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배너

강원랜드, 기간제 직원 '괴롭힘' 사망 ...“정규직 아니라 조사 불가

URL복사

20대 기간제 직원 기숙사서 숨진 채 발견…유족 “괴롭힘·불법촬영 피해” 호소
내부 문건엔 “유족 언론플레이 가능성” 등 대응 지침… 회사 이미지 실추에 치중

 

강원랜드에서 일하던 20대 기간제 직원 A씨가 지난 2월 기숙사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유족은 A씨가 직장 내 따돌림과 불법촬영 피해에 시달렸다고 주장하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사건 직후 강원랜드는 자체 조사를 시도했지만 곧바로 중단했다. “정규직이 아니어서 강제 조사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강원랜드는 본지에 당시 함께 근무하던 기간제 직원 8명 중 6명이 이미 퇴사했고, 재직 중이던 2명만 조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찰이 훨씬 넓은 조사 권한을 갖고 있어 협조했고, 경찰 수사 결과 혐의 없음으로 종결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일각에선 강원랜드의 대응이 조직 보호에 치우쳤다고 비판한다. MBN이 입수한 내부 문건에는 “유족이 언론플레이에 나설 수 있다”, “사건을 확대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과, 회사 이미지 실추 차단과 소송 대비 방안이 단계별로 정리돼 있었다고 했다. 피해자 보호나 조직 내 진상 규명보다는 위기관리 메뉴얼처럼 여론 차단 전략에 집중된 것이다.

 

공기업으로서 강원랜드가 최우선해야 할 책무는 ‘이미지 관리’가 아니라 근로자 안전과 권익 보호다. 전문가들은 “기간제라는 이유로 조사를 중단한 것도 문제지만, 내부 문건에서 드러난 시각은 더욱 충격적”이라며 “공기업이 국민 세금과 지역사회의 신뢰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만큼, 조직 이미지보다 피해자 보호를 앞세웠어야 했다”고 지적한다.

 

경찰 수사에서 혐의 없음으로 결론이 내려졌다고 해도, 유족과 국민이 느끼는 불신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진상 규명을 피해자 관점이 아닌 ‘회사 중심’의 논리로 접근한 태도 자체가 강원랜드 조직 문화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헬로티 맹운열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