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신과 변화 예고한 100여개의 기술과 업데이트 공개 마이크로소프트가 현지시간 15일 '마이크로소프트 이그나이트 2023'를 개최하고, AI 혁신과 변화를 예고한 100여개의 기술과 업데이트를 공개했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마이크로소프트 CEO 겸 이사회 의장은 기조연설에서 “지난 한 해 동안 혁신의 속도는 놀라울 정도로 빠르게 진행됐다”며, “우리 모두는 코파일럿의 창의성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하기 시작했고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코파일럿은 전 세계와 조직의 지식에 접근하는 새로운 AI가 될 것이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하도록 돕는 에이전트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올 한해 동안 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며 다양한 산업군에서 완전히 새로운 업무 수행 방식을 발견하는 등 총체적인 변화의 시기를 겪었다. 특히 AI가 업무를 혁신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업무동향지표에 따르면, 코파일럿 사용자의 70%가 생산성 향상을 경험했으며, 87%는 문서 초안 작성이 쉬워졌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창의적인 작업을 시작하는 데에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도 68%에 달했다. 이러한 결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가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 기관 GPTW(Great Place to Work Institute) 선정 '2023-2024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을 수상했다. GPTW가 주관하는 일하기 좋은 기업 평가는 ▲믿음 ▲존중 ▲공정성 ▲자부심 ▲동료애 5대 범주로 구성된 국제 표준 모델 신뢰경영지수를 바탕으로 이뤄진다. 이번 평가에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는 밀레니얼 세대(만 19세~만 34세) 기대 사항에 부응하며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됐다. 어플라이드는 지난 9월 GPTW으로부터 '2023년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일터 인증'을 받은 바 있다. 박광선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 대표는 "어플라이드는 혁신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든다는 비전 아래 다양한 관점과 배경, 경험을 지닌 구성원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협업하는 문화을 조성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어플라이드는 모든 직원이 소속감을 느끼고,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여 성장할 수 있는 포용적인 문화 형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분당, 화성, 평택, 이천, 천안 등 전국 12개 사업장에서 2000여명이 근무하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코리아는 지난 몇 년
글로벌 게이밍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레이저(RAZER)에서 래피드 트리거를 지원하는 'Razer Huntsman V3 Pro 시리즈'를 신규 출시했다. 레이저 관계자는 "이번 헌츠맨 V3 Pro 시리즈는 풀키, 텐키리스, 미니로 세 가지 배열로 출시돼 정확하고 정밀한 입력과 빠른 반복 입력이 필요한 유저들에게 만족스러운 퍼포먼스를 선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새로운 헌츠맨 V3 Pro 시리즈는 2세대 아날로그 스위치를 탑재해 작동점을 0.1mm에서 4.0mm까지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정하고, 1억 번의 키 내구성을 가져 기존 고정된 작동점을 가진 기계식 스위치와는 차별화된 정확도와 내구성을 느낄 수 있다. 긴박한 상황 속 정밀한 컨트롤을 요구하는 FPS 게임과 리듬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최신 트렌드로 자리 잡은 래피드 트리거 모드 역시 헌츠맨 V3 Pro의 장점 중 하나다. 래피드 트리거는 키 입력을 빠르게 초기화하는 기술로, 더 빠른 키 입력과 반복 입력이 가능하다. 헌츠맨 V3 Pro는 0.1mm부터 1.0mm까지 래피드 트리거 감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게이머들은 자신의 플레이 스타일에 맞게 설정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LED 단계 표시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와 (사)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충북지회가 K-디지털 플랫폼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인적·물적 인프라 및 사업 등을 통한 디지털 확산을 함께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위한 K-디지털플랫폼 프로그램 개발 지원 및 정보 교류, 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재직자/구직자 역량 강화 훈련, AI·디지털 정보 제공과 자원 연계, 중앙정부 및 지자체 디지털 확산 참여 지원 및 협력, 공동협력사업 발굴 및 추진을 함께한다. (사)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김일목 회장은 "디지털 확산은 막을 수 없는 흐름이다. 