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이 창립 80주년을 맞아 베트남 현지에서 의미 있는 상생 활동을 전개하며 과거의 역사적 인연을 미래 세대 지원으로 잇고 있다. 한진은 지난 11일 베트남 남중부 퀴논(Qui Nhon)에 위치한 프억흥 1초등학교를 찾아 저소득 가정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과 교육 물품을 전달하며 현지 사회공헌 활동을 펼쳤다. 이번 행사에는 조현민 사장과 노삼석 대표이사 사장을 비롯해 한진 임직원, 빈딘성 인민위원회 관계자, 그리고 사업 협력을 지원한 한베평화재단이 함께했다. 이날 한진은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장학금을 지원하고 학교의 요청을 반영해 도서실에 필요한 컴퓨터와 초등학생 권장 도서 500권을 기부했다. 조현민 사장은 수여식 후 학생들과 직접 둘러앉아 영어 동화책을 읽어주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고 노삼석 대표와 함께 어린이들과 교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상생 활동은 한진과 퀴논 지역의 깊은 역사적 연관성 속에서 기획됐다. 퀴논은 한진의 글로벌 물류사업이 시작된 상징적인 지역이다. 1960년대 말 한진상사 시절, 이곳에서 군수 물자 수송과 항만 하역 사업에 참여하며 회사의 글로벌 물류 기틀을 다졌다. 당시 전체 직원의 4분의 1에 달하는 약 1천여 명을 현지인으
머신비전 딥러닝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뉴로클이 오토딥러닝 기반 비전 소프트웨어의 최신 버전인 뉴로티(Neuro-T)와 런타임 라이브러리 뉴로알(Neuro-R) 4.5버전을 출시하며 제조 현장의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에 나섰다. 뉴로티는 누구나 쉽게 고성능 딥러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토딥러닝 소프트웨어로, 학습된 모델은 뉴로알을 통해 실시간으로 결함 검출에 활용된다. 이번 4.5버전은 △모델 추론 속도 최대 28% 향상 △GPU 기반 오토레이블링 옵션 추가 △가상 결함 생성 영역 지정 기능 △Threshold 유형 확장 등 제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성능과 효율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업데이트가 반영됐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모델 추론 속도의 획기적 개선이다. 뉴로클에 따르면 Classification 모델은 23% 이상, Segmentation 모델은 26%, Object Detection 모델은 28% 빨라졌다. 이를 통해 검사 속도가 중요한 고속 생산 라인에서도 실시간 검출이 한층 원활해졌다. 이는 불량품 탐지 지연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다. 또한 가상 결함 생성 기능의 고도화도 눈에 띈다. Gen
픽잇(Pickit)이 한국을 아시아 지역 본부(Head Office)로 공식 지정하며 아시아 제조업 시장에서의 입지 강화에 나섰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거점 확장을 넘어 한국을 중심으로 일본, 동남아시아, 호주 등 주요 시장으로 영향력을 확장하겠다는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픽잇은 로봇이 물체를 정확히 인식하고 집어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3D 비전 솔루션 분야의 선도 기업이다. 복잡한 코딩이나 긴 커스터마이징이 필요 없는 직관적 시스템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통해 제조업체들이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품질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픽잇은 2019년 한국 진출 이후 꾸준히 성장해왔으며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약 25% 성장률(CAGR)을 달성했고,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연평균 58%라는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며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픽잇이 한국을 허브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 픽잇 측은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와 높은 자동화 도입률, 그리고 해외 기업과의 협력에 개방적인 환경을 꼽았다. 일본이나 중국 역시 중요한 시장이지만, 기술 혁신과 글로벌 협력에 가장 적합한 환경은 한국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전기차와 자율주행 기술의 고도화로 자동차 전자화 수준이 빠르게 향상되면서 전기 신호 전달의 핵심 부품인 커넥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차량용 규격(Automotive-grade)의 커넥터 핀은 높은 정밀도와 일관성이 필수적이지만 고밀도·소형화된 구조는 기존 접촉식 측정 방식으로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산업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크마인드로보틱스(이하 메크마인드)가 3D 레이저 라인 스캐너와 AI 기반 측정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일체형 솔루션을 선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메크마인드의 솔루션은 Mech-Eye LNX 시리즈 3D 레이저 프로파일러와 Mech-MSR 3D 측정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LNX 프로파일러는 프로파일당 최대 4,096 포인트의 고해상도를 제공하며, 최대 15kHz의 스캔 속도를 지원해 고속 생산 라인의 전수 검사 요구에 대응한다. 여기에 10MP CMOS와 대구경 슈미트 렌즈 기반의 광학 설계와 반사광 보정 알고리즘이 적용돼 고반사 재질이나 다중 반사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센서는 고정형 설치뿐만 아니라 로봇 암, 회전 스테이지와 연동할 수 있으며 멀티 센서 네트워킹을 통해 사각지대 없는 전체
