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클라우드가 AI 추론(Inference) 시대를 이끌 핵심 컴퓨팅 솔루션으로 7세대 TPU ‘아이언우드(Ironwood)’를 정식 출시하고 새로운 Arm 기반 ‘액시온(Axion)’ 가상 머신(VM) 프리뷰 버전을 공개했다. 이번 발표는 기업 고객이 AI 학습부터 추론, 일반 워크로드까지 아우르는 통합적 성능과 효율을 확보하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뒀다. 아이언우드는 지난 4월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에서 프리뷰로 공개된 7세대 TPU로 대규모 모델 학습과 강화학습, 대용량·저지연 AI 추론 등 복잡한 워크로드를 처리하도록 설계됐다. 기존 TPU v5p 대비 최대 10배, TPU v6e 대비 최대 4배 향상된 학습 및 추론 성능을 제공하며 구글 TPU 중 가장 강력한 에너지 효율을 갖췄다. 아이언우드는 구글 클라우드의 통합 AI 슈퍼컴퓨팅 시스템 ‘AI 하이퍼컴퓨터(Hypercomputer)’의 핵심 구성 요소로 컴퓨팅·네트워킹·스토리지·소프트웨어를 하나로 통합해 전반적인 처리 속도와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최대 9216개의 칩을 연결한 슈퍼포드(superpod) 구조와 9.6Tb/s 인터커넥트 기술, 1.77페타바이트의 공유 메모리를 통해 데이
AI 인프라부터 모델, 플랫폼, 에이전트에 이르는 AI 스택 전반 기술 공개 구글 클라우드가 4월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한 연례 기술 컨퍼런스 ‘Google Cloud Next 2025’에서 AI 인프라부터 모델, 플랫폼, 에이전트에 이르는 AI 스택 전반의 기술 혁신을 공개하며 차세대 생성형 AI 생태계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AI 최적화 플랫폼, 개방형 멀티 클라우드, 상호운용성을 중심 주제로, AI 하이퍼컴퓨터, 제미나이 모델, 버텍스 AI, 구글 에이전트스페이스 및 보안 플랫폼까지 통합적이고 강력한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삼성전자, LG AI연구원, 카카오, 위버스컴퍼니, 스튜디오리얼라이브 등 한국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혁신 사례를 공유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가정용 AI 로봇 ‘볼리(Ballie)’에 구글 제미나이를 통합해 자연어 처리와 개인화 대화 기능을 강화했으며, LG AI연구원은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기반으로 대형 언어모델 ‘엑사원’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인 성공 사례를 발표했다. 카카오는 TPU 기반 JAX 모델 개발, 카카오헬스케어는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헬스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