충북지회와 함께 지자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머신비전산업협회가 함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사)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충북지회는 충북 지역 이노비즈 기업의 상호 교류 및 경영, 기술, 자금 판로 등을 지원하며 충북 지역 이노비즈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23년도 신규 사업으로 K-디지털 플랫폼 운영기관에 선정되어 지역 내 다양한 수요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내 융합훈련 플랫폼을 운영하며 충북지역 디지털 훈련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엔씨소프트 전시 부스 내 헬리오스·헬리오스 네오·트리톤 X 등 내놔 “혁신 기술, 게임 환경 등 게이밍 경험 준비했다” 에이서가 이달 16일부터 나흘간 부산 우동 소재 전시장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3(G-STAR 2023)’에서 게이밍 노트북 ‘프레데터’ 제품군을 한자리에 배치했다. 에이서는 이번 행사장 내 마련된 엔씨소프트 부스 안에 헬리오스·헬리오스 네오·트리톤 X 등 프레데터 이름표를 단 제품을 참관객에게 선보인다. 부스에서 소개되는 프레데터 3종은 인텔 코어 i9-13세대가 기본 탑재돼 게이밍에 적합한 성능을 보유했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프레데터 트리톤 X는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90 GPU, 32GB DDR5 RAM, 1TB PCIe SSD, WQXGA 해상도 및 250Hz 주사율 기반 미니 LED 패널 디스플레이 등을 담아 에이서 게이밍 노트북 제품 내 가장 고사양을 갖췄다. 프레데터 헬리오스 네오 16은 엔비디아 지포스 RTX 4060 GPU, 16:10 화면비 16인치 WQXGA IPS·165Hz 주사율 화면 등을 장착해, 올해 에이서 시리즈 내 가장 많은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웨인 니엔(Wayne
높은 수준의 보안 강도 및 작은 키에 대한 하위 호환성 유지해 차량의 커넥티비티 기능이 향상돼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기술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높은 수준의 보안 조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최근 정부 및 자동차 OEM들은 사이버 보안 요구 사항에 더 큰 키 사이즈와 Edwards Curve ed25519 알고리즘 표준을 포함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로칩)는 가장 복잡한 자동차 및 임베디드 보안 사용 사례에 적용하는 최신 트러스트 앵커 보안 집적회로(IC) 'TA101'을 출시했다. TA101은 최대 ECC P521, SHA512, RSA-4K 및 AES256의 대형 키 크기를 지원해 현재 규정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 강도를 제공한다. TA101은 더 작은 키에 대한 하위 호환성도 유지해 향후 규정 변경에 대해 조정 가능성도 제공한다. 산업용 등급 제품군인 CryptoAuthentication 보안 IC와 1 AEC-Q100 1등급 인증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CryptoAutomotive 보안 IC,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마이크로칩의 보안 IC 포트폴리오에서 최신 보안 디바이스에 속하는 TA
스마트홈, 로보틱스, 헬스케어 등 여러 산업군에서 3D 콘텐츠 생성 활용 가능 앙트러리얼리티가 16일 3차원 인체 복원 기술 ‘챗모션(ChatMotion)’을 기반으로 한 제품 ‘트위닛(Twinit)’으로 CES 2024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앙트러리얼리티는 AI 컴패니언 기술로 인간처럼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고, 상호작용하는 디지털휴먼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KAIST, 서울대 석박사급 연구진과 라인플러스 출신이 모인 스타트업이다. 생성형 AI 디지털휴먼 챗봇과 3D 디지털트윈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CES 2024 혁신상을 수상한 트위닛은 앙트러리얼리티의 핵심기술인 챗모션을 기반으로 개발된 솔루션이다. 챗모션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한 장으로 인체의 3차원 형상과 모션을 복원하는 기술이다. 영상 형태의 3D가 아닌 실시간 모션 인터랙션이 가능한 리깅 3D 모델을 30초 안에 생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3D 모션 복원 기술은 게임,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서 아바타의 형태로 주로 활용되지만, 챗모션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홈, 로보틱스,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실시간 상호작용 가능한 3D 콘텐츠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이동윤 앙트러리얼
