해 왔으며 탈중국 소재를 찾는 고객사들의 공급 가능성 문의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류승헌 엘앤에프
줌 커뮤니케이션즈(이하 줌)가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작업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에이전틱 AI 기능을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커스텀 AI 컴패니언(Custom AI Companion)’ 애드온은 총 16개의 주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돼 사용자가 줌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커스텀 AI 컴패니언 애드온은 이제 온라인으로 구매할 수 있어 중소기업 사용자들도 구글 미트(Google Meet)를 비롯한 써드파티 화상회의 플랫폼에서도 AI 컴패니언 기능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 애드온을 통해 사용자는 회의 요약 템플릿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하고 커스텀 아바타를 생성하며, 여러 써드파티 앱과 연동해 업무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줌은 이번 기능 확장을 통해 사용자가 반복적인 업무에서 벗어나 비즈니스 성장과 핵심 전략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스미타 하심 줌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줌 AI 컴패니언의 에이전틱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줌 뿐만 아니라 서비스나우, 지라, 아사나, 박스 등 다양한 비즈니스 핵심 애플리케이션 전반에서 생산성을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우주 시스템 개발자들의 변화하는 요구에 지속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내방사선(Radiation-Tolerant, RT) PolarFire 기술과 관련해 두 가지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마이크로칩의 RT PolarFire RTPF500ZT FPGA가 MIL‑STD‑883 Class B 및 QML Class Q 인증을 획득한 것과, RT PolarFire 시스템온칩(SoC) FPGA의 엔지니어링 샘플이 공급을 시작한 것이다. 마이크로칩은 “이러한 성과는 6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우주비행 분야에서 쌓아온 기술 유산과, 이를 바탕으로 까다로운 우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신뢰성, 저전력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회사의 지속적인 노력을 입증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MIL‑STD‑883 Class B와 QML(Qualified Manufacturers List) Class Q는 우주 및 방위 산업 등 고신뢰성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전자 부품에 대해 엄격한 테스트와 자격 요건을 규정하는 업계 표준이다. MIL‑STD‑883은 미 국방부가 제정한 표준으로, 극한 환경에서의 디바이스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환경, 기계적, 전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