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 B2B 보안 서비스 강화로 기업의 안전한 디지털 환경 구축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KT의 대표적인 기업 보안 서비스는 ‘클린존(Clean Zone)’과 ‘AI메일보안’이다. 이들은 추가 장비 설치나 IT 인프라 변경 없이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형 보안(SECaaS, Security as a Service)’ 상품이다. 클린존은 DDoS(디도스) 공격이 발생하면 유해 트래픽은 차단하고 정상 트래픽만 기업의 서버로 전달해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만약 임계치 이상의 트래픽을 동반한 DDoS 공격이 발생하면 기업, 공공기관 등을 위한 인터넷 서비스인 KT 코넷의 백본 라우터에서 고객사의 트래픽을 우회한다. 이후 클린존 차단시스템에서 비정상 트래픽을 차단하고 정상 트래픽만 기업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현재 클린존은 KT가 보유한 530만 건 이상 위협정보 DB와 높은 분석 정밀도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규모 공격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AI가 지속적으로 기업별 트래픽 패턴을 학습해 보다 정밀한 탐지 성능을 제공한다. 특히 KT는 국내 ISP(Internet Service Prov
KT가 업무용 종합 포털 비즈메카EZ에 적용한 ‘AI 위협메일차단 서비스’가 중소기업 등 B2B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비즈메카EZ는 메일·전자결재·메신저·회계·HR 등 다양한 업무용 솔루션을 통합 제공하는 B2B 서비스로, 현재 7만 개 기업에서 약 50만 명이 이용 중이다. 최근 이메일 해킹 공격이 특정 기업과 직원을 대상으로 진화하면서 보안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KT의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AI 분석·탐지 기술을 적용한 메일 보안 솔루션으로, 신종·변종 해킹 공격을 사전에 탐지하고 접근을 차단한다. 고객사는 별도의 장비 설치나 도메인 변경 없이 이용 가능하며 비용은 이용자당 월 2000원 수준이다.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비밀번호 만료 안내’, ‘구매주문 위장 메일’, ‘글로벌 운송사 사칭 이메일’ 등을 탐지해 기업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KT는 AI 기반 기업 업무 지원을 위한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해 외부 기술·서비스와 협력도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KT는 비즈메카EZ 서비스 리뉴얼로 고객 중심 UI/UX 개선과 PC·모바일 메신저 개편을 연내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영업활동 관리, 설문조사, 자원예약