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 코리아의 적층형 18V 입력 35A 동기식 DC/DC 벅 컨버터 [사진=TI코리아] [헬로티] TI 코리아가 18V 입력, 35A 동기식 DC/DC 벅 컨버터 제품(TPS546C23)을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신제품 TPS546C23 전원 컨버터는 완전 차동 원격 전압 감지 기능과 PMBus를 지원하여 텔레메트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전면 내세웠다. 온도 전반에 걸친 0.5%의 레퍼런스 전압 정확도와 완전 차동 원격 전압 감지 기능은 미세 서브마이크론(DSM) 프로세서의 전압 정확도 요구를 충족한다. 전류 분배 기능으로 인해 2개의 컨버터를 적층할 수 있어 유/무선 통신, 엔터프라이즈 및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과 같이 공간 제약적이고 전력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세서를 위해 최대 70A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TI는 이 컨버터는 소형 풋프린트 패키지에 하이사이드 및 로우사이드 MOSFET을 통합함으로써 경쟁 제품보다 우수한 밀도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TPS546C23은 현재 TI와 공인 대리점을 통해서 구입할 수 있다. 40핀 5mm x 7mm x 1mm PowerStack QFN 패키지로 제공되며, 가격은 1000개 수량
[헬로티] 산업용 냉동공조설비 컨트롤러 전문업체 두텍(대표 최득남)은 지난 11월10일, 히타치와 인버터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 체결로 히타치는 국내 유통망의 확대를, 두텍은 신규 사업으로의 영역 확장을 이루게 되었다. 두텍은 냉동 공조 및 공기압축기 분야에 17년간 몸담아온 만큼 그동안의 노하우와 고객 데이터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며 두텍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에너지 절감 분야 연구에 있어 기술 신장을 기대하고 있다. 두텍이 취급하게 될 제품은 히타치의 저압 인버터로 트립 억제 기능, 프로그램 운전 기능, 수명 진단 기능, 인버터 본체에 내장된 회생제동 회로의 기종 확대 등 다양한 면에서 기존 인버터들과 두드러진 차이점을 보인다. 특히 모터 단자 전압을 2배 이하로 억제하는 독자적인 PWM 제어방식 펄스 컨트롤은 히타치만이 가진 특허이다. 히타치의 저압 인버터는 풀 부하 운전 시 출력단이 단락 되는 경우에도 인버터 IGBT 모듈이 소손 되지 않는 다중 보호 기능이 채택됐으며 아날로그 분해능을 향상시켜 긴급 차단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하드웨어 회로만으로 인버터 출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보호 기능으로 인해 정전 발생 등 긴급한
산업용, 의료용 및 스마트 홈 시장용 모듈러 개발 플랫폼 … IoT에 대한 지원 확대 에너지 효율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온세미컨덕터(Nasdaq: ON; www.onsemi.com)가 엔지니어들에게 산업용, 의료용 및 가정용 IoT 애플리케이션의 평가, 설계 및 구현을 가속화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빌딩 블록 전체를 제공하는 모듈러 IoT 개발 키트 (IDK)를 출시했다. 온세미컨덕터는 센서, 파워 매니지먼트, 커넥티비티, 프로세서 및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한 스마트 및 커넥티드 IoT 설계용 시장을 선도하는 전력 효율적인 반도체 포트폴리오를 공급해오고 있다. 이 실리콘 솔루션들을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와 통합한 IDK는 개발자들이 클라우드 기반 IoT 설계 개발을 빠르게 하도록 모듈러 방식의 컴팩트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온세미컨덕터의 IDK는 센싱, 유무선 연결 및 액추에이션에 필요한 다양한 모듈 옵션을 포함한다. 이 종합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는 임베디드 작동 시스템 (ARM? mbed™ OS), 드라이버, 하드웨어 쉴드용 API,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및 샘플 애플리케이션 코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
빅데이터&클라우드 기술 결합 … 재난안전 기술 연구개발에 최적화된 연구 환경 제공 모비젠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클라우드 기반 재난안전 연구 인프라 구축” 사업을 17억 원에 수주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클라우드 기반 재난안전 연구 인프라 구축” 사업은 재난의 대형화와 복합화로 인한 대량의 재난 데이터를 다각도로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여 재난 대비 기술 고도화와 재난 안전 기술 연구개발의 허브센터로 구축된다. 모비젠 빅데이터 분산처리 DB 솔루션인 아이리스(IRIS)와 빅데이터 플랫폼 관리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 기능이 적용된 아이비(IVY) 솔루션은 이번 사업에서 대규모 분산 처리와 확장성이 보장되는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과학적 재난 분석의 기반을 마련하고 국가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연구 기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비젠 이명규 대표는 “이번 사업은 재난 안전 연구를 위한 데이터 수집/공유 시스템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연구개발 인프라로 자원 활용 효율성 및 적시성을 확보하여 재난안전 기술 연구 개발에 최적화된 환경
