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스마트워치 산업동향 및 산업의 성공 요인(1)] 스마트워치 산업 SWOT 및 시장동향 분석

  • 등록 2016.12.08 11:36:53
URL복사

스마트워치 시장은 2016년에 접어들면서 시장이 크게 둔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유는 스마트폰에 종속적으로 동작하는 기기로서 스마트폰의 부가적인 기능이 한계점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에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겨냥한 CPND 기반의 네트워크 측면, 유무선 융합 측면, 서비스 측면에서 다양한 기술적 특성이 요구된다. 



개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스마트워치(smart watch)는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피트니스 및 헬스 케어, 패션 산업, 의료기기 등의 산업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스마트워치 신업이 점차 발전하면서 많은 사용자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정도의 혁신성을 스마트워치에서도 요구하면서 보다 더 높은 성능과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소비 니즈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글로벌 스마트워치 제조사(애플/구글/삼성/LG 등)들은 이를 수용하여 스마트폰에 종속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로서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고도의 기술개발과 아울러 다양한 콘텐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1][2]


이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스마트워치를 중 심으로 웨어러블 산업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한 스마트워치 산업 SWOT 분석, 스마트워치 부품/글로벌 제품 및 센서 출하량 등 스마트워치 시장동향 분석, 킬러 앱 개발/차별화된 콘텐츠 개발/개인정보보호 대응 등 스마트워치 산업의 성공 요인에 대해 설명한다.


스마트워치 산업 SWOT 분석


1. 분석 목적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스마트워치를 중심으로 웨어러블 산업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경쟁력 결정 요인을 종합적으로 진단·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도출 다음과 같이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새로운 정책 수립 및 전략적 과제 추진을 위한 논리적·실질적 연결고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 차세대 스마트워치 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여 취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정책을 입안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대비한 차세대 스마트워치 글로벌 기술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전후방 기술개발 동향 및 산업 환경 등에 대한 미래 전략을 도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분석 내용 요약

국내 스마트워치 산업은 기회와 위협, 강점과 약점 요인을 모두 가지고 있다.


(1) 기회 및 강점 요인

-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국제 경쟁력이 높고 국가적으로 전략적 기술개발에 적극적이다.


- 2020년 상용 서비스 예정인 5G 이동통신 산업에 대비한 투자 확대에 적극적이다.


(2) 약점 및 위기 요인

- 차세대 모바일 기술의 최후방위 수요 시장으로서 PND(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 기술력을 결정지을 수 있는 5G 이동통신 산업 활성화가 아직은 미완성이다.


- 차세대 모바일 산업과 직결되어 있는 5G용 스마트폰의 구체적인 사영이나 플랫폼이 아직은 드러나지 않아 이에 따른 예상치 못한 약점 요인이 존재한다.


스마트워치를 비롯한 웨어러블 기기 기술력은 차세대 모바일 산업을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분석해보면 강점 및 기회 요인들이 많지만 약점 및 위협 요인들도 있는 만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3]. 국내 스마트워치 산업에 대한 SWOT 분석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4].


▲ 표 1. 국내 스마트워치 산업 SWOT 분석


스마트워치 시장동향 분석


1. 스마트워치 부품의 가격 구조

스마트워치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은 프로세서, 메모리, MEMS 센서, 연결 단자, 디스플레이, 배터리, 커버 글래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동작된다. 


이들 주요 부품의 가격 비중을 보면 프로세서/메모리/연결 단자는 18%로 1위, MEMS 센서는 13%로 2위, 디스플레이 소재는 11.4%로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어서 커버 글래스 3.2%, 리튬이온 배터리 1.1%, 기타 1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5][6][7]


이처럼 프로세서/메모리/연결 단자/MEMS 센서/디스플레이 소재 등 주요 통신 기능을 실행하는 부품의 가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워치의 주요 부품별 가격 비중을 <표 2>에 나타낸다.


▲ 표 2. 스마트워치의 주요 부품별 가격 비중[%]


2. 글로벌 출하량 추이

(1) 스마트워치 글로벌 출하량 추이

스마트워치 글로벌 시장은 애플(애플워치)과 구글(구글워치)이 양분하면서 기술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6년 2분기 기준, 스마트워치 글로벌 상위 5개 벤더의 출하량은 2015년 2분기 대비 32%(530만 대) 감소한 330만 대를 기록하였다[8][9][10]


특이한 점은 애플의 출하량이 160만 대로 1위를 기록하였지만, 상위 5개 벤더 중 전년대비 출하량이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 또한 애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스마트워치 기술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애플과 구글의 시장 입지가 빠르게 좁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삼성/LG 등)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빠르게 회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2015년 2분기~2016년 2분기 동안 스마트워치 상위 5개 사의 글로벌 출하량 및 시장 점유율을 <표 3>에 나타낸다.


▲ 표 3. 스마트워치 글로벌 출하량 및 시장 점유율


(2) 스마트워치용 센서 글로벌 출하량 추이

스마트워치에 장착되는 동작인식 센서의 글로벌 출하량은 2012년 24억 개, 2013년 35억 개에서 2017년에는 60억 개 이상으로 대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1]


이에 국내 웨어러블 센서 관련 업계의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특화된 기술력이 요구된다. 스마트워치용 동작인식 센서의 글로벌 출하량을 <표 4>에 나타낸다.


▲ 표 4. 스마트워치용 동작인식 센서 글로벌 출하량


-------------------------------

1) ‌디스플레이 소재는 주로 AMOLED를, 리튬이온(Li-Ion) 배터리와, 커버 글래스는 사파이어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2) ‌다양한 타입의 스마트워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처럼 필수품으로서 아직은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3) ‌Niche market : 틈새(niche)와 시장(market)이 합쳐진 이른바  틈새시장을 의미한다. 즉, 사실상의 수요가 많지 않은 시장을 말하며, 치밀한 시장조사후에 이 시장에 경영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전략을 니치전략(niche strategy)이라고 한다. 니치마켓을 발굴한 뉴 비즈니스(new business)는 신상품이나 아이디어 또는 새로운 업종을 발굴하는 비즈니스를 말한다. (http://politicstory.tistory.com/1212)



박세환  Ph.D.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프로그램 전문연구위원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