달파 AI 솔루션 도입 고객사 중 최다 AI 솔루션 제공 사례로 꼽혀 달파는 16일 어이사마켓에 ‘이미지 서치’ 등 AI 솔루션 8종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어이사마켓 측은 8종의 AI 솔루션을 도입해 생산성 향상 효과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어이사마켓의 달파 AI 솔루션 도입은 고객사 중 최다 AI 솔루션 제공 사례로 꼽힌다. 지난 5월 이미지 서치 AI 제공을 시작으로 텍스트 서치, 유사 상품 추천, 상품 속성 태깅, 상품명 생성, 인페인팅, 노출 부적합 이미지 검출, 상품 사이즈표 정보 추출 등의 AI 솔루션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텍스트 서치 AI는 상품 이미지와 텍스트 유사도를 이용한 검색엔진 기능으로, 중국에서 공급되는 상품 내 상품명이 제대로 돼 있지 않아 일반적인 텍스트 검색엔진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크로스보더 사업자를 위한 솔루션이다. 이미지와 텍스트의 유사도를 이용하는 검색엔진을 적용, 상품명 퀄리티가 떨어지는 이유로 원하는 상품을 쉽게 찾기 어렵던 기존 텍스트 검색엔진에 비해 상품을 쉽게 찾도록 해 기존 불가능하던 ‘해변과 잘 어울리는 옷’과 같은 자연어 기반의 검색도 가능하다. 상품 이미지를 기반으로 비슷한 상품을 검색하는 검색엔진인 ‘이
초거대 AI 기술 및 상용화 사례 소개와 한글 문서 활용 방안 공개 포티투마루가 한국IT서비스학회 ‘2023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글과컴퓨터와 함께 초거대 AI를 활용한 공공 및 교육 분야 혁신 방안 전략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행정안전부 등의 정부기관이 후원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함께 주최하는 2023 추계학술대회는 ‘글로벌 디지털 혁신의 주역,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정부에서 추진하는 디플정 정책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각 기관의 역할을 살펴보고, 민간기업의 IT 서비스 사례와 연구자의 연구 결과도 공유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포티투마루는 Track F2 : 개방형 문서 포맷과 인공지능 학습 세션에서 ‘OWPML(HWPX) 포맷 인공지능 활용 사례’를 주제로 초거대 AI 기술 및 상용화 사례에 대한 소개와 한글 문서 활용 방안 등을 주제로 권혁성 CBO가 발표를 진행한다. 지난 9월부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과 함께 공공기록물을 활용한 대규모 학습용 데이터 및 초거대 AI 시범 서비스 구축 사업을 진행 중으로,
SK텔레콤(이하 SKT)·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티맵모빌리티로 구성된 'K-UAM 드림팀' 컨소시엄은 경상북도와 도심항공교통(UAM)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15일 체결했다. 드림팀과 경상북도는 내년 4월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에 발맞춰 경상북도의 UAM 운용 환경을 면밀히 분석해 상용화 단계별로 경북형 UAM 서비스를 도입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 지난해 10월 대구시와 UAM 협력체계를 구축한 드림팀은 이번에 경상북도와도 손을 잡으면서 대구와 경북권을 아우르는 광역 UAM 교통망 조성에 한 발 더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운송·공공·관광 등 다양한 UAM 서비스 모델 개발, 전용노선 발굴, 버티포트(UAM 이착륙장) 구축 등에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경북 지역 기반 기업들과의 상생 및 협력 방안을 마련하고 UAM 산업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등 경북 지역 UAM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SKT는 UAM 전용 상공 통신망 구축, 기체 도입 등 종합적인 UAM 서비스 운영, 한국공항공사는 UAM 버티포트 구축·운영 및 UAM 교통관리서비스 제공, 한화시스템은 UAM 기체 개
산업지식인에서는 실무자의 질문을 전문가가 자세하게 답변하는 내용을 다뤘습니다. 각 주제별로 진행된 MTV 웨비나에서 발표자와 질문자가 주고받았던 질의응답을 한 데 모았습니다. 현재 물류 산업 내 자동화 기술 적용 속도가 매섭습니다. 물류 영역은 오랜 기간 동안 자동화 기술을 적용해왔고, 100% 자동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데요, 이 중 노르웨이 물류 자동화 로봇 기술 기업 오토스토어는 ‘큐브형 창고 자동화’를 표방해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고안했습니다. 이 자동화 기술은 큐브 형태의 ‘빈’, 큐브 이동 수단 ‘로봇’, 이동 매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큐브 이동 기반 구조물 ‘그리드’ 등으로 구성된 하나의 플랫폼입니다. 해당 플랫폼은 식료품·의료·헬스케어·제조 등 분야 물류 영역에서 존재감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AutoStore는 스마트물류의 타임라인’에서는 차세대 물류 플랫폼이 소개됐는데요, 이에 대한 궁금증과 답변을 선별했습니다. Q & A Q. 오토스토어 물류 로봇이 다루는 적재물의 최대 중량은? A. 빈에 최대 30kg까지 적재 가능하다. Q. 로봇에 장착된 최하단의 빈을 제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A. 3분정도 소요된다. 작업자는