대한민국 안전산업 육성과 범국민적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제2회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K-SAFETY EXPO 2016)'가 지난달 16일(수)부터 18일(금)까지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함께 만들어요, SAFE KOREA!’라는 슬로건과 함께 우리 생활에 광범위하게 연관되어 있는 안전산업의 각 분야별 전문성 확보를 위해 6개의 전시회로 나눈 Show-in-Show 형태로 진행된 이번 전시회에서는 우리나라 안전산업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했다. 안전산업 육성과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제2회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K-SAFETY EXPO 2016)’가 지난달 16일부터 1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함께 만들어요, SAFE KOREA!’라는 슬로건과 함께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를 제고하고, 기존 내수 중심의 안전 산업을 저성장 시대의 새로운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민안전처,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가 주최하고 킨텍스, KOTRA가 공동 주관한 이번 행사는 보안·대테러 전시회, 해양안전, 교통안전, 방재·
멀티 채널 네트워크(MCN)가 새로운 비즈니스로 등장해 1인 창작자가 대형 PGC 제작사에 버금가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전통 미디어 기업의 인수 대상이 되고 있다. 글로벌 5대 MCN의 비즈니스 모델 활동에서 보듯이, 이들은 이미 서비스와 관련 파생상품, 라이선스 등으로 수익을 내기 시작했으며, 창작 및 제작하고 배급하는 스튜디오이면서 동시에 유통하는 플랫폼 전략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들어가며 2015년 중반부터 멀티 채널 네트워크(Multi-Channel network; 이후 MCN)가 화두가 되기 시작하다가 국내에서도 씨를 뿌리고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하지만, 최근 한때의 유행어처럼 지나갈지, 단단하게 뿌리내려 1인 창작자들의 플랫폼이 되어 줄지에 관심이 쏠리기 시작했다. 가장 큰 이유는 2006년 시작한 국내 최대 1인 방송 플랫폼인 아프리카TV에 대한 내용 규제 강화 움직임과 1인 창작자 내지 MCN 대상 ‘동시송출 금지’라는 아프리카TV 정책 조항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사건으로 인해 MCN 비즈니스 모델의 싹을 잘라버릴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대표 1인 방송인 대도서관, 윰댕 등이 아프리카TV
(4) 스타일홀(StyleHaul) 스타일홀은 2011년 만들어진 패션 MCN으로 오프라인 버전을 온라인·모바일 동영상 콘텐츠화하는 데 기여한 대가로 2014년 10월 RTL 그룹으로부터 600만 달러 투자를 받는다. 스타일홀은 여성 시청자를 겨냥해 만들어진 브랜드이다. 즉, 유명 패션쇼 현장 중계, 패션 피플 인터뷰, 화장법 등이 콘텐츠의 주된 영역이며 이와 관련한 산업 주체들이 패션산업 및 뷰티산업의 광고주들이다. 즉, 스타일홀은 패션 및 뷰티, 라이프스타일 장르에 특화하고 타깃은 여성이다. 이의 비디오 포맷은 다양한 쇼 형태로 기획되고 제작 품질도 높으며 다양한 패션, 뷰티, 라이프 관련 상품 브랜드 광고인 브랜디드 콘텐츠(Branded content) 제작 쪽으로 사업을 확장한다. 예로, 오리지널 쇼인 ‘웹테라피’에서는 인기 TV스타인 리사커드로(Lisa Kudrow)가 출현하기도 했다. 스타일홀은 독일 미디어 그룹인 베어텔스만으로부터 2억 달러(2천억 원) 지분 투자를 받으면서 베어텔스만의 유료TV 채널인 알테엘(RTL)과의 콘텐츠 간 시너지에 초점을 둔다. 독일의 유료TV 채널은 RTL, 프로지벤자트아인스(ProS
멀티 채널 네트워크(MCN)가 새로운 비즈니스로 등장해 1인 창작자가 대형 PGC 제작사에 버금가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전통 미디어 기업의 인수 대상이 되고 있다. 글로벌 5대 MCN의 비즈니스 모델 활동에서 보듯이, 이들은 이미 서비스와 관련 파생상품, 라이선스 등으로 수익을 내기 시작했으며, 창작 및 제작하고 배급하는 스튜디오이면서 동시에 유통하는 플랫폼 전략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들어가며 2015년 중반부터 멀티 채널 네트워크(Multi-Channel network; 이후 MCN)가 화두가 되기 시작하다가 국내에서도 씨를 뿌리고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하지만, 최근 한때의 유행어처럼 지나갈지, 단단하게 뿌리내려 1인 창작자들의 플랫폼이 되어 줄지에 관심이 쏠리기 시작했다. 가장 큰 이유는 2006년 시작한 국내 최대 1인 방송 플랫폼인 아프리카TV에 대한 내용 규제 강화 움직임과 1인 창작자 내지 MCN 대상 ‘동시송출 금지’라는 아프리카TV 정책 조항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사건으로 인해 MCN 비즈니스 모델의 싹을 잘라버릴지도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리고 있다. 대표 1인 방송인 대도서관, 윰댕 등이 아프리카TV
