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몽은 기업 AI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신설한 ‘AI 서비스’ 카테고리가 론칭 두 달 만에 누적 거래 2800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크몽은 지난 6월 기존 IT 서비스 하위 항목으로 운영되던 AI 관련 기능을 독립 카테고리로 분리했다. 이는 EY한영의 ‘2025 경제전망’ 조사 결과에 따른 조치로, 조사에 따르면 올해 국내 기업의 AI 도입률은 전년 대비 14%p 증가한 52%를 기록했으며, 39%의 기업이 향후 AI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답해 AI가 기업 경쟁력의 필수 기술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AI 서비스 카테고리에는 ▲AI 일러스트 ▲AI 광고영상 ▲AI 자동화 프로그램 ▲GPT 활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 1400개 이상의 서비스가 등록돼 있다. 크몽은 1200여 명의 전문 AI 인력 풀을 기반으로 디자인, 콘텐츠, 개발,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 창출을 지원하고 있다. 그 결과 AI 서비스는 론칭 두 달 만에 크몽 내 핵심 성장 카테고리로 부상했으며, 플랫폼 전체 AI 관련 누적 거래는 1만6000건을 넘어섰다. AI 서비스 수요는 특히 마케팅·콘텐츠 제작과 업무 자동화 분야에서 두드러진다
크몽이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ITSA)와 손잡고 SI(System Integration) 산업의 만성적인 인력 수급 문제 해결에 나선다. 양 기관은 지난 4일 프리랜서 기반의 IT 인력 공급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고도화되는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도입 확산에 따라 늘어나는 IT 전문 인력 수요에 대응하고자 추진됐다. 특히 인력 확보가 개인 네트워크에 의존해 비효율적으로 운영돼온 기존 구조를 개선하고, 체계적이고 검증된 매칭 시스템 도입을 확산하겠다는 취지다. 크몽은 자사의 기업 대상 B2B 서비스 ‘크몽 엔터프라이즈’를 통해 구조적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 서비스는 1만 명 이상의 프리랜서 IT 인재 풀을 바탕으로, 서류 검토와 레퍼런스 체크, 전화 인터뷰로 구성된 3단계 검증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다. 기업은 프로젝트 착수 전 3일 이내에 검증된 인재 3배수를 추천받을 수 있으며, 10년 이상 경력의 전담 매니저가 배정돼 프로젝트 전·중·후를 지원한다. 크몽에 따르면 현재까지 연간 약 300명의 IT 인력이 해당 시스템을 통해 매칭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AI 전문 인력 풀이다. 크몽은 데이터 사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