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움직이는 지능’으로 산업 판 흔드는 중 그동안 로봇은 정해진 위치에 갇힌 채 맹목적으로 팔(Arm)을 흔들었다. 거대하고 무거운 몸으로 오직 한 가지 작업만을 반복하며 생산성을 책임지는 '고정된 노동자'였다. 하지만 이제 로봇은 더 이상 제자리에 머무르지 않는다. 공장 바닥을 자유롭게 누비고, 사람처럼 스스로 판단하며, 환경에 적응하는 '지능형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다. 이 거대한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는 바로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obile Manipulator)'라는 혁신적인 폼팩터가 있다. 이는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는 협동 로봇(코봇)과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자율주행로봇(AMR)이 결합된, 그야말로 '움직이는 지능'이다. 과거에는 생산 라인 전체를 갈아엎어야만 가능했던 혁신이 이제는 로봇 한 대의 도입만으로 완성되는 것이다. 로봇은 더 이상 정해진 경로를 따라 부품을 옮기는 단순한 운송 수단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스스로 최적의 동선을 파악하고, 돌발 상황에 대응하며, 작업 위치를 유연하게 재배치하는 자율형 비즈니스 자산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이는 제조업 현장의 고질적인 비효율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로봇이 곧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되는
언어·시각·행동 등 기능 담은 AI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MOMA’ 전시해 “지능형 로봇 영역에 첫발...세계 시장 진출과 솔루션 고도화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고성엔지니어링이 로봇 축제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서 플래그십 로봇 ‘MOMA(Mobile Manipulator)’를 통해 참관객에게 집중조명받았다. 올해 로보월드는 지난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컨텍스에서 열렸다.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솔루션이 한자리에 총출동했다. 고성엔지니어링 전시부스의 하이라이트 MOMA는 ‘거대멀티모달모델(Large Multimodal Model)’을 차용한 인공지능(AI) 모델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언어·이미지·음향·영상 등 데이터를 처리해 언어·시각·행동 기능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구두로 MOMA에게 명령을 전달하면, 인지·실물 확인 등 프로세스를 거쳐 목표물로 이동한 후 명령을 수행한다. 전시장에서는 MOMA 데모가 기체에 탑재된 로봇팔(Robot Arm)을 이용해 캔·병 등을 집는 과정을 연출했다. 여기에 환경, 잠재적 위협 등 현장 요소를 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오므론(OMRON)이 대만의 협동로봇 전문기업 테크맨 로봇(Techman Robot)에 대한 자본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외신에 따르면, 투자는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이며, 오므론은 테크맨 로봇의 지분 약 10%를 보유하게 된다. 2018년에 오므론은 증가하는 자동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테크맨 로봇과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으며, 그 이후 테크맨 로봇의 TM 시리즈 협동로봇은 오므론의 유통 네트워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공동 브랜드 제품으로 판매되었다. 오므론과 테크맨 로봇은 또한 인간과 기계가 협력하는 제조 현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오므론의 모바일 로봇과 TM 시리즈를 결합한 모바일 작업 로봇인 ‘Mobile Manipulator’를 공동 개발하기도 했다. 이번 신규 투자를 통해 오므론은 공장자동화 장비와 테크맨 로봇의 협동로봇을 결합한 혁신적인 로봇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여 안전과 생산성을 모두 보장하고 제조 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