머신비전 원천 기술 국산화의 대표 주자인 주식회사 포스로직이 독자 개발한 비전 라이브러리 FLImaging®(에프엘이미징®)을 통해 국내외 제조 현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적극적인 마케팅 없이도 글로벌 리딩 반도체 기업과 완성차 기업들이 앞다투어 도입을 확대하고 있는 점은 FLImaging®의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이 강하게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포스로직은 최근 열린 ‘2025 대한민국 리딩기업대상’에서 4년 연속 기술혁신대상을 수상했다. 이는 단순한 소프트웨어 성과를 넘어 머신 비전 원천 기술에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공식적인 증거다. 수상의 핵심 근거는 FLImaging®으로, AI·2D·3D 비전 알고리즘을 하나의 패키지에 통합해 처리 속도, 정밀도, 생산성, 운용 효율성 등 전 영역에서 해외 솔루션과 경쟁하며 차별성을 입증하고 있다. FLImaging®의 기술적 우위는 특허와 연구 성과로도 확인된다. Geometric Match 기술의 한국·미국 특허 등록, 딥러닝에서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고 학습 안정성과 추론 정확도를 동시에 보장하는 Semantic Segmentation 최적화, 최근 등록된 FL Denoising Typ
머신비전 전문 기업 크래비스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SWIR(Short-Wave Infrared) 카메라 라인업과 함께 SWIR DEMO KIT을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발표는 기존 가시광 영역을 넘어 적외선 영역까지 검출 범위를 확장하는 솔루션을 통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식품, 의약품 검사 등 고정밀 산업 검사 환경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크래비스가 공개한 SWIR 카메라 라인업은 크게 두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Sony InGaAs 센서를 탑재한 1.3메가픽셀 및 5메가픽셀 모델로, GigE, CameraLink, CoaXPress(CXP)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TEC(열전 냉각) 패키징 센서를 적용해 높은 이미지 품질을 구현한다. 두 번째 라인업은 경제형 CMOS 기반 SWIR 카메라다. 기존 InGaAs 센서 기반 장비 대비 3분의 1 이상 저렴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GigE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손쉬운 설치와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다. 이 제품군은 가격 부담으로 인해 SWIR 도입을 망설였던 중소 제조업체나 신규 고객층에게 적합하다. 특히 크래비스는 이번에 SWI
산업용 카메라와 로봇 비전 기술 전문기업 노비텍이 자사의 3D 스캐닝 센서 ‘Swing3D’를 다시 조명하며 업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Swing3D는 출시 이후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안정성과 실용성을 입증하며 꾸준히 활용되어 온 제품으로, 최근에는 실외 환경에서도 높은 활용도를 보여주면서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기존 3D 센서들이 실내 환경에 한정된 경우가 많았던 점을 고려하면, Swing3D의 옥외 대응력은 차별화된 경쟁 요소로 꼽힌다. Swing3D의 핵심은 빠르고 정확한 3D 데이터 수집에 있다. 광 삼각 측정 방식을 기반으로 회전 라인 레이저 모듈과 고속 FPGA·DSP 칩셋을 탑재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며, 촬영 영역 전체를 1초 이내에 스캔해 정밀한 3D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로써 기존 센서들이 정지 물체의 형상 측정에서 한계를 드러냈던 문제를 보완하고, 고속 라인이나 대량 검사 환경에서도 정밀성과 속도를 동시에 충족할 수 있게 했다. 이 제품은 고출력 450nm 라인 레이저를 탑재해 실외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다. 햇빛이 강하거나 조도가 불안정한 조건에서도 Swing3D는 안정적인 스캐닝을 보장해 물류, 자동차, 로봇,
Stereolabs 'ZED X 및 ZED X One GS 카메라로 GMSL2 Vision 향상 자율주행 업계를 선도하는 러기드 임베디드 시스템 공급업체인 넥스버가 IP66 등급의 방수 NVIDIA® Jetson 컴퓨터 NRU-161V-AWP를 발표했다. 이 산업용 컴퓨터는 Stereolabs의 ZED X 및 ZED X One GS 카메라를 완벽하게 지원하여 GMSL2 비전을 구현한다. 이러한 호환성은 GMSL카메라 드라이버 포팅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줄이고, 자율주행차 및 오프로드 차량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과 머신비전 분야에 스테레오 비전 기능을 제공한다. Stereolabs ZED X 및 ZED X One GS: 인지 기능을 위한 고급 GMSL2 비전 솔루션 넥스버에 따르면, ZED X 및 ZED X One GS 카메라는 물체 감지, 깊이 감지, 서라운드 뷰, 원격 조작 등의 인지 작업을 위해 설계되었다. ZED X는 IP67 등급 방수 기능을 갖춘 혹독한 환경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스테레오 카메라다. ZED X One GS는 GMSL2 카메라로, 스테레오 시스템 또는 다중 카메라 서라운드 비전 설정의 유연한 통합 및 맞춤 설정에