스마트워치 시장은 2016년에 접어들면서 시장이 크게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유는 스마트폰에 종속적으로 동작하는 기기로서 스마트폰의 부가적인 기능이 한계점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에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겨냥한 CPND 기반의 네트워크 측면, 유무선 융합 측면, 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특성이 요구된다. 개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스마트워치(smart watch)는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피트니스 및 헬스 케어, 패션 산업, 의료기기 등의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스마트워치 신업이 점차 발전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정도의 혁신성을 스마트워치에서도 요구하면서 보다 더 높은 성능과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소비 니즈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스마트워치 제조사(애플/구글/삼성/LG 등)들은 이를 수용하여 스마트폰에 종속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로서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고도의 기술개발과 아울러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1][2]. 이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스마트워치를 중 심으로 웨어러블 산업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스마트워치 산업의 성공 요인 이슈 1. 킬러 앱 개발 이슈 스마트워치는 웨어러블 기기의 대표 제품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피트니스 기능이나 헬스 케어 기능 등을 내세워 스마트폰의 후방위 시장(after market)을 공략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워치에 특화된 획기적인 핵심 애플리케이션(killer application)이 없어 스마트폰에 종속된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2). 추후 5G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되기 이전에 이러한 소비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스마트워치는 니치마켓3)용 제품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와 콘텐츠 개발자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혁신성과 디자인 성능을 갖춘 스마트워치 개발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이에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차별화된 스마트워치를 개발하기 위해 패션 디자인을 통해 디자인 성능을, 의료장비 기술력을 통해 기술 혁신 능력을 향상시켜가고 있다. 2.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 이슈 스마트워치가 스마트폰에 종속된 웨어러블 기기로서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수요 니즈 기반의 보다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스마트워치
스마트워치 시장은 2016년에 접어들면서 시장이 크게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유는 스마트폰에 종속적으로 동작하는 기기로서 스마트폰의 부가적인 기능이 한계점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에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겨냥한 CPND 기반의 네트워크 측면, 유무선 융합 측면, 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특성이 요구된다. 개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스마트워치(smart watch)는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피트니스 및 헬스 케어, 패션 산업, 의료기기 등의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스마트워치 신업이 점차 발전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정도의 혁신성을 스마트워치에서도 요구하면서 보다 더 높은 성능과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소비 니즈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스마트워치 제조사(애플/구글/삼성/LG 등)들은 이를 수용하여 스마트폰에 종속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로서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고도의 기술개발과 아울러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1][2]. 