“AI 분야 경험, 에코시스템 인지도 격상 등 실적 입증...마케팅 활동의 적임자” Arm 홀딩스(이하 Arm)이 아미 바다니(Ami Badani) 前 엔비디아(NVIDIA) 마케팅 및 개발자 제품 부문 부사장을 신임 최고마케팅책임자(CMO)로 선임했다고 전했다. 바다니는 엔비디아와 더불어 소프트웨어 업체 큐뮬러스 네트웍스(Cumulus Networks), 네트워크 통신 업체 시스코 시스템스(Cisco Systems), 투자은행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및 JP 모건(J.P. Morgan) 등에서 활약했다. 특히 엔비디아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DPU) 개발자 에코시스템을 육성하고, 생성형 AI 데이터 전략을 추진했다. 아울러 데이터센터 포트폴리오 제품 및 기술 마케팅 활동을 주도한 데 인정받았다. 바다니는 앞으로 Arm 글로벌 마케팅 조직을 총괄하며, 르네 하스(Rene Haas) Arm CEO에게 업무 현황을 보고하는 역할을 맡는다. 르네 하스 Arm CEO는 “바다니는 AI 분야에서 축적한 경험과 개발자 에코시스템의 인지도를 높이는 등 실적을 입증했다”며 “Arm에서 컴퓨팅의 미래를 구축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을 이끌 적임자”라고 Arm 신임
SK쉴더스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당일 수험생의 신속하고 안전한 입실을 돕기 위해 '수험생 특별 호송 지원'을 실시했다고 16일 밝혔다. SK쉴더스의 '수험생 특별 호송 지원'은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ESG 경영 활동의 일환으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하에 지난 2000년부터 매년 진행되는 재능기부 활동이다. 호송 경험이 풍부한 경호팀과 지역 교통상황을 잘 알고 있는 ADT캡스 출동대원 등 전문 인력이 주축이 되어 수능 당일 이른 오전 수험생의 시험장 이동을 지원하고 있다. SK쉴더스는 오전 7시부터 시험장 입실 완료 시간인 오전 8시 10분까지 수험생 이동이 많은 시험장 인근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 등 주요 거점에 경호팀과 출동대원을 호송 차량, 오토바이와 함께 배치했다. 응급 및 돌발상황에 대비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수험생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응급처치 전문가를 배치하는 등 안전관리도 강화했다. SK쉴더스는 교통 혼잡이나 긴급 상황으로 시험시간에 늦을 우려가 있거나 이동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이 도움을 요청하면, 호송 차량과 오토바이를 이용해 제시간에 시험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 활동을 펼쳤다. ADT캡스 손정민 출동대원은 "시험시간에 늦을
앤비젼이 '세계 최고 수준 AOI용 자동 초점 시스템'이 2023년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매년 선정하는 국가 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은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다. 올해는 각 부·처·청이 선별.추천한 총 854건의 후보 성과를 대상으로, 산학연 전문가 100명으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 평가와 대국민 공개검증을 거쳐 최종 100건의 우수성과를 선정했다. 앤비젼에서 개발한 AOI용 자동 초점 시스템은 1마이크로미터(㎛)의 정밀도를 가지면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자동초점 시스템은 국내 최초로 개발한 자동 초점 센서, 세계 최고 속도의 자동초점 스테이지, FPGA 기반의 자동초점 제어기로 구성됐다. 이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 제품의 고도화에 따라 더욱 정밀해지는 공정 속의 불량을 검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과제의 총괄 책임자 앤비젼 R&D센터 지원수 상무는 "앞으로도 앤비젼의 자동 초점 시스템을 통해 제품 불량을 줄이고, 수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트리비젼은 머신비전 전문 업체로 국내 및 해외 비전 컴포넌트 제조업체들과 긴밀한 제휴를 통해 다양하고 경쟁력 있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2008년 설립 이후 다양한 장비, 광학계 개발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수의 고객사에 카메라, 렌즈, 조명&콘트롤러, 케이블, 보드, S/W 개발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트리비젼의 특징은 고객 니즈에 맞춘 조명&콘트롤러 자체 제작을 통한 빠른 대응력이다. 또한 Gig/E, C/L, CXP 케이블도 자체 제작 가능하다. 트리비젼 관계자는 "트리비젼의 장점은 최단 시간 대응 및 답변, 선조치 및 선납 등 고객사 일정 우선, 납기 준수 원칙"이라고 말한다. 덧붙여 "트리비젼은 모든 고객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고객사 보안 유지에 각별히 유의하고 있다. 고객사의 요구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해 불필요한 시간 낭비 없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이끌 것이다. 트리비젼은 귀사의 Application에 맞춤 Customizing을 통해 기대 이상의 결과로 보답할 것"이라고 밝혔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