머신비전 전문 기업 앤비젼이 잇따라 신제품을 출시하며 스마트 팩토리와 자동차 전장 부품 검사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Smart Vision Sensor’와 ‘SSZN 3D 레이저 프로파일러’는 각각 제조 현장의 검사 효율성과 정밀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솔루션으로, 산업 전반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Smart Vision Sensor’는 별도의 PC 없이도 다양한 검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올인원 비전 센서다. 위치 지정, 유무 검사, 측정, 계산, 식별, 논리 연산 등 제조 현장에서 필요한 핵심 알고리즘을 모두 내장해 단일 장비만으로 복합적인 검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제품은 설치와 운용 편의성도 강조됐다. 회전 인터페이스와 유연한 배선 시스템, 렌즈와 광원이 일체형으로 구성돼 간단한 설정만으로 즉시 사용 가능하며, ‘원클릭 자동 최적화(One-click Configuration)’ 기능을 통해 초점과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기존 설비와 연동성을 높였고, 웹 기반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 언제 어디서나 장비 상태 모니터링과 디버깅, 배포 작
코어이미징이 최근 공개한 최신 산업용 비전 센서와 스마트 카메라 솔루션은 자동화 생산, 의료·제약, 물류 및 검사 현장의 품질 관리 효율성을 대폭 끌어올릴 수 있는 기술 혁신을 담고 있다. 대표적으로 IDC 시리즈 DM과 VeriSens 시리즈 DM은 디스플레이, 조명, 액세서리, 통합 인터페이스, 고성능 판독률을 두루 강화해 산업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한다.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능은 OLED 화면을 통해 IP 주소, 판독 결과, 코드 유형과 클래스 등 핵심 정보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며, 4면 RGB 디스플레이는 작업자가 어느 각도에서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조명 기능 또한 차별화되어 내부 LED 링 조명은 4개 세그먼트를 개별 제어할 수 있고, 외부 조명 동기화를 통해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판독 성능을 보장한다. 액세서리 측면에서도 다양한 옵션이 제공된다. 반사 제거용 편광 필터, 산업 표준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스마트 마운팅 시스템, 12~16mm 로드 고정 장치, 방열판까지 마련돼 실제 현장에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설치와 통합도 단순화됐다. USB-C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 웹 기반 자동 설정, 상태 표시 디스플레이, 컴팩트한
한국여성벤처협회(회장 성미숙, 이하 협회)와 조달청(청장 백승보)은 16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에서 여성벤처기업의 공공조달 시장 진입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혁신 역량을 갖춘 여성벤처기업들이 공공조달 시장을 통해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양 기관은 이번 MOU를 통해 ▲여성벤처기업의 조달시장 진입 활성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마련 ▲해외 시장 진출 및 판로개척 지원 ▲지방 여성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지방청 협업 강화 등의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협회는 그간 조달청과의 지속적인 간담회를 통해 제도 개선과 과제 발굴에 힘써왔으며 창업 초기 기업들이 조달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실무 중심의 지원을 펼쳐왔다. 이번 협약은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의미를 가진다. 조달시장은 벤처기업, 특히 기술혁신형 여성기업에게는 중요한 성장통로로 여겨진다. 시장 진입 장벽이 높고 규제가 복잡해 많은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만 안정적인 판로와 정부기관과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도 동시에