이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스마트워치를 중 심으로 웨어러블 산업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T SG17 Q9(Telebiometrics)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의 지원하에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국내외 연구진이 개발한 모바일 바이오인식 응용표준 2건(모바일 바이오인식 보안대책(X.1087), 바이오인식 기반 하드웨어 보안토큰기술(X.1085))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되고, 다중 생체신호 인증기술 1건(지문인식과 심전도(심박수)와 같은 생체신호를 결합한 텔레바이오인식 인증기술(X.tab, Telebiometric Authentication using Bio-signals)이 국제표준으로 제안·승인됐다. 모바일 바이오인식 응용표준 2건은 ‘모바일 바이오인식 보안대책(X.1087)’과 ‘바이오인식기반 하드웨어 보안토큰기술(X.1085)’이다. 모바일 바이오인식 보안대책(X.1087)’은 모바일 기기에서 12가지의 텔레바이오인식 인증 모델을 정의하고 바이오 정보의 등록·저장·전송·식별 등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위협과 보안대책을 제시한다. 이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인도네시아(11월 3~4일)와 오만(11월 7~8일) 현지에서 국내 정보보호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정보보호 비즈니스 상담회’를 각각 개최했다. 이번 상담회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무스카트 무역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가 공동 주관한 행사로 인도네시아와 오만은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2016년 상반기부터 설치·운영 중인 정보보호 해외 진출 전략 거점국이다. 인도네시아는 최근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 규모가 커지고 있어 동남아시아 국가 중 가장 주목받는 IT 시장이며, 오만을 포함한 중동 시장은 정보보호 인식 확대, 사이버공격 증가에 따라 보안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곳이다. 지란지교시큐리티, 한컴지엠디, 기원테크, 이글루시큐리티, 디플랫폼 등 11개 국내 보안 기업은 11월 3일과 4일 양일간 자카르타에서 개최한 비즈니스 상담회에 참가하여 1:1 바이어 미팅 및 금융, 통신, 전자상거래 분야의 잠재적인 현지 클라이언트 대상 제품 발표회를 진행했고,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 체결, 공동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로 했다
벤처스퀘어와 르호봇이 공동 주최하고 앳스퀘어가 주관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축제 ‘컨퍼런스 2016:가을’이 지난달 16일과 17일 양일간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됐다.‘ 응답하라 Web2.0 & 미래 ICT 10년’을 주제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ICT 산업 전반은 물론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와 국내외 스타트업 전시, 국내 스타트업 지원 기관 8곳 59개 팀이 참여해 데모데이를 진행했다. 지난달 16일과 17일 양일간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글로벌 스타트업 컨퍼런스 2016:가을(이하, GSC 2016:가을)이 스타트업 관계자들과 방문객 등 1,2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GSC 2016:가을은 벤처스퀘어와 르호봇,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공동 주최하고 앳스퀘어가 주관했으며 공공과 민간 16곳의 후원사와 여러 언론사를 포함한 10곳의 파트너가 함께했다. ‘응답하라 Web2.0 & 미래 ICT 10년’을 주제로 열린 이번 가을 컨퍼런스는 ICT 산업 전반은 물론,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
서론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전세계의 경제 상황은 지속적인 숙련도 향상과 성과 개선을 요구하고 있으며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요구한다. 기존에는 추적과 간격을 줄임으로써 밀도를 높여왔다. 그러나 다수의 고속 기판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더욱 작아진 추적에서 구리와 유전체 손실이 발생하거나 공간 감소로 인해 혼선이 증가하기 때문에 밀도 향상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기존에 기판 설계와 제작에 사용된 다음의 네 가지 아이디어를 통해, 경로 밀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는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 랜드리스 바이어스 • BGA 발생을 위한 바이어스 스윙 • 비아-언더-패드를 위한 고체 페이스트 바이어스 • 레이어 밀도 증가를 위한 파워 메시 밀도의 벽 넘기 경로 밀도가 높아진다면, 다음 항목들만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 보다 작은 경로 • 보다 간격이 좁은 추적(공간) • 보다 작은 바이어스(마이크로 바이어스 단위) • 바이어스용으로 사용하는 보다 작은 환상 링 • 전송 시 보다 높은 레이아웃 효율 (2016년 6월 29일 뉴스레터 #10-DFM/A에서 정의) 단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