쿠팡이 중소기업중앙회, 홈앤쇼핑과 함께 중소기업의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업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쿠팡은 16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물류협업 출범식’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범식은 지난해 10월 세 기관이 체결한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로 홈앤쇼핑 입점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쿠팡의 ‘로켓배송’ 인프라를 지원하는 사업의 시작을 공식화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박대준 쿠팡 대표,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문재수 홈앤쇼핑 대표를 비롯해 중소 유통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해 상생 협력 의지를 다졌다. 이번 협업의 핵심은 홈앤쇼핑이 발굴한 우수 중소기업 제품을 쿠팡의 물류망을 통해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물류 비용을 절감하고 배송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쿠팡은 대·중소기업 간 상생 모델을 실현할 수 있다. 홈앤쇼핑은 고객에게 더 빠르고 편리한 쇼핑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쿠팡은 오는 9월부터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해 성과를 분석하고 입점 기업의 피드백을 반영할 계획이다. 이후 2026년부터는 참여 기업과 품목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공식 수입사 스타트럭코리아㈜(대표 동근태)가 우리금융캐피탈(대표 기동호)과 손잡고 국내 최초로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고객 전용 금융 서비스를 도입한다. 스타트럭코리아는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 우리금융캐피탈 본사에서 전속금융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스타트럭코리아 동근태 대표와 주요 경영진, 우리금융캐피탈 기동호 대표 및 임원들이 참석해 양사의 전략적 협력의 출발을 함께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구매 고객을 위한 전속 금융 체계를 처음으로 선보인다. 맞춤형 금융 솔루션과 전용 금융상품을 마련해 고객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전용 상담 창구 및 모바일 시스템 도입으로 구매 과정의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금융 및 정비 프로그램 연계, 공동 마케팅 등 다양한 협력 방안도 추진해 고객 혜택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스타트럭코리아 동근태 대표는 “이번 협약은 고객들이 메르세데스-벤츠 트럭을 보다 편리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우리금융캐피탈과의 협력을 통해 차별화된 금융 서비스와 혜택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업계를 선도하는 고객
글로벌 AI 에듀테크 영어교육 전문기업 ㈜아이포트폴리오 리딩앤(대표 김성윤)이 국제어린이양육기구 한국컴패션(본부장 정우진)과 손잡고 어린이들을 위한 영어 교육 콘텐츠 지원에 나선다. 리딩앤은 지난 15일 서울 용산구 한국컴패션 본사에서 한국컴패션과 AI 기반 영어교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리딩앤은 한국컴패션이 운영하는 ‘그로잉252(GROWING 252)’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국내외 어린이 1,700여 명에게 영어 학습 콘텐츠를 무상 제공한다. 리딩앤이 제공하는 핵심 도서는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의 ‘The Life of Our Lord’로 누적 관객 130만 명을 기록한 영화 ‘킹오브킹스’의 원작으로도 알려져 있다. 해당 도서는 단순 번역본이 아니라, 수준별 문장 구성과 AI 도구를 활용한 기획·편집 과정을 통해 재탄생한 콘텐츠다. 영어를 처음 접하는 유아부터 성인까지 흥미롭게 읽을 수 있으며, 특히 AI 학습친구 ‘로라(LAURA)’가 독서 과정에 참여해 책 내용을 함께 읽고 대화하며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한국컴패션은 전 세계 29개국에서 가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어린이들
AI와 예술을 결합한 글로벌 아트 플랫폼 ‘아투(Artue)’가 지난 11일 서울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열린 OpenAI코리아 개소식(OpenAI Korea Launch) 키노트 세션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혁신 스타트업으로 소개됐다. 아투를 운영하는 ㈜아비투스어소시에이트(대표 송보영)는 이번 행사에서 OpenAI의 공식 협업 사례로 발표됐다. 키노트 연사로 나선 브래드 라이트캡(Brad Lightcap) OpenAI COO는 아투를 챗GPT 기술을 예술 시장 혁신에 접목한 대표적 글로벌 협업 케이스라고 강조했다. 개소식은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진행됐으며 키노트 세션에서 발표된 국내 협력 기업에는 GS, 토스, LG전자, LG유플러스, 크래프톤, 카카오, KT, 야놀자, 카페24, 티빙, SK텔레콤 등 총 12개사가 포함됐다. 이 가운데 아투는 유일한 스타트업 협업 사례로 이름을 올리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아투는 AI 기반 개인화 큐레이션 엔진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결합해 예술 검색 및 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특히 OpenAI의 챗GPT를 활용해 세계 최초로 자연어 기반 대화형 예술 검색 서비스를 선보였다. 이용자가 ‘A heartwar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